•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버지식백과, 자료검색일 2012. 12. 11, http://terms.naver.com/entry.nhn?cid=958&docId=

689898&mobile &categoryId=958

<그림 1> 추사 김정희의 영영백운도(英英白雲圖) - 추사 김정희의 문인화 연구, p.141

)21)’론과 관련이 있다. 또한 황량함과 따뜻함의 이율배반적인 느낌은 균형과 비 균형이란 세한도의 구조적 형식을 통해 안정감과 변화를 동시에 느끼게 한다. 이 는 추사 김정희의 서체와 유사하게 동질적으로 느껴지는 요소로, 강약과 대소의 차이, 균형과 비균형의 조화, 질서와 자유로움의 조화 등이 김정희 서화(書畵) 전 체의 중요한 미적 형식이다. 또한 그림과 글씨 모두에서 문자향 ․ 서권기를 강조 했던 예술세계가 배어 있음이 이 그림의 본질이다22).

따라서 추사 김정희의 문인화는 전통적인 문인화 사상인 유(儒)・불(彿)・도 (道) 사상을 근간으로 새로운 조류인 실학의 실사구시적(實事求是的) 미감이 더 해진 것이며, 시・서・화에서 공통적으로 표출된 ‘고졸미(古拙美)’, ‘중화미(中和 美)’, ‘법고창신적(法古創新的) 미감’, ‘금석기(金石氣)’, ‘문자향・서권기’ 등이 융 화되어 표현된 것이다23).

21) 비덕이란 자연물을 감상할 때 거기에 내재된 도덕규범을 확인하는 방법을 말한다, 자료검색 2012. 12. 11, http://www.jej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908643

22) 유홍준 (2002), 완당평전 2, 서울: 학고재, p. 398.

23) 이호순 (2004), 추사(秋史) 김정희의 시, 서, 화 연구-제주도 유배시기를 중심으로, 현대미술 연구소논문집(7), pp. 133-134.

<그림 2>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歲寒圖) - 제주유배길에서 추사를 만나다, pp.153-161.

<그림 4> 추사 김정희의 추사체(무량수각, 無量壽閣, 1846) - 추사 김정희의 문인화 연구, p.131

<그림 3> 추사 김정희의 추사체(시경루, 詩境樓, 1846) - 추사 김정희의 문인화 연구, p.131

<그림 3>의 『시경루(詩境樓)24)』와 <그림 4>의 『무량수각(無量壽閣)25)』은 헌종 12년(1846) 추사 김정희가 유배지 제주도에서 회갑이 되던 해로 예부터 추 사 집안의 원찰인 화암사 중창(重創)26)을 기념해 써서 보낸 글씨다. 추사가 글씨 의 이상향으로 여기는 전한시대 경명(鏡銘)의 글자를 기본으로 한 예서의 골격에 24) 이호순 (2005), 추사 김정희의 문인화 연구-제주도 유배시기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p. 132.

25) Ibid., p. 131.

26) 낡은 건물을 헐거나 고쳐서 다시 지음.

<그림 5> 추사 김정희의 추사체(일로향실, 一爐香室, 해남 대둔사 소장) - 추사 김정희의 문인화 연구, p.131

전서, 해서의 뜻을 더한 새로운 조형미가 물씬 풍기는 글씨다27).

<그림 5>의 『일로향실(一爐香室)28)』은 제주도 유배시기 해남 대둔사 일지암 에 보낸 현판으로 시경루, 무량수각과 마찬가지로 예서체 중에서도 전한시대의 고졸하면서도 힘 있는 글씨체를 기본으로 하면서 글자의 구성을 현대적인 감각 으로 디자인해 추사체의 참 멋을 느끼게 한다29).

이들 제주도 유배시기 작품들은 점획(點劃)의 형태와 굵기가 다양하며 마치 금 석이 세월의 풍우(風雨)에 의해 마멸된 북비(北婢)를 연상시키며 그의 예술적 개 성이 경지에 이른 아름다움인 괴이함이 느껴진다30). 이러한 추사체의 새로운 조 형적 감각의 배경에는 제주바다의 날선 파도와 제주 돌담을 돌아나가는 매서운 칼바람 같은 제주의 풍경도 분명 한몫 했을 것이다31).

이상과 같이 제주도 유배시기에 완성된 추사체의 특징은 북비와 한예(漢隸)32) 를 근간으로 한 ‘금석기’, ‘중용적・균제적 미감’, ‘창신적 미감’으로 표현된 것이며, 유배시기의 고난과 역경은 절제된 서의 필획을 통해 정화되어 표현된 점이다33).

결론적으로 제주유배시기에 제작된 추사 김정희의 서・화의 형태는 다르지만 심의는 동일한 묘경(妙境)의 일치를 이루기 때문에 각 영역이 서로 소통하고 합

27) 양진건, op. cit., pp. 166-167.

28) 이호순, op. cit., p. 131.

29) Ibid., p. 72.

30) 유홍준, op. cit., p. 457.

31) 양진건, op. cit., p. 164.

32) 서한과 동한을 통틀어서 전체 한 대의 예서를 ‘한예’라고 한다. 서한말기로부터 동한 때에 쓰 여졌던 파책(속칭 안미(雁尾))이 분명하게 드러나고, 삐침획이 다양하게 변하고 결체가 편방 (扁方:작고 각짐)한 예서를 말한다, 자료검색일 2012. 12. 11, http://blog.naver.com/imlove 729?Redirect=Log&logNo=30130188288

33) 이호순, op. cit., pp. 131-132.

<그림 6> 추사 김정희 서・화의 공통 미감 요소 도출

일하여 독창적인 문인화가 완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앞서 살펴본 김정 희의 서・화의 사례를 통한 공통된 미감 요소는 이호순의 분류34)에 의거한 ‘고 졸미’, ‘문자향・서권기’, ‘중화미’, ‘법고창신’ 등으로 구성되었음을 유추하였다

<그림 6>.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앞에서 유추한 제주유배시기 추사 김정희 서・화의 미 감요소들을 조형적 특성으로 차용하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고졸미는 서툰 듯 자연스럽고 꾸밈없는 미로, 추사 김정희는 고예(古藝)에서 드러나는 고졸미를 추구하였다. 김정희에게 고졸미는 학문적 존고정신과 부단한 노력을 통해 얻어진 것으로, 자연스러움과 꾸밈없음이 자연의 원리에 순응하고 스스로를 낮추어 생기는 미감이라 할 수 있다.

문자향 ․ 서권기는 예술에 있어 ‘학예일치사상(學藝一致思想)’을 피력한 것으로, 예술에서 학문과 인격의 겸비를 추구한 것이다. 김정희에게 문자향・서권기는

<그림 2>의 『세한도』에 잘 나타나는데 그림의 필선은 마르고 담박, 즉 고담

34) Ibid., pp. 122-124.

(枯淡)35)하고 간결한 아름다움이 마치 뜻이 높은 선비인 고사의 인격을 대하는 듯하여 심품(心品)이라고도 한다.

중화미는 인간과 예술에 균제감과 질서를 부여하는 것으로, 타고난 성격을 학 문으로 다스려 대자연의 원리 추종을 추구한 것이다. 김정희에게 중화미는 글씨 의 종획과 횡획의 파격적 차이를 통해 조형상의 음양 구조의 조화와 통일로 이 루어졌다.

금석기는 북비의 굳세고 장엄한 미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 ‘금(金)’은 옛 동기 인 종과 솥 위에 주조한 문자이고 ‘석(石)’은 비갈에 새긴 글씨로서 모필을 사용 하여 쓴 글씨를 주조하여 새겨 나온 글자처럼 질박하고 고졸한 기식을 갖춘 것 을 가리킨다. 추사체와 문인화의 필체가 마치 금석을 깎아 놓은 듯 직선적이고 간결한 것은 이러한 금석기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법고창신은 옛것을 근원으로 삼아 문인화에 독특한 질서를 찾아낸 것으로, 제 주도 유배시기 작품에 자유분방함과 ‘괴(怪)’의 요소가 표현된 것이다. 김정희는 법고를 모범으로 삼되 법고의 장점과 법의 뜻을 안다면 더 이상 그에 얽매이지 말고 창신을 추구해야 한다는 보다 발전된 실사구시적 미의식을 강조하였다.

이상을 바탕으로 제주유배시기의 추사 김정희 서・화의 조형적 특성을 요약하 면 다음 <표 2>과 같다.

35) ①청렴(淸廉) 결백(潔白)하여 욕심(慾心)이 없음 ②서화(書畫), 문장(文章), 인품(人品) 등(等)이 저속(低俗)하지 않고 아취(雅趣)가 있음, 자료검색일 2012. 12. 11, http://hanja.naver.com /word?query=%E6%9E%AF%E6%B7%A1

제주유배시기 추사 김정희 서・화의 조형적 특성

고졸미(古拙美) 서툰듯한 자연스러움

예스러움

문자향(文字香)ž 서권기(書卷氣)

여백의 미,정신적 경지,고담,간결 은은한 품격,화려하지 않은 색상

중화미(中和美)

감정과 이성의 결합,양강과 음유의 조화, 형세가 온화하고 체세(體勢)고름

균제감,질서

금석기(金石氣) 주조 글자처럼 질박하고 고졸한 기식,장엄미

역사미와 시간미,직선적,간결

법고창신(法古創新) 계승과 혁신의 미,정확한 형상 묘사,자유분방함

<표 2> 제주유배시기 추사 김정희의 서・화의 조형적 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