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조사의 설명 방법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7-66)

3. 한국어 교재의 조사와 조사 간 결합형 비교 ·20

3.3.3. 조사의 설명 방법

통점을 가지지만 차이점도 많이 보인다.

첫째, 한국 교재에서는 주로 조사 '-이/가', '-은/는'을 제시하고 있는데 중 국 교재에서는 앞부분에 일치하지 않고 다르게 제시하고 있다. 『표준 한국어 (수정판)』의 첫 조사는 보조사'-은/는'으로 제시하고 있고, 『기초 한국어(수 정판)』의 첫 조사는 보조사'-도'를 제시하였고, 『한국어(수정판)』교재의 첫 조사는 주격조사 '-가/이'로 되어 있다.

둘째, 한 조사가 다양한 용법이 있는 경우는 학습 단계에 맞추어 따로 제시 하고 있지만, 한국 교재보다 중국 교재가 더 상세하게 분류하고 있다. 조사 '-(으)로'를 보면 『이화 한국어』는 6위에 조사 '-(으)로(방향)'을 제시하고 16위에 조사 '-(으)로(수단)'을 두 가지 의미로 제시하였다.『기초 한국어(수 정판)』에서는 12위에 조사 '-(으)로(방향/수단/방법/도구/양태)를 제시하고, 17위에 '-(으)로(기준/재료)'를 제시하고 19위에 '-(으)로(신분/변화의 결과/

이유)'를 더 세밀하게 분류하여 순서대로 제시하였다.

셋째, 한국 교재는 사용 빈도에 따라 조사 '-이/가'와 '-은/는'을 먼저 제시 하고, 중국 교재는 보조사를 우선 제시하거나 앞부분에서 제시하고 있다. 이는 중국인 학습자들의 이해의 편의에 맞추어 주려는 의도가 나타난다.

이러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어서 사용 빈도를 고려하여 중국어 대응 표현이 없는 '-이/가', '-은/는', '-을/를'등 조사를 먼저 제시하는 것과 보조사를 먼 저 제시하는 것 중 어떤 것이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더 효율적인지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

조사 『이화 한국어』 『연세 한국어』 『외국인을 위 한 한국어』

1 -은/는

문장의 화제를 표시한다 문장의 주제 혹은 화제를 표시한다

대조 대조, 강조

2 -이/가 문장의 주어를 표시한다 문장의 주어를 표시한다.

3 -을/를 문장의 빈어(賓語)를 표시

한다. 문장의 빈어(賓語)를 표시

한다

4 -에

행위의 방향이나 목적지 사람 혹은 물건이 있는 곳 명사 뒤에 지점이나 위치를

표시한다. 동작이나 상황은 발생한 시간

5 -와/과/하

고 둘 이상의 사물을 열거함. 두개 혹은 이상의 명사를 연결해 준다.

6 -(으)로

처소 혹은 방위명사 뒤에서 어떤 지점이나 방향을 말한 다

처소(處所)명사 뒤에서 쓰 이고 방향을 표시한다 행위의 도구 수단 방법 등 방식, 원인, 이유, 자격

등 표시한다 7 -부터~까지 시간 혹은 처소명사 뒤에서

동작이나 상태의 지점 혹은 종점을 말한다

8 -에서 동작을 진행하는 장소 동작을 발생한 지점 9 -도 의미의 추가 같은 것을 혹은 비슷한 것

을 열거하다.

10 -만 배제, 특정한 범위를 한 정함

명사 혹은 부사와 연결한 조사

11 -에게/한테 사람이나 동물명사 뒤에서

동작의 대상을 말한다. 구체적 동작과 연결

<표 16 > 한국 교재의 조사와 조사 간 결합형 설명 명이다.

본 절에서는 한국 교재와 중국 교재에서의 조사와 조사 간 결합형에 관한 설 명 방법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아울러 양국 교재의 설명 방법의 차이점과 공 통점을 살펴보겠다.

12 -보다 비교의 대상 비교 13 -의 소속관계를 말한다. 소속, 소유

14 -(이)나

둘 이상의 사물이 나열하

다. 두개 혹은 이상을 열거

만족하지 않지만 괜찮다는 정도

15 -에는 16 -(으)로는 17 -에서는 18 -에도 19 -께서는

20 -에서도

순서대로 조사 두 개 이상 연속 쓸 수 있다.'에도, -에만, -에서도, -에서만, -(으)로도, -(으)로만'등 21 -(으)로도

22 -에게는/한 테는

『이화 한국어』와 『연세 한국어』는 문법을 모두 중국어로 설명하고 서술 방식도 중국식 '…를 표시한다(表示…)'라고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보조사 '-은/는'을 제시할 때 '문장의 주제 혹은 화제를 표시한다.'고 서술하고 있다.

이는 교재에서 제시된 중국어 '表示句子的主题或话题'를 그대로 번역만 한 것 이다.

또한 『이화 한국어』와 『연세 한국어』는 한국어 조사 간 결합형에 대해 설명을 거의 하지 않고 있다. 『이화 한국어』교재에서는 '-에서도'를 제시할 때 조사의 결합에 대한 '조사는 두 개 이상 연속 쓸 수 있다'라고 한마디만 설 명을 하였다. 한국 교재의 문법 설명을 보면 주로 문법의 기능과 용법을 중심 으로 설명하고 있다. 구체적인 사용 방법, 한계성, 주의점 등을 많이 다루고 있지 않다.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재는 설명이 아무것도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이

교재는 한국어로 서술되어 있고 문법을 제시할 때도 문법 항목을 제시해 놓고 예문과 연습 문제를 제시하고 있다.

『이화 한국어』와 『연세 한국어』는 조사와 조사 간 결합형 설명 방법에 있어 차이점도 많다. 조사 '-에'를 살펴보면 『이화 한국어』교재에서는 '방 향, 목적지, 지점 혹은 위치'라고 설명 되어 있는데 같은 '-에' 조사가 『연세 한국어』교재에서는 '사람 혹은 물건이 있는 곳, 동작이나 상황을 발생한 시간 '이라고 되어 있다. 두 교재는 모두 초급 에서 '-에'를 제시하였는데 초급 단 계를 맞추어 용법 중 위와 같이 두 가지만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화 한국어』에서의 '-에서' 조사의 설명 방법을 보면 '동작 진행 하는 장소'라고 하였다. 실제로 한국어에 대한 기초 지식이 인식을 거의 없는 중국인 초·중급 학습자들은 조사 '-에'와 '-에서'를 많이 혼동한다. 구체적 제대로 설명해 주어야 오류를 최소화 시킨다. 『이화 한국어』는 조사 '-에'를 '지점, 위치'라고 설명하고 있고, '-에서'는 '장소'라고 설명하고 있다. 하지 만 '지점', '위치', '장소'는 중국어로 번역하면 거의 비슷한 뜻을 가진다. 학 습자들이 이러한 설명을 보면 두 조사를 구별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연세 한국어』는 조사 '-에'는 '사람 혹은 물건이 있는 곳'과 '시간' 두 가지 용법으로 설명하였는데, 조사 '-에서'는 '동작을 발생한 지점'이라고 설 명하였다. 이런 방식이 학습자들이 쉽게 용법을 기억할 수 있게 한다고 본다.

또한 조사 '-와/과/하고'는 '병열 열거'인데 『이화 한국어』는 '둘 이상의 사 물을 열거함'으로 제시하고 있지만 병열관계라는 말 자체를 설명하지 않았다.

『연세 한국어』는 '두 개 혹은 이상의 명사를 연결해 준다.'라고 설명을 하였 는데 이것은 바로 중국어 '연사'를 연상하지만 '병열, 열거'뜻이 나타나지 않 으므로 이러한 기술은 적절하지 않다고 본다.

조사 '-만'의 설명 방법은 『이화 한국어』에서 '배제, 특정한 범위를 한정 함'으로 아주 불확실하게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설명을 보면 바로 용법과 대 응 중국어 표현이 연상되지 않는다. 『연세 한국어』에서는 조사 '-만'은 '명 사 혹은 부사와 연결한 조사'라고 설명을 하였다. 이는 사용 환경만 제시하였 고, 이 조사의 용법, 의미 혹은 한계를 말해 주지 않았다. 또한 조사 '-에게/

한테'도 『연세 한국어』교재에서 '구체적 동작과 연결'이라고 설명하고 있는

조사 『표준

한국어(수정판)』 『기초 한국어(수정판)』 『한국어(수정판)

1 -은/는

체언 뒤에 진술한 주 체를 말한다

체언 뒤에 화제를 표시하 고 대조, 강조하는 뜻

설명하는 대상, 서 술의 주체, 대비, 강조하는 용도 명사, 대명사 뒤에 문

장의 주제로 만들어 준다

2 -이/가 명사, 대명사 뒤에 주

어를 표시한다 체언 뒤에 동작, 상태,

성질의 주체를 표시한다. 행동, 상태 혹은 성질의 주체

3 -을/를 명사 뒤에 명사를 문 장의 빈어(목적어)로 만든다

이동 동사(가다/오다 등) 결합해서 출발지와 목적 지를 표시하거나 경유지 와 동작을 진행한 처소를 표시한다.

동작 직접 관련한 대상

4 -에

시간을 표시한다.

사물이나 사람이 존재하

는 장소 사물이나 사람이

존재하는 장소.

장소의 단어 뒤에 목적지

를 표시한다. 동작을 진행한 목 적지.

수량의 기준

시간명사 뒤에 동작을 진 행하는 시간을 표시한다.

시간체언 뒤에 동 작이나 행위, 상태 를 발생한 시간을 표시한다.

심리상태 혹은 인지상태 기준이 되는 대상 혹은 단위

행동에 의거한 수단, 재

료 전화번호를 읽을

때 많이 쓰임 무정명사 뒤에 의미를 추

가함 원인

5 -와/과/하고

명사 대명사 뒤에 '다 른 것과 같이'라는 뜻

병렬 대상을 표시한다.

공동 행동하는 대 상

명사를 연결하는 조사

병열 비교의 대상 6 -(으)로 동작을 진행하는 방향

및 목적지 체언 뒤에 행동의 방향

목표에 대해 표시한다. 동작의 방향

<표 17 > 중국 교재의 조사와 조사 간 결합형 설명 데 이는 설명이 아니라 사용 환경만 제시한 것이다.

다음으로 중국 교재에서 조사를 어떻게 설명하는지를 정리해 보도록 한다.

수단, 도구, 재료 등 체언 뒤에 행동의 수단, 방법, 도구를 표시한다.

변화의 대상

행동의 방식, 양태 기준, 표준 재료. 원료

행위의 방식, 방 법, 수단, 도구 등 신분, 자격, 명성 등

변화의 결과 원인, 이유

7 -부터…까지 시간명사 뒤에 시간의 기점과 종점을 표시한 다.

동작이 시작하는 시간과 완료된 시간

8 -에서 동작을 진행하는 장소 근거, 이유

동작을 진행한 장 소.

출발한 장소

9 -도 포함하다 체언 뒤에 포함한 뜻 포함

10 -만 한정하다 명사, 부사, 어미 뒤에서

강조하는 뜻 한계

11 -에게/한 동작에 관련된 대상을

표시한다. 유정명사 뒤의 동작에 관

련된 간접 대상 동작에 관련된 간 접 대상

12 -보다 명사 뒤에 비교의 대

상을 말한다. 체언 뒤에 비교의 대상 비교 13 -의 명사, 대명사 뒤에 영

속관계를 표시한다.

명사 간의 연결하는 조 사, 소속 관계를 표시한 다.

체언 뒤에 소속, 소유, 속성 등을 표시한다.

14 -(이)나

추측, 대충, 혹은 둘 중 하나를 선택하다 누구, 언제 등 의 문사 뒤에 '아무튼 ' 뜻이다

양보/선택 포함 둘 이상 같은 자격

의 사물은 그중에 하나를 택하다.

15 -에는 사간 혹은 지점의 대조,

강조 강조, 대비

16 -(으)로 '…근거로는…'

17 -에서는 단체 주어

18 -에도 '…도 같다' 19 -께서는

20 -에서도 21 -(으)로

22 -에게는/한테는 강조

중국 교재의 문법 설명은 한국 교재보다 더 구체적으로 되어 있다. 중국에서 출판된 교재라서 물론 설명은 모두 중국어로 기술되어 있다.

보조사 '-은/는' 은 대응 중국어 표현이 전혀 없는 조사이므로 사실은 초급 단계의 학습자들이 이해하기가 힘든 조사이다. 『기초 한국어(수정판)』에서 조사 '-은/는' 제시할 때 '화제, 주제'의 용법을 제시하고 '대조'용법은 제시 하지 않았다. 『한국어(수정판)』에서는 조사 '-은/는'의 문법 용법은 '화제, 대조'를 한꺼번에 모두 제시해 주었다. 사용 빈도로 볼 때 조사 '-은/는'은 초 급에서 '화제, 주제'라는 용법이 먼저 제시해 주고 이 다음으로 '대조'로 제시 해 주어야 한다. '-은/는'이 두 개 용법을 같이 제시하면 초급 학습자들에게 이해하기가 힘들 수도 있다. 단계별로 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사 '-에'를 보면 『표준 한국어(수정판)』는 '시간, 수량의 기준' 두 가지 를 제시하였지만 '-에'의 제일 중요한 용법 중 하나인 '지점, 장소'의 용법을 제시하지 않았다. 조사와 관련하여 용법이 여러 가지인 경우는 사용 빈도에 따 라 순서대로 제시될 필요가 있다. 또한 조사 간 결합형의 설명이 아주 부족하 고 정확하지 않다. 세 가지 교재에서 모두 조사 간 결합형을 제시하고 설명해 주지 않았다. '조사와 조사가 연속 사용할 수 있다'는 기본적 설명조차 없었 다. 또한 『기초 한국어(수정판)』에서는 제시된 '-에서는' 같이 설명은 '단체 주어'라고 제시하고 있는데 '-에서는' 앞에 지점 명사를 강조하는 의미도 있 다. 예를 들면 '도서관에서는 큰소리로 말하지 마세요.'라는 문장이 있어서 조 사 결합인 '-에서는'은 '단체주어'라고 아니다.

한국어 조사와 조사 간 결합형과 관련하여 대한 한·중 한국어 교재의 차이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7-6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