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조사의 명칭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6-50)

3. 한국어 교재의 조사와 조사 간 결합형 비교 ·20

3.3.1. 조사의 명칭

여섯 종 교재에서 제시된 조사와 조사 결합 현상은 학습자들에게 많은 혼란 을 준다. 교재마다 제시된 항목이 다소 다르기 때문에 정확히 교재 분석을 진 행하기 위해 선정된 여섯 종 교재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조사의 목록을 선정 하겠다. 이 목록에서 제시된 조사와 조사 간 결합형을 바탕으로 비교 분석을 진행하겠다. 우선 선정된 조사 목록을 제시하겠다.

(9) 선정된 한국어 교재에서 공통적인 조사의 목록:

조사: -은/는, -이/가, -을/를, -에, -와/과/하고. -(으)로, -부터…까 지, -에서, -도, -만, -에게/한테, -보다, -의, -(이)나

조사 결합 현상: -에는, -(으)로는, -에서는, -에도, -께서는, -에서도.

-(으)로도, -에게는/한테는

(9)에서 제시된 목록과 같이 여섯 종 교재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낸 조사는 충 14개, 조사 결합 현상은 충 8개이다. 이를 가지고 한국어 교재에서 조사와 조 사 결합 현상의 명칭을 어떻게 기술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도록 한다. 한국 교재 에서 조사와 조사 간 결합형의 명칭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의 조사

-(이)나 조사

-에는 -(으)로는

-에서는 -에도 -께서는 -에서도 -(으)로도

-에게/한테는 조사

빈 칸에 해당하는 경우는 조사와 관련하여 어떠한 명칭도 제시되지 않았다.

위와 같이 한국 교재는 조사의 명칭을 많이 제시하지 않았다. 『이화 한국 어』는 거의 '조사'라고만 제시하고 있다. 『연세 한국어』는 조사 '-이/가'가 기능에 따라 '주격조사'로, 조사'-을/를'은 용법에 따라 중국식 명칭은 '빈격

(賓語)조사24)'라고 하였다. '빈격조사'라는 것은 원래 중국어 문법 체계에 있는 명사가 아니라 한국어 혹은 일본어의 '목적격조사'를 설명할 때 중국인 학습자들이 쉽게 이해하도록 새로 만들어 놓은 말이다.

또한 『연세 한국어』는 조사 '-에서, -에'는 '시지(時地)조사'라고 명명 되어 있다. 시간(時間) 혹은 지점(地點) 명사와 연결해서 쓰는 조사 여서 이러한 용법에 따라서 '시지(時地)조사'라는 명칭이 붙었다. '시지조사'라는 명칭은 중국어 문법 체계에 없고 한국어 문법 체계에도 없는 명칭이었는데 초 급 학습자들이 조사 '-에서'의 용법을 기억할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명칭이 다.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재는 명칭을 제시해 주지 않았다.

한국어 교육에서 '메타언어(metalanguage)'는 언어를 설명하는 언어로서 문 법에서의 메타언어는 해당언어의 문법 혹은 문법 규칙을 설명하는 도구적 언어 이다.25) Borg(1999:96­98)는 외국어로서 영어 문법 교육에서 메타언어인 문 법용어가 오히려 학습자들에게 부담을 주고 방해가 된다고 주장하였다. 이 반

24) '빈격조사'는 중국어 빈어(賓語)의 위치에서 쓰는 조사라고 표시한다. 빈어는 한국어 목적어와 같이 동작을 받은 대상을 말한다.

25) Berman(1979)는 문법 규칙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사용되는 언어를 메타언어라고 지침 하고, 전문용어(technical terms)로서 명사, 동사, 절, 주어 등과 같이 문법을 기술적 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 학위 전문 용어(subtechnical vocabulary)로 나누었다.

(박혜림 외 2008:97 제인용)

조사 『표준한국어(수정판)』 『기초 한국어(수정판)』 『한국어(수정판)』

-은/는 첨의조사 첨의조사 보조사

-이/가 주격조사 주격조사 주격조사

-을/를 목적격조사 목적격조사 목적격조사

-에 장소조사/부사격조사 부사격조사

-와/과/하고 접속조사 부사격조사

-(으)로 목적격조사 부사격조사 부사격조사

-부터…까지 첨의조사 보조사

-에서 부사격조사 부사격조사

-도 첨의조사 첨의조사 보조사

-만 첨의조사 첨의조사 보조사

-에게/한테 부사격조사 부사격조사

-보다 첨의조사 첨의조사 부사격조사

-의 속격조사 속격조사 관형격조사

-(이)나 조사 첨의조사 보조사/접속조사

-에는 복합조사 복합조사

<표 12 > 중국 교재의 조사와 조사 간 결합형 명칭

면에 박혜림 외(2008:98)와 Hutchison(1987)는 언어에 대해 쉽게 말하기 위해 서 학습자는 문법에 대한 메타언어에 익숙해져야 한다고 하였다. 문법 용어는 문법적 요소를 지칭하는 지름길의 역할을 한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어 교육 분 야에서도 이관규(2005)는 학습자의 사고력, 교수의 용이성 등을 위해 문법 메 타언어의 사용이 필요함을 언급하였다.

한국 교재 『이화 한국어』와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는 메타언어인 조사 의 명칭을 노출시키지 않는다.『연세 한국어』교재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쉽게 이해하도록 위해 맞추어서 제시하였다. 교육 과정에서 '메타언어'를 노출해야 되는지 안해야 되는지 이미 많이 논쟁들이 있었다. 하지만 본고에서는 교재에 서 문법 항목의 명칭은 노출되어야 한다고 인정하고 있다.

다음으로, 중국 교재에서의 조사 명칭을 살펴보겠다.

-(으)로는 복합조사 -에서는

-에도 복합조사 복합조사

-께서는 주격조사 주격조사 주격조사

-에서도 -(으)로도 -에게/한테는

중국 교재는 동일 교재에서도 조사 명칭을 제시되고 있는 경우가 있지만 없 는 경우도 있다. 특히 조사 간 결합형을 제대로 제시한 경우는 매우 적은 편이 다.

『표준 한국어(수정판)』는 조사 '-은/는'을 의미에 따라 '첨의 조사'라고 제시하였다. '첨의 조사'는 '보조사'와 비슷한 의미를 가진 조사로 '체언 뒤에 나타나며 의미를 첨가해 주거나 보조해 주는 조사'로 정의하였다26). 물론 이 명칭도 한국어 혹은 일본어 문법을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진 명사이었다. 조사 '-의, -이/가'는 기능에 따라 '속격조사', '주격조사'로 한국 문법 용어로 제 시하고 있다.

『기초 한국어(수정판)』의 조사 명칭은 다소 혼란이 많다. 조사 '-은/는'은 의미에 따라 '첨의 조사'라고 중국어 명칭을 가지고, '-에서'는 부사격조사'라 고 하고, 조사 '-에'는 '장소조사'라고 제시하였다. '장소조사'라는 명칭도 중 국어로 한국어 혹은 일본어의 '장소명사와 함께 사용하는 조사'를 설명할 때 그 용법에 따라 만들어진 명칭이었다. 그러므로 명칭의 선정 기준이 일치하지 않으므로 메타언어로서 문법 교육 과정에서 학습자들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한국어(수정판)』는 동일한 기준을 따라서 조사 명칭을 명확하게 제 시되어 있다.

<표 11>과 <표 12>를 비교해 보면 한국어 조사와 조사 간 결합형의 명칭의 기술 방식이 차이가 많이 보인다. 이러한 차이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26) 『한국어 실용 어법 사전』 (2009, 외국어 교학연구 출판사)에서 첨의조사의 정의를 그대로 번역하였다.

첫째. 한국 교재에 비해서 중국 교재에서 문법 메타언어가 더 많이 노출되고 있다.『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재는 조사의 명칭을 하나도 제시하지 않았다.

둘째, 한·중 교재에서 나타난 조사와 조사 간 결합형의 명칭은 일정한 기준 이 보이지 않다.『표준 한국어(수정판)』교재를 보면 중국어 '첨의조사'라는 명칭이 있고 '주격조사', '목적격조사'라는 명칭도 있다. 특히『연세 한국어』

교재에서 '시지(時地)조사'라는 한국어 문법이나 중국어 문법에서 모두 없는 명칭이 사용되고 있다.

셋째, 한국 교재에 비하면 중국 교재에서는 조사 간 결합형의 명칭을 많이 제시한 편이다. 중국 『기초 한국어(수정판)』, 『한국어(수정판)』은 사용 빈 도수가 높은27) 조사 간 결합형의 명칭을 일부만 제시하였지만 한국 교재에서 조사 간 결합형의 명칭을 거의 제시하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초·중급 학습 단계에서 조사와 조사 간 결합형의 제시 명칭에 관해 우선 일정한 기준이 있어야 한다. 한국어 학교 문법에 따라서 정할지 조 사의 기능·의미에 따라서 정할지 혹은 중국인 학습자들이 쉽게 이해하는 용법 에 따라 정할지 동일 교재 내에서 일정한 기준을 보여야 한다.

또한 만약 독특한 명칭을 꼭 제시해야 한다면 반드시 보충 설명을 해주어야 한다.『연세 한국어』 교재에서 '시지(時地)조사'같은 경우에는 중국어도 아 니고 한국어도 아닌 경우인데 이 명칭은 '-에'의 용법에 따라 항상 지점명사와 시간명사를 붙어서 사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명칭으로 사용하면 학습자들이 더 쉽게 기억할 수 있을 거라고 밝혀주어야 한다. 마지막에 초급단계에서 조사'-의' 경우에는 '관형격조사'라고 제시되어 있어서 학습자들이 이해하지 못할 수 가 있다. 이러한 조사의 명칭을 제시할 때 한국어 문법에 따라서 '관형격조사' 라고 제시하면서 중국식 명칭을 하나 더 붙여주는 것이 효율적일 수도 있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6-5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