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Ⅳ. 연구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성별분포는 여자가 394명으로 남자보다 2명 더 많았다. 연령의 경우 30대가 27.0%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40대 26.0%, 20대 24.6% 순으로 많았다. 결혼 상태는 기혼이 66.2%로 미혼보다 많았다.

거주 지역은 광역시(5개시)가 52.3%로 47.7%인 서울특별시보다 많았다. 직업은 전 업주부가 26.1%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직+화이트칼라가 25.2%로 그 다음으로 많 았고, 자영업이 11.9%로 가장 낮은 분포를 보였다. 최종학력은 대학 재학 이상이 64.8%로 가장 많았으며, 중학교 졸업이하가 8.3%로 조사대상자의 90% 이상이 고 등학교 졸업 이상이었다(표 5).

구분 n %

성 남 392 ( 49.9)

여 394 ( 50.1)

연령(세) 20대 193 ( 24.6)

30대 212 ( 27.0)

40대 204 ( 26.0)

50세 이상 - 64세 이하 177 ( 22.5)

결혼상태 기혼 520 ( 66.2)

미혼 266 ( 33.8)

거주 지역 특별시 375 ( 47.7)

광역시 411 ( 52.3)

직업1) 전문직+화이트칼라 197 ( 25.2)

블루칼라 136 ( 17.4)

자영업 93 ( 11.9)

전업주부 204 ( 26.1)

무직+학생 151 ( 19.3)

최종학력1) 중학교 졸업 이하 64 ( 8.3)

고등학교 졸업 209 ( 27.0)

대학 재학 이상 502 ( 64.8)

계 786 (100.0)

주 : 1) 무응답 제외로 변수별 사례수와 일치하지 않음

표 5.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단위 : 명

경제적 요인에서 월 평균 가구 소득은 250∼349만원 이하 25.2%, 249만원 이하 24.7% 순으로 많았다(표 6).

구분 n %

월 평균1) 가구소득(만원)

249만원 이하 157 ( 24.7)

250만원 이상 - 349만원 이하 160 ( 25.2) 350만원 이상 - 449만원 이하 107 ( 16.9) 450만원 이상 - 549만원 이하 109 ( 17.2)

550만원 이상 102 ( 16.1)

계 635 (100.0)

주 : 1) 무응답 제외로 변수별 사례수와 일치하지 않음

표 6. 조사 대상자의 경제적 특성 단위 : 명

건강관련 요인인 평소 건강상태에 대해 49.9%가 좋다고 하였으며, 42.2%는 보 통이라고 하였다(표 7).

구분 n %

평소 건강 상태 좋다 392 ( 49.9)

보통이다 / 그저 그렇다 332 ( 42.2)

나쁘다 62 ( 7.9)

계 786 (100.0)

표 7. 조사 대상자의 건강관련 특성 단위 : 명

연구 대상자 가족 구성원의 의료기관 이용실태를 살펴보면 (표 8)과 같다. 평 소 의료기관 이용 시 마다 지불하였던 의료비의 가계 부담 정도는 보통이다가 38.6%, 부담된다가 36.1%로 가계 부담을 느끼지 않는 것 보다 부담을 느끼는 대 상자가 더 많았다.

구분 n %

의료비 가계 부담 정도1)

부담되지 않는다 196 ( 25.2)

보통이다 300 ( 38.6)

부담된다 281 ( 36.2)

계 777 (100.0)

주 : 1) 무응답 제외로 변수별 사례수와 일치하지 않음

표 8. 조사 대상자의 의료기관 이용 단위 : 명

의료기관 선택 요인에서는 질병의 경증도에 따른 의료기관 선택요인을 알아보 기 위해 ‘경증’인 경우와 ‘중증’인 경우로 나누어 분석하였다(표 9). 의료기관 선택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점은 경증인 경우 의료진 전문성 32.8%, 근접성 31.2%, 의료진 서비스 16.7% 순이었다. 중증인 경우는 의료진 전문성 57.1%, 병원 시설 17.0%, 병원 인지도 13.5%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경증과 중증 모두 의료진의 전문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 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경증은 근접성 역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중 증의 경우는 병원시설과 의료진 서비스 항목을 그 다음으로 중요한 요인으로 생 각하였다. 이는 병이 경증의 경우 의료진 전문성은 32.8%였으며, 중증인 경우 의 료진의 전문성이 57.1%로 경증과 중증의 경우 모두 의료진의 전문성을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나, 중증의 경우 다른 요인에 비해 월등이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증 전문성 근접성 병원

인지도 시설 의료진서비스 계

²

경 증

전문성 195(24.8) 4(0.5) 17( 2.2) 31( 3.9) 11(1.4) 258( 32.8)

120.220***

근접성 127(16.2) 13(1.7) 40( 5.1) 46( 5.9) 19(2.4) 245( 31.2) 병원 인지도 39( 5.0) 2(0.3) 22( 2.8) 15( 1.9) 8(1.0) 86( 10.9) 시설 30( 3.8) 2(0.3) 7( 0.9) 24( 3.1) 3(0.4) 66( 8.4) 의료진 서비스 58( 7.4) 1(0.1) 20( 2.5) 18( 2.3) 34(4.3) 131( 16.7) 계 449(57.1) 22(2.8) 106(13.5) 134(17.0) 75(9.5) 786(100.0) P는 *** < .001 에서 유의함.

* 의료진 서비스:의료진 서비스, 진료비, 주변인 추천

표 9. 질병의 경중도에 따른 의료기관 선택요인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