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2절 정책제언

문서에서 복지인식 유형화 및 영향요인 분석 (페이지 104-107)

한국의 복지정책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복지 분야에 많은 예산이 투입되고 있다. 많은 예산이 투입되는 것에 비해 정 책 투입의 효과 및 정책 효율화 방안에 대한 고민은 상대적으로 많이 부 족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복지정책에 다양한 분야를 종합 적으로 고려하여 복지정책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인 집단이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 지를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정책 수립에 따른

제6장 결론 97

수혜대상 선정시에 본 연구를 활용하여 정책의 효율을 높이는데 사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간단한 예를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고려된 개인들의 정보 를 확보 할 수 있다면, 그 정보를 통해 정책 수혜자가 어떤 그룹에 포함될 지를 사전에 예측 할 수 있다. 아래와 같은 임의의 정책 수혜 예상자가 있 다고 가정하자.

<표 6-1〉 정책 수혜 예상자의 일반사항

앞에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각 그룹에 포함 될 확률을 <표 6-2>와 같이 도출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특성을 가진 정책 수혜자는 그룹 1에 속 할 확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비슷한 수치로 그룹 4에도 포함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보아 복지정책에 대해서 대부분 중립적이거나 부정적인 인 식을 가진 사람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설명변수 변수 값 설명변수 변수 값

지역 비수도권 성별 남성

가구원 수 4 연령 50

건강상태 3 고학력 여부 전문대 이상

민간보험 가입 수 1 장애 여부 장애 있음

생계비 지원 경험여부 없음 기혼 여부 미혼

의료비 지원 경험여부 없음 만성질환 여부 있음

물품 지원 경험여부 없음 상용직 여부 해당없음

소득 5,000만원 임시, 일용직 등 여부 해당없음

저소득층 유무 일반가구 고용주, 자영업 등 여부 해당

98 복지인식 유형화 및 영향요인 분석

<표 6-2〉 그룹별 확률 예상치

그룹 1 그룹 2 그룹 3 그룹 4

추정확률 0.357 0.287 0.025 0.331

위와 같이 정책 수혜 대상자의 데이터를 확보 할 수 있다면 그 사 람에 대해서 위와 같은 예측 과정을 통해 좀 더 수혜자에게 맞는 정 책을 제안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김사현, 홍경준. (2010). 잠재집단분석방법을 통한 서울시민의 복지태도 연구.

사회복지정책, 37(2), pp.95-121.

김신영. (2010). 한국인의 복지의식 결정요인 연구: 국가의 공적책임에 대한 태 도를 중심으로. 조사연구, 11(1), pp.87-105.

김수완, 김상진, 강순화. (2014). “한국인의 복지정책 선호에 관한 연구: 성장과 분배, 선별과 보편을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30(2), pp.67-90 김영순, 여유진. (2011). 한국인의 복지태도: 비계급성과 비일관성 문제를 중심

으로. 경제와사회, pp.211-240.

김윤태, 유승호, 이훈희. (2013), “한국의 복지태도의 정치적 역동성: 탈계급성 과 정치적 기회의 재평가”, 『한국학연구』, 45, pp.183-212

김태완, 오미애, 이주미, 신재동, 정희선, 이병재, … 김정욱. (2018). 2018년 한 국복지패널 기초분석 보고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항기, 권혁용. (2017). 부동산과 복지국가: 자산, 부채, 그리고 복지태도. 한국 정치학회보, 51(1), pp.261-285.

김희자. (2013), “한국인의 복지태도에 대한 탐색적 연구”, 『동서언론』, 16, pp.59-88.

류만희, 최영. (2009), “복지정책에 대한 지지도 연구: 복지의식, 계층, 자기이해 (self-interest)의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3(1), pp.191-210.

박미옥. (2005).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정책에 대한 주민의식 분석: 이천시 사 례를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4(1), pp.153-193.

송유진. (2015). 서민 귀속의식의 결정요인. 비판사회정책, 49, pp.172-201.

송한나, 이명진, 최샛별. (2013). 한국 사회의 객관적 계급 위치와 주관적 계층의 식 간 격차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인구학, 36(3), pp.97-119.

안상훈, 김영미, 김수완. (2021). 한국인의 복지태도: 균열구조의 형성과 변화.

보건사회연구, 41(1), pp.42-60.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문서에서 복지인식 유형화 및 영향요인 분석 (페이지 104-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