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복지인식변수의 기초통계량

제2절 복지인식 지표

2. 복지인식변수의 기초통계량

분석에 사용된 정부의 사회정책 분야에 대한 기초통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복지패널을 패널 데이터의 형태로 사용하지 않고 풀링 (Pooling)하여 사용한다. 복지정책에 대한 인식 조사가 3년마다 시행되 고 있어 해당 시기의 평가를 하므로 다르게 보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생각

28 복지인식 유형화 및 영향요인 분석

된다. 또한 패널형태보다는 횡단면 자료 형태로 분석을 하여 보다 많은 데이터를 확보하여 추후에 결정요인 분석 시 다양한 변수를 고려할 수 있 어 좀 더 개별 그룹을 구분하는데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종합적으로 검토 할 수 있다.

먼저 전체 데이터에 대한 기초통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표 3-3〉 한국복지패널 부가조사표 구성 및 조사 대상

복지분야 관측치수 평균 표준편차

의료 11,696 2.399 0.765

노인 11,696 2.547 0.824

장애인 11,696 2.840 0.908

보육 11,696 2.793 0.816

빈곤 11,696 3.157 0.854

고용 11,696 3.375 0.848

주거 11,696 2.946 0.804

교육 11,696 3.050 0.854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2020) 한국복지패널 1-15차 결합 데이터.

분석에 고려된 샘플은 11,696의 관측치이다. 설문의 응답은 1번이 매 우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이고 5번으로 갈 수 록 부정적인 평가를 하도 록 설계되어 있다. 8개의 복지분야 중에서 점수가 가장 낮아서 응답자들 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분야는 의료분야이다. 다른 영역에 비해 아픈 사 람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지 정책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평가하 고 있다. 반면 가장 점수가 높아 부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분야는 고용 분야이다. 응답자의 대부분은 실업에 대한 대응 정책에 대해 부정적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정책에 대한 평가에서 보통인 3점 보다 낮아 서 평균의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되는 정책분야는 의료, 노인, 장애 인, 보육, 주거이다. 반대로 3점 보다 높아 평균의 측면에서 부정적으로

제3장 분석자료 29

평가되는 정책분야는 빈곤, 고용, 교육이다.

각 분야별 정책에 점수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히스토그램을 이용하 였다. 의료 부분에서는 절반이상이 긍정으로 평가하였고 매우 긍정을 응 답한 비중도 다른 분야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그림 3-2〕 의료 정책분야의 점수별 비율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2020) 한국복지패널 1-15차 결합 데이터.

노인 부분에서는 약 50%가 긍정으로 평가하였다. 보통의 응답도 상대 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30 복지인식 유형화 및 영향요인 분석

〔그림 3-3〕 노인 정책분야의 점수별 비율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2020) 한국복지패널 1-15차 결합 데이터.

장애인 부분에서는 긍정적인 응답과 보통의 응답이 비슷하게 나타났 다.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비율과 매우 부정적으로 평가히는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그림 3-4〕 장애인 정책분야의 점수별 비율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2020) 한국복지패널 1-15차 결합 데이터.

보육 부분에서는 보통의 응답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긍정적으로 응답 한 비중이 보통의 응답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제3장 분석자료 31

〔그림 3-5〕 보육 정책분야의 점수별 비율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2020) 한국복지패널 1-15차 결합 데이터.

빈곤 부분에서도 보통이 가장 많은 응답을 하였다. 부정의 비율이 긍정 의 비율보다 많게 나타났다.

〔그림 3-6〕 빈곤 정책분야의 점수별 비율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2020) 한국복지패널 1-15차 결합 데이터.

고용 부분에서는 부정의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매우 부정도 다른 부분의 응답과 비교해보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32 복지인식 유형화 및 영향요인 분석

〔그림 3-7〕 고용 정책분야의 점수별 비율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2020) 한국복지패널 1-15차 결합 데이터.

주거 부분에서는 보통의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긍정의 응답이 부 정의 응답보다 약간 높게 응답하였다.

〔그림 3-8〕 주거 정책분야의 점수별 비율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2020) 한국복지패널 1-15차 결합 데이터.

교육 분야에서도 보통의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긍정의 응답보다 부정적인 응답의 비율이 조금 많았다.

제3장 분석자료 33

〔그림 3-9〕 교육 정책분야의 점수별 비율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2020) 한국복지패널 1-15차 결합 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