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3절 잠재그룹 분석결과

제5장 기초분석 63

64 복지인식 유형화 및 영향요인 분석

는 편이다’ 혹은 5점 ‘매우 잘 못하고 있다’로 응답한 비중이 가장 많은 집 단이다. 정부의 복지정책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가진 그룹이라고 할 수 있다. 그룹별 응답의 특성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기 위하여 <표 5-4>에 각 그룹별 복지정책에 대한 조건부 응답 확률을 제시하였다.

<표 5-4〉 그룹별 조건부 응답 확률

복지분야 응답척도 그룹 1 그룹 2 그룹 3 그룹 4

의료

매우긍정 0.0401 0.0574 0.6597 0.0425

긍정 0.4450 0.8243 0.2680 0.3186

보통 0.4747 0.0990 0.0565 0.3637

부정 0.0396 0.0185 0.0157 0.2527

매우부정 0.0007 0.0008 0.0002 0.0225

노인

매우긍정 0.0154 0.0398 0.7247 0.0141

긍정 0.3231 0.8749 0.2088 0.2063

보통 0.6004 0.0669 0.0527 0.3158

부정 0.0597 0.0181 0.0138 0.4194

매우부정 0.0014 0.0003 0.0000 0.0445

장애인

매우긍정 0.0047 0.0107 0.5568 0.0076

긍정 0.1632 0.7740 0.3130 0.1007

보통 0.6619 0.1458 0.0879 0.1954

부정 0.1660 0.0653 0.0424 0.5812

매우부정 0.0042 0.0042 0.0000 0.1151

제5장 기초분석 65

복지분야 응답척도 그룹 1 그룹 2 그룹 3 그룹 4

보육

매우긍정 0.0037 0.0075 0.4424 0.0037

긍정 0.1734 0.7414 0.3240 0.0963

보통 0.7191 0.2053 0.1790 0.3052

부정 0.1038 0.0443 0.0501 0.5356

매우부정 0.0000 0.0016 0.0045 0.0592

빈곤

매우긍정 0.0014 0.0030 0.2913 0.0009

긍정 0.0627 0.4829 0.3427 0.0171

보통 0.6555 0.3442 0.2571 0.1334

부정 0.2778 0.1630 0.0892 0.7110

매우부정 0.0026 0.0069 0.0198 0.1374

고용

매우긍정 0.0008 0.0005 0.1806 0.0006

긍정 0.0473 0.3227 0.2421 0.0327

보통 0.5005 0.3683 0.3013 0.1306

부정 0.4320 0.2865 0.2237 0.6423

매우부정 0.0194 0.0220 0.0522 0.1938

주거

매우긍정 0.0025 0.0068 0.2294 0.0062

긍정 0.1245 0.5382 0.3480 0.1139

보통 0.6881 0.3655 0.2946 0.3156

부정 0.1817 0.0867 0.1069 0.4820

매우부정 0.0032 0.0029 0.0210 0.0823

66 복지인식 유형화 및 영향요인 분석

복지분야 응답척도 그룹 1 그룹 2 그룹 3 그룹 4

교육

매우긍정 0.0067 0.0070 0.2675 0.0079

긍정 0.1252 0.4685 0.2923 0.0793

보통 0.6347 0.3640 0.2758 0.2836

부정 0.2217 0.1529 0.1344 0.5062

매우부정 0.0117 0.0076 0.0300 0.1230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2020) 한국복지패널 1-15차 결합 데이터.

그룹 1은 복지정채 분야별로 대부분 보통의 응답이 가장 많은 응답이 다. 물론 의료의 경우 보통과 긍정의 응답이 크게 차이 나지 않지만 보통 의 응답이 더 많다. 고용의 경우 보통과 부정의 응답과 차이는 크지 않다.

보통에 대한 응답이 많은 것은 일반적인 설문조사에서 흔히 있는 일이지 만 다른 그룹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통의 응답이 대부분 많은 것을 보면 대부분의 복지정책에 중립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집단으로 판단된다.

그룹 2는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집단으로 대부분의 복지정책에 대 해서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집단이다. 의료, 노인, 장애인, 보육, 주거 분 야에서는 그룹내의 50%가 넘는 비중으로 해당 영역에 대해서 긍정적으 로 인식하고 있다. 그룹 3은 정부의 복지정책에 대한 인식이 매우 긍정적 인 집단이다. 매우 긍정적인 집단의 규모는 4%로 다른 그룹에 비해 작다.

의료, 노인, 장애인, 보육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의견보다 매우 긍정적인 의견이 많은 복지 분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빈곤, 고용, 주거, 교육은 매우 긍정보다는 긍정의 응답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그룹 4는 부정적인 의견이 다른 그룹이 비해 많은 영역이 있는 그룹이다. 특히 장애인, 보육, 빈곤, 고용, 주거, 교육은 부정과 매우 부정을 합한 비중이 50%를 넘는 복지 분야이다.

제5장 기초분석 67

그룹에 대한 특성을 좀 더 세밀하게 관측하기 위하여 응답 척도를 기준 으로 개별 그룹이 각 복지분야에 어느 정도 응답을 했는지를 아래의 그림 으로 제시하였다. 개별 응답에 대한 비중을 따로 파악하여 그림으로 표현 하였다. 예를 들면 매우 긍정에 대한 응답을 기준인 경우 모든 응답이 매 우긍정이면 1이고 모든 응답이 매우 긍정이 아니면 0으로 표현하였다. 먼 저 〔그림 5-2〕에 매우 긍정 응답을 기준으로 방사형 그래프를 작성하였 다. 그룹 3의 제외한 나머지 그룹은 모든 복지분야에 대해서 매우긍정으 로 응답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정부의 복지정책에서 의료, 노인, 장애인 분야는 국민의 인식이 좋은 것으로 알 수 있다. 하지만 빈곤, 고용, 주거, 교육 분야는 정부의 정책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는 보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그림 5-2〕 매우 긍정 응답을 기준으로 한 그룹별 분포

주: 매우긍정 응답의 비중을 표시.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2020) 한국복지패널 1-15차 결합 데이터.

68 복지인식 유형화 및 영향요인 분석

다음으로 긍정 응답을 기준으로 한 그룹별 분포를 정부의 복지정책에 서 의료, 노인, 장애인, 보육 분야는 국민의 인식이 좋은 것으로 알 수 있 다. 이는 매우 긍정의 응답에서 분야가 보육 이외에는 중복되는 것으로 보아 중복된 3가지 복지영역은 정부의 정책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의료분야는 다른 그룹에서도 긍정으로 응답한 비율이 다른 복지분 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아 의료 분야가 일반 국민으로부터 가장 좋은 평 가를 받는 분야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빈곤, 고용, 교육은 상대적으로 긍 정이 의견이 작은 것으로 보아 국민들의 신뢰를 얻지 못하는 복지분야라 고 판단된다.

〔그림 5-3〕 긍정 응답을 기준으로 한 그룹별 분포

주: 긍정 응답의 비중을 표시.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2020) 한국복지패널 1-15차 결합 데이터.

제5장 기초분석 69

다음으로 보통 응답을 기준으로 한 그룹별 분포에서는 그룹 1이 모든 영역에서 바깥쪽에 위치하여 위의 결과와 일치된다. 다른 복지분야에 비 해 빈곤, 고용, 주거, 교육, 의료가 다른 그룹에서도 보통의 의견이 상대 적으로 많게 나타났다.

〔그림 5-4〕 보통 응답을 기준으로 한 그룹별 분포

주: 보통 응답의 비중을 표시.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2020) 한국복지패널 1-15차 결합 데이터.

다음으로 부정 응답을 기준으로 한 그룹별 분포에서는 그룹 4가 모든 복지분야에서 바깥쪽에 위치하였다. 다른 복지분야에 비해 고용은 많은 그룹에서 부정적인 의견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들은 고 용에 대한 정책이 유효하게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다. 교육 및 빈곤에 대해서도 다른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의 견이 있는 분야로 나타났다.

70 복지인식 유형화 및 영향요인 분석

〔그림 5-5〕 부정 응답을 기준으로 한 그룹별 분포

주: 부정 응답의 비중을 표시.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2020) 한국복지패널 1-15차 결합 데이터.

다음으로 매우 부정 응답을 기준으로 한 그룹별 분포에서는 그룹 4를 제외한 나머지 그룹은 거의 0에 가까운 수치라고 할 수 있다. 일반 국민들 이 대부분 복지정책에 대해서 매우 부정적인 의견을 가지지는 않는 것으 로 볼 수 있다.

제5장 기초분석 71

〔그림 5-6〕 매우 부정 응답을 기준으로 한 그룹별 분포

주: 매우 부정 응답의 비중을 표시.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2020) 한국복지패널 1-15차 결합 데이터.

일반적으로 설문조사에서 자신의 의견을 뚜렷하게 나타내는 것을 꺼려 하는 응답자들이 많아 보통에 대한 응답이 많은 것이 일반적이다. 물론 다양한 복지정책에 대해서 정확한 배경지식 혹은 경험이 없다면 판단을 유보하는 의미에서 보통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응답자의 응답중에서 보통 의 응답을 제외하고 응답 문항 기준 1번과 2번을 선택한 것을 합하여 긍 정으로 간주하고 4번과 5번을 선택한 것을 부정으로 간주하여 뚜렷한 의 사 표현한 샘플로만 복지분야에 대한 인식을 파악해보고자 한다.

먼저 매우 긍정과 긍정의 응답만을 가지고 분석한 결과를 〔그림 5-7〕

에 제시하였다. 의료, 노인 분야는 그룹 2와 그룹 3에서는 거의 대다수가 정부의 정책이 잘 운용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다른 그룹에서 의료 분야는

72 복지인식 유형화 및 영향요인 분석

상대적으로 높은 긍정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고용과 교육 분야는 다른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긍정의 비중이 작은 것으로 보아 국민들이 부정 적으로 인식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림 5-7〕 매우 긍정과 긍정 응답의 샘플을 기준으로 한 그룹별 분포

주: 매우 긍정과 긍정 응답의 비중을 표시.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2020) 한국복지패널 1-15차 결합 데이터.

매우 부정과 부정의 응답만을 가지고 분석한 결과를 〔그림 5-8〕 제시 하였다. 앞서 제시한 그림과 거의 대칭의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의료, 노 인,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은 상대적으로 작고 고용, 교육, 빈곤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은 크게 나타났다. 특히 고용에 대한 의견은 다른 그 룹에서도 다른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났다. 종합해보면 의료 가 국민들에게 가장 좋게 인식되고 있는 복지분야라고 판단되고 고용분 야가 가장 부정적으로 인식되는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제5장 기초분석 73

〔그림 5-8〕 매우 부정과 부정 응답의 샘플을 기준으로 한 그룹별 분포

주: 매우 부정과 부정 응답의 비중을 표시.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2020) 한국복지패널 1-15차 결합 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