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4절 건강영향평가 사례

문서에서 건강영향평가 DB 구축 (페이지 67-71)

D B

① 논문명

② 저자

③ 발표연도

④ 연구방법(대상, 연구시기, 접근방법)

⑤ 논문의 정의: 건강결정요인

⑥ 논문의 정의: 건강

⑦ 건강영향여부

⑧ 출처

제4절 건강영향평가 사례

건강영향평가를 실시하고자 하는 연구자나 정책담당자들에게 가장 도 움이 될 만한 자료는 무엇보다도 관심 있는 주제와 관련된 사례보고서 일 것으로 생각된다.

본 홈페이지에서는 이용자들이 건강영향평가에 대해 보다 쉽게 접근 하는 한편, 여러 가지 간접경험의 기회를 부여하기 위해 건강영향평가 사례 보고서를 건강결정요인과 건강영향평가 방법별로 검색할 수 있도 록 DB를 구축하였다. 최종적으로 244건의 자료가 본 건강영향평가 홈 페이지의 DB로 정리, 구축되었다(부록 1 참조).

본 연구에서 구축한 DB는 우선 세 곳의 주요 건강영향평가 사이트 에 명시되어 있는 총 277건의 문헌 목록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가운데 실제로는 문헌을 구할 수 없는 경우, 사이트별로 문헌이 중복되는 경우, 그리고 건강영향평가와 연관관계가 전혀 없는 자료들의 경우 47건이 제 외되었다.

58

D B

○ APHO의 The HIA Gateway 사이트의 ‘Reports’ 메뉴7)를 통해 제공되는 총 164건의 완료된 건강영향평가 보고서들과 기타 영 향평가 보고서들

○ WHO의 HIA포털사이트의 ‘Examples of HIA’ 메뉴8)를 통해 제공되는 총 60건의 건강영향평가 사례연구 보고서들과 기타 툴 킷(toolkit)들

○ HIA Connect사이트의 ‘HIA Reports’ 메뉴9)를 통해 제공되는 총 53건의 완료된 건강영향평가 사례연구 보고서들

또한 2008년부터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수행해 온 건강영향평가 시 범사업의 결과를 각 사례별로 정리한 보고서 총 14건이 DB에 포함되 었다.

○ 서울시 강남구 탄소마일리지사업에 대한 건강영향평가

○ 광명시 가림중학교 운동장 인조잔디 조성사업에 대한 건강영향평가

○ 광명시 동초등학교 운동장 조명설치에 대한 건강영향평가

○ 광명시 애기능저수지수변공원 조성사업에 대한 건강영향평가

○ 창원시 자전거정책에 대한 건강영향평가

○ 시흥시 건강한 아파트 만들기 시범사업에 대한 건강영향평가

○ 광주광역시 동적골 산책로 조성사업에 대한 건강영향평가

○ 진주시 도시저소득층주거환경개선사업에 대한 건강영향평가

○ 진주시 무료어린이예방접종시범사업에 대한 건강영향평가

○ 서울시 강동구 BRT 시범사업에 대한 건강영향평가

○ 서울시 강남구 천산길 조성계획에 대한 건강영향평가

○ 드림스타트에 대한 건강영향평가

7) http://www.apho.org.uk/default.aspx?RID=44538 8) http://www.who.int/hia/examples/en/

9) http://www.hiaConnect.edu.au/completed_hia.htm

59 Merseyside Guidelines for Health Impact Assessment(International Health IMPACT Assessment Consortium, 2001)의 건강결정요인 분 류체계를 기반으로, 본 DB의 성격에 맞게 연구진과 전문가들이 회의를 거쳐 수정, 보완한 분류체계를 사용하였다. 각 문헌은 대․중․소의 체

60

physical activity, Tourism, leisure, Recreation,

Social Marketing, Social Services, Social welfare, Neighbourhood, inequalities, Community, Community intervention, Gambling, crime, Culture, economic policy, Health Equity, housing, industry

Water Supply Air, Air Quality, Climate Change Energy, green space, Environment

Waste, built environment, urban areas(Urban development), Transport and communications, roads, Noise, Mining, Land Use Agriculture

계로 된 건강결정요인 분류에 따라 정리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수정, 보 완한 건강결정요인 분류체계는 다음과 같다(표 3-4 참조).

〈표 3-4〉건강결정요인 분류

61

문서에서 건강영향평가 DB 구축 (페이지 67-7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