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위와 같은 결론을 토대로 하여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적용 대상을 자아존중감이 낮은 학생들을 중 심으로 실시하였는데 일반화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자아존중감이 높 은 학생, 성별, 출생순위 등 학생들의 여러 가지 특성에 따른 적용 효과 를 규명하기 위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연구 결과에 비추어 자아를 긍정적으로 지각함으로써 학교생활 적응이 향상된다고 볼 때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을 형성할 수 있는 심리적․물리 적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셋째, 자아존중감 프로그램 실시 후 검사 결과가 일정한 기간이 지난 후에도 유지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본 연구에서 밝히지 못했기 때문에 프로그 램 효과의 지속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왜냐하면 실험처치가 진정한 교육적 효과를 갖기 위해서는 단시일 내의 변화 또는 향상보다는 지속적 인 특성으로 남아 있도록 내면화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참 고 문 헌

강종훈(2000).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인적자원부, 한국교육개발원(2002). 2002교육통계분석자료집.

교육학사전편찬위원회(1989). 교육학대사전. 서울: 교육서관.

김금순(1997). 학교생활 부적응 여중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학교 사회사업 실천. 석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정책정보대학원.

김석기(2000). 자기성장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자아존중감 및 인간관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은영(2000). 자기성장 프로그램이 부적응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정휘, 조현주 편저(1995). 아동을 위한 생활지도. 서울: 배영사

김혜경(1999). 아동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와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 적응 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문교민(1994). 母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학교적응.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문선모(1976). 학생의 배경적 특성과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학생 지도연구. 제4집.

문은식(2002).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 행동에 관련되는 사회․심리적 변 인들의 구조적 분석.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민병수(1991). 학교생활 적응과 자아개념이 학교성적에 미치는 영향. 석사 학위논문,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유선(2000).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집단사회사업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송인섭(1989). 인간심리와 자아개념. 서울: 양서원.

안영복(1984). 적응 및 부적응행동의 특징과 관계변인.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 교 대학원.

양민철(1995). 자아개념 및 학교생활적응과 학업성적간의 관계 분석. 석사 학위논문,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양복실(2000).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적지지 및 자기지 각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엄미선(1996). 학교부적응아동을 위한 통합치료 접근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 리뷰. 창간호. 카톨릭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오만록(1984). 학업성적의 누적경험이 정의적 특성에 변화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오수경(1993). 집단사회사업실천이 비행학생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성 석사학위논문, 심여자대학교 대학원.

왕형숙(1999). 자아존중감이 중학생의 학업성적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 문,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재승(2000). 출석 불량학생과 정상학생의 가정환경, 자아정체감 및 학교 생활 적응 비교.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영덕, 한수정(1996). 학교생활 부적응 아동의 부적응 요인 감소를 위한 학 교 사회사업 집단 프로그램에 개발에 관한 연구. 태화임상사회 사업연구, 제3호,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

윤정혜(1992). 자아존중감․성역할 정체감․진로의식성숙과의 관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이광민(1998).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훈련이 자아존중감과 인간관계에 미치 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승룡(1996). 청소년기의 자아정체감과 적응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주우석대학교 대학원.

이시은(1997). 스트레스 대처양식 및 학교적응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홍익 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영선(1997). 초등학교 아동의 학습된 무기력과 성패귀인 및 학교생활 적 응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이태인(1995).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집단 사회사업의 효과.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이훈진(1999).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하대 학교 교육대학원.

임승권(2000). 교육의 심리학적 이해. 학지사.

임지숙(1998). 징계경험이 있는 중학생의 학교생활 적응 향상을 위한 집단 사회사업연구. 석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장호성(1987). 자아개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정유진(1999). 청소년 학교생활 적응의 관련 변인.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 교 대학원.

정찬식(1997).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정희정(1999). 자기성장 집단상담이 학교생활 적응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연구. 석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조원성(1996).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습동기 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최보가, 전귀연(1993). 자아존중감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한미라(1997).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스트레스 및 학교생활 부적응 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한상철 외 4인 공저(2003). 청소년 문제행동 - 심리학적 접근-. 학지사.

한혜자(1991).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아개념과의 관계연구. 석사학위 논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홍은숙(2001).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Akin, T. Cowan, D. dunne, G. Palmares, S. Schilling, D. & Schuster, s.

(1990). The best self-esteem activities: For the elementary grade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46 359)

Bachman J. G. & O'Malley P. M. (1977). Self-esteem in youngman :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impact of educational occupational attain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5(6), 365-380.

Bandura, A.(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Coopersmith, S. (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francisco : W.H. Freeman.

Coopersmith, S. (1981). Self-esteem inventories,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Erickson, E. (1954). Identity & life cycle, Psychological issues, Monograph NO 1.

Erickson, E. (1963). Childhood and society, (2nd ed), N.Y : W. W & CO.

Freud, S. (1923). There contributions to the sexual theory. Nervous and Mental Disease Monograph Series, No 7. New York. N. M.D.pub Co.

Kaplan, K. M. & Wadden, E .A.(1996). Childhood obesity and Self-esteem.

The Journal of pediatrics.

McCurdy, B. (1997). Human relations training with 7th grade boys identified as behavior problems. School counselor, 24. 248-252, Mar.

Palomares, S. (1991). All About Me: Reproducible activity sheets to develop self-esteem in your students. (ERIC Document Reprodution Service No. ED 346 360).

Reasoner, Robert W.(1994). Self-Esteem as an Antedote to Crime and Violence.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73 281)

Rosenberg, F. R. & Rosenberg, M. (1979). Self-Esteem and deliequency.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Ryan, W.(1976). Project Youth: An Approach to Drug Abuse. Elementary School Guidance & Counseling. 10. 270-278. MaY

Simmons, R. G & Blyth, D. A(1987), Moving into Adolescence: The impact of pubettal Change and school context. Hamthome, New York :Aldine & de Gruyter.7

Steffenhagen. R. A. (1989). Self-esteem : a model.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297 204).

Abstract2)

The Effects of Self-Esteem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Life

Kim, Keum Suk

Counseling Psychology Maj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eju National University Juj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Park, Tae Soo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a self-esteem program to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ir adaptation to school lif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t up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is a self-esteem program effective in enhancing students' self-esteem?

Second, what effects does a self-esteem program have on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life?

Third, what effects does a self-esteem program have on the sub-factors of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life, which are adaptation to the teacher, to relations with friends, to school classes, to school

* This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eju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August, 2003.

environment and to school ev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wenty 2nd-year male students from J Middle School in Jeju. To sample the subject, this study tested all of 150 2nd-year male students of the school on their self-esteem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selected twenty students who got the lowest score. A counseling group was formed with ten out of the twenty students, who wanted to get counseling, and a control group with the other ten.

The self-esteem program used in this study was what the present researcher developed referring to Jo Won-seong's (1996) 'Self-Esteem Promotion Program for Children', Yang Bok-sil's (2000) 'Self-Esteem Promotion Program for Children' and Jeong Chan-sik's (1997) 'Self-Esteem Promotion Program for Adolescents.' Group counseling was performed by the researcher twice a week, a total of twelve times for 60~80 minutes at each time.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only in the preliminary and posterior tests.

The self-esteem scale used comprehended Coopersmith's (1967) Self-Esteem Test and Lee Yeong-seon's (1997) Measures for Adaptation to School Life, composed of 40 questions measuring five sub factors of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life (teacher-student relation, relation with friends, school classes, school environment and participation in school event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test using SPSS/PC+ to compare the self-esteem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of the counseling group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

From the process,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 self-esteem program is effective in enhancing students' self-esteem.

Second, a self-esteem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life.

Third, a self-esteem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teacher-student relation, a sub-factor of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life.

Fourth, a self-esteem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relation with friends, a sub-factor of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life.

Fifth, a self-esteem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classes, a sub-factor of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life.

Sixth, a self-esteem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environment, a sub-factor of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life.

Putting these conclusions together, a self-esteem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self-esteem and their adaptation to school life. A self-esteem program helps students understand and embrace themselves and perceive themselves as a valuable being.

Furthermore, a self-esteem program promotes sincere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between students, and consequently, brings about good results in students' school life and their adaptation to it.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for schoolteachers to utilize self-esteem programs actively in the educational field.

부 록

<부록 1> 자아존중감 검사지

<부록 2> 학교생활 적응 검사지

<부록 3> 자아존중감 프로그램

<부록 3> 자아존중감 프로그램 활동지

<부록 4> 자아존중감 프로그램 소감문

<부록 1> 자아존중감 검사지

여러분이 스스로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입 니다. 잘 읽고 내 생각과 같으면 그렇다에 “ V "표 하고 내 생각과 다르면 아니다에 ”V" 표를 해주기 바랍니다.

항 목 그렇다 아니다 1. 때때로 나아닌 다른 사람이 되었으면 생각할 때가 있다.

2. 나는 친구들 앞에 나와서 이야기 하기가 어렵다.

3. 나에게는 할 수만 있다면 배우고 싶은 것이 많다.

4. 어려움 없이 결심을 할 수 있다.

5. 친구들과 어울리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6. 집에서 어느 누구도 나에게 관심이 없다.

7. 새로운 것에 익숙해 지는데 시간이 걸린다.

8. 내 또래 아이들에게 인기가 있다.

9. 부모님은 나에 대해서 상당히 기대를 한다.

10 부모님은 나를 이해한다.

11. 나는 쉽게 포기한다.

12. 나는 행복하다.

13. 내가 하는 일들은 잘 안된다.

14. 내 친구들은 내 의견을 따른다.

15. 나 자신에 대해 자신감이 없다.

16. 가출하고 싶을 때가 많다.

17. 내가 하는 공부에 대해서 만족하지 않는다.

18. 나는 다른 사람과 같이 뛰어난 외모가 아니다.

19. 말하려고 하는 것을 잘하는 편이다.

20. 부모님들은 나의 기분을 맞취 주신다.

21. 대부분의 사람들은 나보다 친구들에게 더 호감을 갖는다.

22. 언제나 부모가 나를 야단치는 것 같이 느껴진다.

23. 학교에서 때때로 실망할 때가 있다.

24. 나를 성가시게 하는 일은 별로 없다.

25. 나는 누구를 의존하지 않는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