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 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3-50)

본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의 연구 설계 및 운동프로그램 등 제한점을 보완하고 연구결과에 대하여 다양한 접근 및 상세한 결과의 분석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본 연구에서 제한점과 같이 식이제한을 통제하지 못하여 후속 연구에서는 식이제한을 통하여 실시한다면 다양하고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 본 연구에서 운동프로그램의 기간을 8주 동안 주 3회 60분을 실시하는 동안 연구대상자들은 프로그램의 지루함과 기간이 짧다는 의견을 제시하여 향후 연구에서는 기간 및 시간을 늘려 다양한 운동프로그램을 추가적으로 개발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참 고 문 헌

강설중, 김종휴, 고광준(2015). 유산소, 저항성, 균형 운동 프로그램이 허약 여성 노인의 골격근 지수, 기능적 체력 및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운동학 학술지, 17(4), 9-20.

곽인숙(2013). 노인과 예비노인의 가정건강성과 행복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 학회지, 51(1), 1-17.

권기일(2013). 국민체력 100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재미요인이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스포츠문화대학원.

권은겸(2010). 코어 안정화 복합 운동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낙상 관련 체력 및 균형 능력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과학 기술 대학원.

김경래(2011). 복합 운동이 노인의 신체조성, 평형성 및 혈관탄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환경학회지, 18(2), 255-263.

김남정(2011). 물병을 이용한 저항성 운동이 농촌 고령여성의 신체조성과 낙상 관련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19(3), 241-247.

김준웅, 권훈겸(2018). 불안정한 지면에서의 복합운동프로그램이 여성 노인의 낙상관련체력 및 보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환경학회지, 25(1), 52-61.

문지연, 정원상, 이병선, 이만균(2018). 10주간의 스포츠 클라이밍이 비만 노인 여성의 신체구성과 주요 생활습관병 지표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지, 29(2), 268-280.

문해리 (2017). 소도구 운동프로그램이 농촌 예비노인의 자세와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민지원(2006). 노인의 체력, 배측굴곡 기능과 낙상의 상관관계.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상갑, 김은희, 권유찬, 박진기, 강세영, 장재희 (2010). 복합운동프로그램이 Sarcopenia 여성노인을 위한 건강체력과 항노화호르몬 및 근감소증예방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0(1), 435-442.

박승철(2013). 필라테스 운동이 노인여성의 신체구성 및 건강체력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성태(2013). 탄력밴드를 이용한 양측과 편측 저항 트레이닝이 여성 노인의 기능적체력과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생활환경학회지, 제20권 제 5호, 655-662.

박소영(2002). 12주간의 에어로빅댄스가 노년기여성의 심폐기능, 신체조성, 혈중 지질 및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대학 원.

백순기, 최혜정(2015). 여성노인에게 적용한 12주간 복합하지근력 운동프로그 램이 낙상위험도에 미치는 영향.

변영채(2014). 12주간의 댄스스포츠 활동이 여성노인의 자아탄력성과 주관적 행복감 및 평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25권 제1호, 39-50.

성순창(2018). 순환운동이 비만 노인 여성의 신체구성 및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제 16권 제 2호, 541-549.

손남정(2018). 탄성밴드를 사용한 닫힌 힘 사슬, 다감각 자세교정운동이 여성노인의 근기능 개선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손남정, 이경옥, 안주연 (2017). 넘어짐 예방 운동이 여성노인의 체력, 자세,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지, 37(1), 237-250.

신성훈(2014). 노인의 비만이 보행능력과 가변성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체육 학회, 53(3):759-767.

보건복지부(2011). 2011년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2012). 2011년 노인실태조사.

양지, 이완희, 강기선, 김효실(2015). 하지근력강화중심 낙상예방운동이 노인의 신체기능 및 근구조변화에 미치는 영향.

장기연, 우희순(2010). 여성노인에게 적용한 낙상예방 작업치료가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지, 10(3), 232-240.

정금희, 양순옥, 이광옥, 표옥정, 이미라, 백성희, 김경원(2003). 일 지역 갱년기 여성의 골밀도와 건강증진행위, 자기효능감 정도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 간호학회지, 9(2), 170-117.

정제순(2011). 다리근력이 노인 여성의 유연성과 평형성 및 보행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제19권 제3호, 23-239.

정진욱, 최혜정(2009). 낙상유무에 따른 여성노인의 기능체력 및 하지근력 대칭성.

대한운동학회, 제27권, 65-72.

채보원, 김강세, 황필하, 성동훈, 윤성덕, 박기덕(2017). 필라테스 운동이 초고령 자의 노인건강체력과 반응시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제 26권, 제6호, 1169-1179.

체육과학연구원(2012). 노인기 국민체력 인증기준 개발.

체육과학연구원(2016). 한국 성인 및 노인의 건강체력 기준제시.

최봉길, 윤형기(2013). 슬링 운동과 탄력밴드 복합운동이 노인 여성의 등속성 근력 및 낙상관련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학회지, 제22권 제3호, 1099-1108.

통계청(2013). 2012년 생명표. 대전: 통계청.

통계청(2014). 고령자통계자료.

통계청(2015). 고령자 통계.

한희나, 김종오(2016). 레크리에이션 운동 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골밀도, 악력과 유연성에 치미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제 14권 4호, 859-865.

황명숙(2013). 탄력밴드 저항운동이 노인의 신체조성과 체력 및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환식(2007). 노인 낙상의 예방 및 관리. 가정의학회지, 28(11), S485-S488.

A. F. Ambrose, G. Paul, and J. M. Hausdorff(2013). “Risk factors for falls among older adul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Maturitas, Vol.75, No.1, pp.51-61.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2009).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8th e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hiladelphia, PA.

Bassey, E, J.(1997). Physical capabilities, exercise and aging. REVIEWS IN CLINICAL GERONTOLOGY, 7(4), 289-298.

C. Sherrington, J. C. Whitney, S. R. Lord, R. D. Herbert, R. G. Cumming, J. C. Close.(2008). “Effective exercise for the prevention of fall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Am Geriatr Soc, 56(12), pp. 2234-2243,

DOI : http://dx.doi.org/10.1111/j.1532-5415.2008.02014.x.

G. R. Regterschot, M. Folkersma, W. Zhang, H. Baldus, M. Stevens, W.

Zijlstra(2014). “Sensitivity of sensor-based sit-to-stand peak power to the effects of training leg strength, leg power and balance in older adults”, Gait&Posture, 39(1), pp. 303-307.

DOI : http://dx.doi.org/10.1016/j.gaitpost.2013.07.122.

Hartholt, K. A., van Beeck, E. F., Polinder, S., van der Velde, N., van Lieshout, E. M. M., Panneman, M. J. M., et al. (2011). Societal consequences of falls in the older population: Injuries, healthcare costs, and long-term reduced quality of life. Journal of Trauma, 71, 748-753.

Hepple, R. T. & Rice, C. L.(2016). Innervation and neuromuscular control in ageing skeletal muscle. The Journal of Physiology, 594(8), 1965-1978.

Iaboni, A. & Flint, A. J. (2013). The complex interplay of depression and falls in older adults: a clinical review.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1(5), 484-492. doi: 10.1016/j.jagp.

2013.01.008.

Irvin, C. V., Denny-Brown, N., Bohl, A., Schurrer, J., Wysocki, A., Coughlin, R., et al. (2016). Money follows the person 2014 annual evaluation report. Retrieved December 13, 2017, from

http://www.mathematica-mpr.com/our-publications-and-findings /publications/moneyfollows-the-person-2014-annual-evaluation-report.

Kannus, P., Parkkari, J., Niemi, S., & Palvanen, M. (2005). Fall-induced deaths among elderly people.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5(3), 422-424.

Kenneth, L. M., Joseph, G. H.(2010). The effects of a home-based exercise program on balance confidence, balance performance, and gait in debilitated, ambulatory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 pilot study. J Geriatr Phys Ther, 33(2), 85-91.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Survey of the elderly in 2014.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510-513.

Kuk, J. L., Saunders, T. J., Davidson, L. E., &Ross, R.(2009).

Age-related changes in total and regional fat distribution. Ageing Research Reviews, 8(4), 339-348.

Kung, H. C., Hoyert, D., Xu, J., & Mucrphy, S. L.(2008). Division of Vital Statistics. Deathe: Final Data for 2005, National Vital Statistics Reports, 56, 10.

Page, P.(2000). Developing resistive exercise programs using Thera-Band elastic band & tubing. The Hygienic Corporation, 12(5), 48-60.

Power, V. & Clifford, A. M. (2013). Characteristics of optimum falls prevention exercise programmes for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using the FITT principle. European Review of Aging and Physical Activity, 10(2), 95-106. doi: 10.1007/s11556-012-0108-2.

President's Council on Physical Fitness and Sports(2008). The President's Challenge:Physical Activity & Fitness Awards program 2008‒2009.[President's Challenge Brochure, 2008‒2009.

Sambrook, P. N., Cameron, I. D., Chen, J. S., Cumming, R. G., Lord, S.

R., March, L. M., et al. (2007). Influence of fall related factors and bone strength on fracture risk in the frail elderly.

Osteoporosis International, 18(5), 603-610.

Shimada, H., Obuchi, S., Kamide, N., Shiba, Y., Okamoto, M. &Kakurai, S.(2003). Relationship with dynamic balance function during standing and walking. Am J Phys Med Rehabil, 82(7), 511-516.

Song, Q.H., Zhang, Q.H., Xu, R.M., Ma, M., Zhao, X.P., Shen, G.Q., Guo, Y.H., & Wang, Y.(2014). Effect of Tai-chi exercise on lower limb muscle strength, bone mineral density and balance function of elderly women. Int. J. Clin. Exp. Med., 7(6), 1569-1576.

Spirduso, W. W., Francis, K. L., & MacRae, P. G.(2005). Health, exercise and cognitive function, Physical Dimensions of Aging, 211-231.

T. E. Howe, L. Rochester, F. Neil, D. A. Skelton, C.(2011). Ballinger,

“Exercise for improving balance in older people”, Cochrane Database of Syst Rev, 11, CD004963, 2011.

Thompson, B. J., Ryan, E. D., Herda, T. J., Costa, P. B., Herda, A. A., &

Cramer, J. T.(2014). Age-related changes in the rate of muscle activation and rapid force characteristics. Age, 36(2), 839-849.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08). WHO Global Report on Falls Prevention in Older Age: Ageing and life course, family and community health. Geneva: Author.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3-5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