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논 의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7-42)

본 연구는 65세 이상 75세 미만의 노인여성을 대상으로 8주간 주 3회 60분 의 체력증진프로그램을 통하여 노인여성의 신체구성 및 낙상관련체력인 상지 근기능, 하지 근기능, 평형성, 협응력, 전신지구력, 유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 치는지 알아보고 선행연구와 비교 및 분석하여 논의하였다.

1. 노인여성의 신체구성의 변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신체활동의 부족은 체지방량의 증가와 제지방량의 감소와 같은 신체적인 변화는 신체구성에 대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Kuk et al., 2009), 이와 반대로 규칙적으로 운동 및 신체활동의 증가는 체중, 체지방률, 체지방량, 신체질량지수, 제지방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ACSM, 2009).

노인의 경우 체지방량이 증가하게 되면 정상체중에 대한 보행과는 다른 패턴 을 보이게 되고, 보행에 대한 능력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낙상에 대한 잠재적인 위험요소가 될 수 있다고 보고 하였고(신성훈, 2014), 근육량이 감소하게 되면 낙상과 밀접한 관계가 깊다고 보고 하였다(김민주, 2017; A.F Ambrose, 2013).

따라서 노인여성들은 낙상을 예방하기 위해 체지방의 감소 및 제지방량의 증가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되기 때문에 신체구성과 체력의 변화는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8주간 체력증진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운동집단에서 체중을 제외한 체지방량이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제지방량과 골격근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황명숙(2013)은 노인여성을 대상으로 12주간 주 3회

탄력밴드를 이용하여 운동을 실시한 결과 체중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변화하지 않았고, 김경래(2011)는 12주간 주 2회 복합운동을 실시한 결과 체중이 통계적 으로 유의하게 변화하지 않아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체지 방량이 감소하고 제지방량과 근육량이 증가가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체중에 변화 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체지방량은 10주간 비만 노인여성을 대상으로 스포츠 클라이밍을 실시한 후 체지방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변화하였다 보고하였으며(문지연 등, 2018), 성순창(2018)은 12주간 주 3회 비만 노인여성을 대상으로 순환운동을 통해 운 동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도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일정 강도 이상의 유산소 운동과 무산소 운동의 병합하여 운동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체지방량을 감소시킨 결과로 사료된다.

박소영(2002)는 노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12주간 에어로빅댄스를 실시 한 후 제지방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보고하였고, 강설중 등 (2015)은 허약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저항성, 유산소, 균형운동을 통한 프로그램 이 골격근 지수 와 기능적 체력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난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제지방량과 골격근량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선행 연구와 일치하였다.

이러한 국민체력100 체력증진프로그램을 통한 신체활동이 체지방량의 감소와 제지방량 및 골격근량의 증가로 신체구성의 개선과 건강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 시킬 수 있으며, 낙상에 대한 예방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냄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노인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국민체력100 체력증진프로그램이 장기간 이루어진다면 신체구성에 대한 변화와 낙상예방에 더욱 더 적합한 운동이 될 것 으로 사료된다.

2. 노인여성의 낙상관련체력요인 변화

노년기에 발생하는 낙상은 여성에 더욱 위험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실제 대단 위의 역학조사의 보고에 의하면 노인 여성의 낙상률이 남성에 비하여 10%이상 높았을 뿐 아니라 낙상으로 인한 병원 이용률도 약 7%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즉, 노인에게 나 타나는 낙상은 두부손상 및 골절과 같은 신체적인 문제(Sambrook et al., 2007)와 불안, 우울, 낙상에 대한 두려움과 같은 심리적인 문제(Iaboni &

Flint, 2013)를 야기하며, 심각한 경우에는 사망에 이르게 한다(Kannus, Parkkari, Niemi, & Palvanen, 2005). 이에 운동은 형태와 강도에 무관하게 낙 상에 대해 신체적, 정신적 위험인자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Power & Clifford, 2013). 본 연구에서 낙상관련체력검사는 미국 ACSM의 SFT(Senior Fitness Test)를 우리나라 고령자의 특성에 맞게 재구성한 국민체 력100 “노인기 체력측정”으로 실시하였으며, 악력, 30초 앉았다 서기, 3m 표 적 돌아오기, 8자 보행,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2분 제자기 걷기 검사를 통해 낙상관련체력요인을 평가하였다.

8주간 주 3회 60분 체력증진프로그램을 노인여성에게 적용한 결과, 운동그룹 은 하지 근기능, 상지 근기능, 평형성, 협응력, 전신지구력, 유연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하지 근기능의 향상은 필라테스 운동을 12주간 실시하여 하지 근기능이 향상되었다는 채보원 등(2017)의 선행연구와 일치하며, 노인 여성을 대상으로 8주 이상 하지에 부하를 가하여 운동프로그램을 적용 후 하지 근기능의 유의한 증가를 보인 Song(2014)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의 하지 근기능의 유의한 증가는 체력증진프로그램의 운동 중 저항성 운동으로 런지, 앉았다 서기, 까치발 들기를 실시 후 하지가 발달하여 하지 근기능이 향상되었다고 생각한다.

상지 근기능의 향상은 탄성밴드를 사용한 자세교정 운동을 여성노인에게 8주

간 주 3회 60분 실시하여 상지 근기능인 악력이 증가 했다는 손남정(2018)의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한희나, 김종오(2016)는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레크 레이션 운동프로그램을 통해 악력과 유연성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고 보고 하였다. 악력의 향상은 낙상이나 균형을 잃게 될 경우 벽 또는 다른 물 체를 잡고 신체를 버틸 수 있으므로, 낙상률 감소와 낙상으로 인한 상해를 예방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체력증진프로그램의 운동 중 아령을 이용한 운 동이 상지 근기능 인 악력의 발달에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한다.

평형성의 향상은 12주 동안 댄스스포츠 활동을 통하여 고령자들의 평형성이 향상되었다는 변영채(2014)의 선행 연구결과와 일치하며, 박철승(2013)의 필라 테스를 통하여 노인여성의 신체구성과 건강체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선행 연 구결과와도 일치한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체력증진프로그램을 통한 하지 근기능 의 향상과 균형을 잡으려는 훈련으로 인해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고 생각한다.

협응력의 향상은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불안정한 지면에서 복합운동프로그램 을 통해 운동그룹에서 낙상관련체력과 보행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보고한 김준웅, 권훈겸(2018)의 선행 연구결과와 일치하며, 손남정 등 (2017)은 12주간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넘어짐 예방운동을 실시한 결과 운동그 룹에서 협응력이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한 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체력증진프로그램 중 체간의 안정성 및 자세교정 운동으 로 인해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고 생각한다.

전신지구력의 향상은 12주간 코어 안정화 트레이닝을 통하여 노인여성의 운동 그룹에서 전신지구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으며(안 순식, 안용덕, 2016), 문희상(2012)의 연구에서도 여성노인들을 대상으로 밴드 운동을 통하여 전신지구력, 상체 유연성, 근력이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 의 결과와 일치한다.

본 연구에서 하지의 저항성 운동과 안정화 운동을 실시하여 전신지구력의 향 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고 생각한다.

유연성의 향상은 문해리(2017)의 연구에서 농촌 예비노인을 대상으로 탄성밴

드와 짐볼, 폼롤러를 사용하여 15주 동안 운동을 실시한 결과 양쪽 다리의 길이 차이가 감소하였고, 하지의 유연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여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 한다. 또한 박상갑 등(2010)은 12주 동안 프리웨이트와 탄성밴드로 구성한 복 합운동프로그램을 노인여성에게 실시한 결과, 하지의 유연성이 향상되어 본 연구 의 결과와 같은 맥락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연성의 증가가 체력증진 프로그램 전, 후 약 10분 동안의 스트레칭이 잘 이루어진 결과이고, 스트레칭의 효과를 잘 나타낸다고 생각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실시한 체력증진프로그램이 노인여성의 신체구성 및 낙상관련체력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지고 올 수 있는 운동이라고 볼 수 있 으며, 이러한 결과로 보아 노인여성들의 효과적인 신체구성의 개선 및 낙상관련 체력의 향상을 위하여 꾸준한 신체활동 기회 제공과 운동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고령자의 삶의 질 향상과 낙상예방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7-42)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