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Ⅱ. 이론적 배경

3. 자기통제력

가. 자기통제력의 개념

자기통제(self-control)라는 개념은 자신의 인지나 정서, 행동을 원하는 대로 조 절할 수 있고 일시적인 충동에 의존하거나 즉각적인 만족을 주는 행동을 제지하 고 인내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그 정의는 자기통제력을 연구한 이론과 학 자마다 각기 다르게 정의 하고 있다.

자기통제에 대한 기본적인 토대는 Bandura(1982)의 상호작용적 결정주의이론 에 근거한다. Bandura는 인간행동은 환경적 영향에 의하여 결정될 뿐만 아니라 자기평가반응에 의해서도 결정된다고 하였다.

정신분석적 접근에서 자기통제력의 개념은 Freud에서부터 시작된다. Freud에 의하면, 자기통제는 자기보호(Self-preservation)를 강화하기 위한 현실의 원칙에 부착하는 자아의 힘(ego strength)에 관계 된다고 보았다. 자아통제의 발달은 자 아가 자신의 행동과 도덕적 행동을 통제할 수 있기 위한 기준을 제공 받을 수 있는 부모가치의 내면화와 이로 인한 초자아의 발달로 더욱 촉진되어진다는 것 이며, 어떠한 내면화가 이루어지는가에 따른 성격발달의 안정된 요인이라 보는 것이다.

학습 이론적 접근법에서 처음으로 자기통제에 대한 용어를 쓴 Skinner(1953)는

Grasmick 등 (1993)은 Gottfredson과 Hirschi(1990)의 낮은 자기통제력의 요소 에서 모험추구, 단순과제 선호, 신체활동 선호, 자기중심성, 화 기질, 충동성의 6

하였다.

할 수 있고, 성취감과 만족감을 얻기 위해 자신의 과제를 완수할 것이며, 행동, 사고, 감정 등의 자기중심성을 통제하고, 스스로 화내는 기질을 통제할 수 있는 능력으로 보았다.

나. 자기통제력과 관련된 선행연구

자기통제는 청소년들을 스마트폰중독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핵심적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우선적으로 자기통제력을 고찰할 필요가 있다. 자기통제 력은 자신의 인지나 정서·행동을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자신 이 선택한 의지나 목표에 대한 보상을 받기 위해 자신의 행동을 일관성 있게 조 절하는 것이다(Goldfreid & Merbaum, 1973; Savage, 1991; 한경아, 2003에서 재 인용).

선행 연구에 의하면 자기통제력은 장기적 만족과 즉각적 만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장기적 만족에 대한 정의를 선택의 상황으로 정리하여 자기통제를 불 쾌한 자극을 인내함으로써 긍정적 행동을 받기 위한 것으로 정의하였다. 즉. 지 연되지 않은 작은 결과보다 더 지연되지만 더 큰 결과를 선택하는 것으로 상징 하고 있다(박정아, 2013: 한경아, 2003). 이렇게 자기통제력은 자신의 인지나 정 서, 행동을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자기통제력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에서도 자기통제력이 낮은 학생은 인지능력이나 대인관계 기술이 부족하 여 학교에서도 성공 감을 느끼지 못하거나 친구들로부터 거부당하는 느낌을 많 이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승희, 2007).

최동원(2015)은 스마트폰 중독 성향이 강할수록 자기통제력이 없다고 했다. 중 학생의 자기통제력이 낮을수록 스마트폰중독 수준이 높아지고 (박정아, 2013: 황 승일, 2012), 고등학생의 자기통제력이 낮을수록 스마트폰중독 위험사용자 군으로 나타나(용상화, 2013) 자기통제력과 스마트폰중독과의 관련성을 입증해 주고 있 다. 그리고 엄옥연(2010)은 자기통제력이 낮은 사람들은 자기중심적이고 타인에 게 무관심하다고 하였다. 김혜영과 장예빛과 정의준과 유승호(2013)은 스마트폰 에 대한 자기통제력은 스마트폰 중독 및 문제적 이용을 극복함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4. 식습관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