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Ⅳ. 연구결과 및 해석

2. 측정 변인들의 기술통계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자기통제력, 식습관의 하위영역에 대한 기술 통계치 를 분석한 결과 표 Ⅳ-8 와 같이 나타났다.

표 Ⅳ-8. 측정변인들의 기술통계량 (n=440)

측정변인 하위변인

M SD

스마트폰 중독

일상생활장애 2.22 .66

가상세계지향성 1.54 .57

금 단 1.75 .64

내 성 2.20 .68

전 체 2.00 .55

자기통제력

충 동 성 3.66 .68

과제완수 3.33 .50

자기중심성 4.02 .61

화내는 기질 3.87 .77

전 체 3.72 .54

식습관 3.17 .58

표 Ⅳ-8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구대상 청소년의 평균 점수는 스마트폰 중독 2(4점 척도), 자기통제력 3.72(5점 척도), 식습관 3.17(5점 척도)으로 나타났다.

먼저 스마트폰 중독의 전체 척도 수준은 평균값이 2로 중간 값인 2와 동일하 게 나타났다. 하위요인 중에서는 일상생활장애가 2.2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내

성(2.20), 금단(1.75), 가상세계지향성(1.54)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학생들이 스

스마트폰 중독과 자기통제력, 식습관은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 http://www.danielsoper.com/statcalc3/calc.aspx?id=31 (2015.05.10.)

그림 Ⅳ-4 . 스마트폰 중독과 식습관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1단계에서는 독립변수인 스마트폰 중독이 매개변수인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 향을 검증하였고, 2단계에서는 독립변수인 스마트폰 중독이 종속변수인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3단계에서는 독립변수인 스마트폰 중독과 매개변수인 자기통제력을 동시에 투입하여 두 변인이 종속변수인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1단계 분석모형에서 스마트폰 중독이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결 과, F 통계값은 225.00이다. 유의확률 .000으로 스마트폰 중독 점수는, 유의수준 .001에서 자기통제력의 점수를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다(t=-15.00, p<.001). 자기통 제력 점수 총 변화량의 34%가 스마트폰 중독 점수에 의해 설명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 중독이 자기통제력에 부적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1=-.58).

2단계 분석모형에서 스마트폰 중독이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결과, F 통계값은 42.32이다. 유의확률 .000으로 스마트폰 중독 점수는, 유의수준 .001에서 식습관의 점수를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다(t=-6.51, p<.001). 식습관 점수 총 변화 량의 9%가 스마트폰 중독 점수에 의해 설명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 중독이 식 습관에 부적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2=-.58).

3단계 분석모형에서 스마트폰 중독과 자기통제력을 독립변수로 식습관에 미치 는 영향을 검정한 결과, F 통계값은 31.75이다. 유의수준 .000으로 모형에 포함된 독립변수는 유의수준 .001에서 식습관을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다. 식습관 총 변

화량의 13%가 모형에 포함된 독립변수에 의해 설명되고 있다.

그림 Ⅳ-5.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식습관의 관계에서 충동성의 매개효과

1단계 분석모형에서 스마트폰 중독이 충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결과, F 통계값은 231.26이다. 유의확률 .000으로 스마트폰 중독 점수는 유의수준 .001에 서 충동성의 점수를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으며(t=-15.21, p<.001), 충동성 점수 총 변화량의 35%가 스마트폰 중독 점수에 의해 설명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 중독이 충동성에 부적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1=-.59).

2단계 분석모형에서 스마트폰 중독이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결과, F 통계값은 42.32이다. 유의확률 .000으로 스마트폰 중독 점수는 유의수준 .001에서 식습관의 점수를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으며(t=-6.51, p<.001), 식습관 점수 총 변 화량의 9%가 스마트폰 중독 점수에 의해 설명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 중독이 식습관에 부적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2=-.58).

3단계 분석모형에서 스마트폰 중독과 충동성을 독립변수로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결과, F=28.90이다. 유의수준 .000으로 모형에 포함된 독립변수는 유의수준 .001에서 식습관을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으며, 식습관 총 변화량의 12%가 모형에 포함된 독립변수에 의해 설명되고 있다.

위와 같이 Baron &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를 검정을 위한 모든 단계 가 유의미한 것이 확인되었다. 3단계 분석에서 매개변수인 충동성을 투입한 결과

1) http://www.danielsoper.com/statcalc3/calc.aspx?id=31 (2015.05.10.)

스마트폰 중독이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력이 -.30에서 -.17로 감소하였으므로 부

1) http://www.danielsoper.com/statcalc3/calc.aspx?id=31 (2015.05.10.)

그림 Ⅳ-6.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식생활의 관계에서 과제완수의 매개효과

1단계 분석모형에서 스마트폰 중독이 과제완수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결과, F 통계값은 95.64이다. 유의확률 .000으로 스마트폰 중독 점수는 유의수준 .001에 서 과제완수의 점수를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으며(t=-9.78, p<.001), 과제완수 점 수 총 변화량의 18%가 스마트폰 중독 점수에 의해 설명되고 있다. 또한 스마트 폰 중독이 과제완수에 부적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1=-.42).

2단계 분석모형에서 스마트폰 중독이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결과, F 통계값은 42.32이다, 유의확률 .000으로 스마트폰 중독 점수는 유의수준 .001에서 식습관의 점수를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으며(t=-6.51, p<.001), 식습관 점수 총변 화량의 9%가 tm마트폰 중독 점수에 의해 설명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 중독이 식습관에 부적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2=-.58).

3단계 분석모형에서 스마트폰 중독과 과제완수를 독립변수로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결과, F=44.10이다, 유의수준 .000으로 모형에 포함된 독립변수는 유의수준 .001에서 식습관을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으며, 식습관 총 변화량의 17%가 모형에 포함된 독립변수에 의해 설명되고 있다.

위와 같이 Baron &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를 검정을 위한 모든 단계 가 유의미한 것이 확인되었다. 3단계 분석에서 매개변수인 과제완수를 투입한 결 과 스마트폰 중독이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력이 -.30에서 -.17로 감소하였으므로

부분 매개효과가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1) http://www.danielsoper.com/statcalc3/calc.aspx?id=31 (2015.05.10.)

그림 Ⅳ-7.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식생활의 관계에서 자기중심성의 매개효과

1단계 분석모형에서 스마트폰 중독이 자기중심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결 과, F 통계값은 120.17이다. 유의확률 .000으로 스마트폰 중독 점수는 유의수준 .001에서 자기중심성의 점수를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으며(t=-10.96, p<.001), 자기 중심성 점수 총 변화량의 21%가 스마트폰 중독 점수에 의해 설명되고 있다. 또 한 스마트폰 중독이 자기중심성에 부적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1=-.46).

2단계 분석모형에서 스마트폰 중독이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결과, F 통계값은 42.32이다. 유의확률 .000으로 스마트폰 중독 점수는 유의수준 .001에서 식습관의 점수를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으며(t=-6.51, p<.001), 식습관 점수 총 변 화량의 9%가 tm마트폰 중독 점수에 의해 설명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 중독이 식습관에 부적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2=-.58).

3단계 분석모형에서 스마트폰 중독과 자기중심성을 독립변수로 식습관에 미치 는 영향을 검정한 결과, F=27.71이다. 유의수준 .000으로 모형에 포함된 독립변수 는 유의수준 .001에서 식습관을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으며, 식습관 총 변화량의 11%가 모형에 포함된 독립변수에 의해 설명되고 있다.

위와 같이 Baron &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를 검정을 위한 모든 단계 가 유의미한 것이 확인되었다. 3단계 분석에서 매개변수인 자기중심성을 투입한 결과 스마트폰 중독이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력이 -.30에서 -.22로 감소하였으므

로 부분 매개효과가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림 Ⅳ-8.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식습관의 관계에서 화내는 기질의 매개효과

1단계 분석모형에서 스마트폰 중독이 화내는 기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결 과, F 통계값은 120.95이다. 유의확률 .000으로 스마트폰 중독 점수는 유의수준 .001에서 화내는 기질의 점수를 유의하게 설명한다(t=-11.00, p<.001), 화내는 기 질 점수 총 변화량의 22%가 스마트폰 중독 점수에 의해 설명되고 있다. 또한 스 마트폰 중독이 화내는 기질에 부적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1=-.47).

2단계 분석모형에서 스마트폰 중독이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결과, F 통계값은 42.32이다. 유의확률 .000으로 스마트폰 중독 점수는 유의수준 .001에서 식습관의 점수를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으며(t=-6.51, p<.001), 식습관 점수 총 변 화량의 9%가 tm마트폰 중독 점수에 의해 설명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 중독이 식습관에 부적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2=-.58).

3단계 분석모형에서 스마트폰 중독과 화내는 기질을 독립변수로 식습관에 미 치는 영향을 검정한 결과, F=21.96이다. 유의수준 .000으로 모형에 포함된 독립변 수는 유의수준 .001에서 식습관을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으며, 식습관 총 변화량 의 9%가 모형에 포함된 독립변수에 의해 설명되고 있다. 하지만 화내는 기질이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위와 같이 Baron &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를 검정을 위한 모든 단계 가 유의미하지 않아 화내는 기질이 스마트폰 중독과 식습관의 관계를 매개한다 고 할 수 없다.

V.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 중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과 자기통제 력, 그리고 식습관의 관계를 파악하고,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중독과 식습관을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의 정도는 성별에 차이가 있었다. 중학생의 성별 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을 비교하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여학생이 남학 생보다 스마트폰 중독 평균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여학생들이 남학생보다

첫째,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의 정도는 성별에 차이가 있었다. 중학생의 성별 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을 비교하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여학생이 남학 생보다 스마트폰 중독 평균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여학생들이 남학생보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