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본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 다양한 지역과 대상자 수를 확대하여 피로, 수면의 질 및 투약근접오류간의 관계를 확인하는 반복 연구를 제언한다.

2. 본 연구의 주요 변수 외에 간호사의 투약근접오류에 영향하는 개인 및 조직 적 차원의 요소를 탐색하는 영향요인 분석연구를 제언한다.

3. 본 연구결과 피로 및 수면의 질은 투약근접오류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응급실 간호사의 투약근접오류 예방을 위한 체계적인 피로와 수면의 질 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4. 투약근접오류와 관련하여 자가 기입식 설문지를 활용한 연구 이외에 객관적 인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여, 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것 을 제언한다.

5. 투약근접오류의 유형과 빈도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자료를 수집할 수 있는 투약근접오류 측정도구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김은경,이순영,엄미란 (2013). 간호사의 DICS 행동유형과 투약오류. 간호행정학

소희영, 윤현숙, 조영채 (2008). 대학병원 간호사들의 수면의 질과 관련요인이

원 석사학위논문, 대전.

중앙응급의료센터 (2018). 2018년도 응급의료 통계연보. Retrieved August 27,

2019, from https://www.e-gen.or.kr/nemc/statistics_annual_report.do.

Barker L, Nussbaum M. (2010). Fatigue, performance and the work environment: A survey of registered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7(6), 1370-1382.

Blocker, R. C., Heaton, H. A., Forsyth, K. L., Hawthorne, H. J., EI-Sherif, N., Bellolio Hallbeck, M. S. (2017). Physician, interruped: worklow ineruption and patient care in ER. The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53(6), 798-804.

Buysse, D. J., Reynolds, C. F. 3,. ,Monk, T. H., Berman, S. R., & Kuper, D.

J. (1989).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 arch. Psychiatry Research, 28, 193-213.

Capucho, H. C., (2011). Near miss: Almost error or potential adverse event Revista Latino-Americana De Enfermagem(RLAE), 19(5), 1272-1273.

Chisholm, C. D., Dornfeld, A. M., Nelson. D. R., Cordell, W. H. (2001). Work interrupted: A comparison of workplace interruptions in emergency depratments and primary care offices. Annds of Emergency Medicine, 38(2), 146-151.

Choo, J., Hutchinson, A. & Bucknall, T. (2010). Nurses' role in medication s Safety.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8(7), 853-861.

Dong, H., Zhang, Q., Sun, Z., Sang, F., Xu, Y.,(2017). Sleep problems among Chinese clinical nurses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Occupational

Medicine, 67(7), 534-539.

Elder, T., Aluoja, A., Vasar, V., & Veldi, M. (2006). Symptoms of anxiety and depression in Estonian medical students with sleep problems.

Depression and anxiety, 23(4), 250-256.

Härmä, M., Tenkanen, L., Sjöblom, T., Alikoski, T., & Heinsalmi, P. (1998).

Combined efects of shift work and life-style on the prevalence of insomnia, sleep deprivation and daytime sleepiness.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Environment & Health, 300-307.

Howenstein, J. S., Sandy, L., & Sellersville. (2012). Case management and the expanded role of emergency nurse.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38(5), 454-459.

Hsieh, M., L,I., Y., Chang, E., Lai. H., Wang, W., Wang, S. (2011). Sleep disorder in Taiwanese nurses: A random sample survey. Nursing and health Sciences, 13(4), 468-474.

Leape, L. L. (1995). Preventing adverse drug events. American Journal of Health-System Pharmacy : AJHP : Official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52(4), 379-382.

Mayer, A. G., Van Hoff, J. C., & Baldwin, D. S. (2003). Quantifying subjective assessment of sleep and life quality in antidepressant reated patients. human Psychopharmacology, 18, 21-27.

Morin, CM., Leblanc, M., Daley, M., Gregoire, JP., Merette, C. (2007).

Epidemiology of insomnia; prevalence, self-helf trements, consultations, and deteminants of helf seeking behaviors. Sleep Medicine, 7, 123-130.

Moyen, E., Camiré, E., & Stelfox, H. T. (2008). Clinical review: Medication errors in critical care. Critical Care. 12(2), 1-7.

National Coordinating Council for Medication Error Reporting and prevention

(NCC MERP). Medication Errors [Internet]. National Coordinating Council for Medication Error Reporting and Prevention(NCC MERP); 2018 cited 2019 June 21.

Pepper, G. (1995). Errorsin drug administration by nurses. Am J Health Syst pharm. 52(4), 390-395.

Pilcher, JJ, Ginter, DR, Sadowsky, B. (1997). Sleep quality versus sleep quantity: Relationships between sleep measures of health, well-being and sleepiness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Psychosom Reseach, 4 2(6), 583-96.

Santell, J. P., Hicks, R. W., McMeekin, J., & Cousins, D. D. (2003).

Medication errors: Experience of the united states pharmacopeia (USP) MEDMARX reporting system. The Journal of Clinical Pharmacology, 43(7), 760-767.

Scott, L. D., Arslanian-Engoren, C., & Engoren, M. C. (2014). Association of sleep and fatigue with decision regret among critical care nurse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3(1), 13-23.

Schaefer, J. A., Moos, R. H. (1996). Effects of works stressors and work climate on long term care staffs job morale and functioning.

Research in Nursing and helath, 19(1), 63-73.

Schwartz, Joseph E., Lina Jandorf, and Lauren B. Krupp. (1993). The measurement of fatigue : a new instrument." Journal of sychosomatic research, 37(7), 753-762.

Suzuki, K., Ohida, T., Kaneita, Y., Yokoyama, E., Miyake, T., Harano, S., &

Uchiyama, M. (2004). Mental health status, shift work, and occupational accidents among hospital nurses in Jap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46(6), 448-454.

Tang F, Sheu S, Yu S, Wei I, Chen C. (2007). Nurses relate the

contributing factors involved in medication error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6(3), 447-457.

Trendall, J. (2000). Concept analysis chronic fatigu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2(5), 1126-1131.

Walter, S. R., Li, L., Dunsmuir, W. T. M., & Westbrook, T. (2013).

Managing competing demands through task-switching and multitasking: a multi-setting observational study of 200 clinicians over 1000 hour. BMJ Quality & Safety, 23, 231–241.

Winwood, P. C., Winefield, A. H. & Lushington, K. (2006). Work-related fatigue and recovery: The contribution of age, domestic responsibilities and shift work.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6, 438-449.

<부록 1> 연구대상자 설명문

연구대상자 설명문

귀하께 본 연구에 참여하여 주실 것을 요청 드립니다.

본 연구에 참가하실 것을 결정하기 전에 본 연구가 왜 실시되며 무엇을 어떻게 하게 될지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의 내용은 이번 연구의 내용과 이 연구에 참여하실 경우, 귀하의 역할과 연구의 진행과정 등에 대하여 설명을 드리고자 마련한 것입니다.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본 대상자 설명서를 읽으시고, 원하신다면 가족이나 다른 사람과 상의하셔도 됩니다. 또 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시험책임자나 다른 시험담당자에게 질문하신 후 심사 숙고 하시어 이번 연구 참여여부를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1. 임상연구제목

응급실 간호사의 피로, 수면의 질과 투약근접오류와의 관계

2. 연구 책임자

아주대학교 간호대학 이영진

3. 공동 연구자

아주대학교 간호대학 석사 류명희

4. 임상연구의 배경 및 목적

응급실 교대 근무간호사의 피로와 수면의 질, 투약근접오류를 조사하고 이들 간의 관 계를 파악하여 간호사의 수면개선과 응급실 환자안전을 증진시키고 간호의 질을 향 상시켜 보다 건강하고 안전한 의료 환경을 만드는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5. 임상 연구참여 대상자수 및 참여기간 1) 임상연구에 참여하는 대략의 대상자수

본 설문에는 160명의 연구대상자가 참여할 것입니다.

2) 대상자의연구참여예상기간

연구 참여에 동의하실 경우 총 55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2019년 12월에서 1월 중 1회 실시할 것이며, 작성시간은 15분 가량 소요됩니다.

3) 연구참여방법

본 연구의 설문은 종이 설문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구 참여에 동의하실 경우 설문 에 참여해주시면 됩니다.

6. 임상연구의 절차 및 방법

IRB 승인일로부터 구조화된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할 것입니다.

설문지 작성시 연구에 대해 충분한 설명을 듣고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할 경 우 설문을 작성해주시면 됩니다. 응답을 마친 설문지는 개별봉투에 넣은 후 봉인 후 메일박스에 넣어주시면 연구 담당자가 메일박스를 회수하도록 할 것입니다.

7. 연구대상자에게 예견되는 부작용, 위험과 불편함

본 연구에 참여함으로써 예견되는 부작용이나 위험, 불편함은 없습니다. 대상자는 본 연구 참여에 거부할 권한이 있으며, 동의하신 경우에만 참여가 가능합니다.

8. 연구대상자에게 예견되는 이득

본 연구에 참여함으로써 발생되는 직접적인 이익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연 구 대상자가 제공하는 정보는 피로와 수면의 질이 투약근접오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환자안전을 증진시키고 간호의 질을 향상시켜 보다 건강하고 안전한 의료 환경을 만드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9. 연구참여 비용 및 금전적 보상 1) 연구참여 시 예상되는 비용

본 연구에 참여함으로써 발생되는 비용은 없습니다.

2) 금전적 보상

응답해주신 설문에 대한 소정의 배상(3천원 이하 상당의 립글로스)이 제공될 것입니 다.

10. 손실에 대한 보상

연구 기간 중 귀하의 안전을 지키려고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만약 본 연구에 참여 함으로써 어떠한 불편 또는 위험이 발생되었다면 그에 대한 보상을 하겠습니다.

11. 자발적 참여 및 동의철회

본 연구는 연구 대상자의 자발적 참여 의지에 의해 진행될 것입니다. 귀하는 언제라 도 연구 담당자에게 통보하여 연구 참여에 대한 동의를 철회할 수 있으며, 동의를 철회하는 경우나 연구 참여가 중단되는 경우 귀하의 데이터를 수집하지 않으며 이 미 수집된 정보는 분석에 이용하지 않고 보존기한 3년이 지난 후에 폐기할 것입니 다. 귀하의 동의 철회 또는 연구 참여 중단이 귀하의 병원 생활에 어떠한 영향도 미 치지 않을 것입니다.

12. 연구과정에서 수집된 모든 정보의 보관, 관리 및 폐기 등에 관한 사항

연구과정에서 수집된 개인정보를 포함한 모든 자료는 본 연구에 등록된 연구책임자 또는 연구책임자로부터 위임 받은 연구자에게만 접근이 허용될 수 있도록 보완을 유지하여 적절하게 보관하고, 연구정보가 포함된 PC의 경우 암호를 설정하여 관리할 것입니다. 연구과정에서 수집된 모든 자료는 관련 법률 및 규정에 따라 연구종료시 점으로부터 3년 후에 폐기할 예정입니다.

13. 사생활 및 기밀유지에 관한 사항

연구 대상자의 신원을 파악할 수 있는 기록은 비밀로 보장될 것이며, 연구결과가 출 판될 경우에도 대상자의 신원은 비밀 상태로 유지될 것입니다. 귀하는 언제라도 연구 담당자에게 통보하여 연구참여에 대한 동의를 철회할 수 있으며, 동의를 철회하는 경 우 연구담당자는 귀하의 정보를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습니다.

14. 개인정보수집, 이용, 제 3자 제공에 관한 사항 1) 개인정보수집 및 이용 목적

피로와 수면의 질이 투약근접오류에 미치는 영향 등의 분석을 위한 통계자료로 활용 2) 수집하려는 개인정보의 항목

성별, 연령, 결혼상태, 학력, 종교, 근무경력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연구개시일로부터 연구종료시점 3년까지 보유

18. 담당자연락처

본 연구에서 발생한 문제, 우려, 질문하거나, 연구에 대하여 질문이 있다면 아래로 연 락하시기 바랍니다.

연구대상자로서의 귀하의 권리에 대하여 질문이 있다면, 아주대학교 병원 임상연구윤 리센터

(헬프데스크) ☎ 031-***-****로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부록 2> 동의 면제 사유서

<부록 3> 연구 설문지

1. 일반적인 특성

■ 다음은 일반적인 사항에 관한 문항입니다.

해당되는 곳에 V표를 하거나 기입해 주시기 바랍니다.

1. 귀하의 성별은? ① 남 ② 여

2. 귀하의 연령은? 만( )세

3. 귀하의 결혼 상태는? ① 미혼 ② 기혼 ③ 기타(사별 또는 이혼)

4. 귀하의 최종학력은?

① 3년제 졸업 ② 4년제 졸업(학사학위과정 포함) ③ 석사 수료이상 ④ 박사 수료 이상

5. 귀하의 종교는? ① 있음 ② 없음

6. 귀하는 평소 카페인(커피, 콜라, 홍차, 녹차 등)이 함유된 음료를 마십니까?

① 유 ② 무

7. 귀하는 평소 술을 마십니까? ① 유 ② 무

8. 귀하의 총 임상근무경력은? ( )년 ( )개월

9. 귀하의 한달 동안 밤 근무 횟수는?

① 1∼2회 ② 3∼4회 ③ 5∼6회 ④ 7∼8회 ⑤ 9회 이상

2. 피로 측정

3. 수면의 질 측정

를 수 있습니다) __________________시간

5 지난 한달 동안 다음의 이유로 잠자는데 얼마나

4. 투약근접오류 측정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