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참가 대상자가 s 요양원으로 한정되어 있었으나 일 반 노인, 병원 입원 노인 등의 집단을 구성하여 효과를 검증해 보는 후속 연구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위해서 보다 큰 표본을 활용하고,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는 노인의 요구조사에 기초한 프로그램이 아니라 개발자의 의도에 의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복지 시설 거주 노인의 무력감 인지 정도를 사전에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무력감을 완화할 수 있는 적합한 내용을 개발하는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참고문헌

고민호(1999). 이야기를 통한 노인상담 사례 연구, 석사학위논문, 감리교 신학대학교대학원

김경은(1995). 노인의 무력감의 현상 연구, 박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 교 대학원

김명선(2000). 손자녀와 노인의 상호작용과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석사학 위논문,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김미애(1994). 시실수용노인의 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 려대학교 대학원

김미환(1997). 전래동화의 인간학적 진술과 교육학적 의미고찰, 교육철학.

17. 한국교육학회 교육철학연구회

김선희(2000). 제주 전래동화를 활용한 도덕과 학습지도 방안, 석사학위논 문,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승혜(1992). 가정노인과 시설노인의 인식기능 및 우울증상에 대한 비교 연구,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김영선(1999). 노인이 지각한 가족지지와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김영희(1998). 유료노인복지시설의 생활화를 위한 검토, 석사학위논문, 연 세대학교 대학원

김정순(1995). 인구노령화에 대비한 노인보건관리 대책, 대한보건협회지 제 22권 제 2호

김조자, 임종락, 박지원(1992). 노인의 무력감 완화를 위한 심리재활에 관 한 연구, 간호학회지. 22(4)

김태현(1994). 노년학, 서울: 교문사

김현태(1984). 불우노인의 발생 원인과 대책, 아산, 춘계호, 아산사회복지

사업재단, 36

박상훈(2000).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고독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 과,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선희(1997). 노인의 생활조건에 따른 고독감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아 대학교 대학원

박정문(2001). 노인복지시설 입소노인의 무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박 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사미자(1995). 노년의 심리, 서울:한국장로교출판사.

서병숙(1993). 노인연구, 서울:교문사

손춘익 역(1997). 힘센 할망과 꾀 많은 하르방, 서울 :우리교육

신미화(1996). 노인의 고독감과 사회적 지지,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신종태(2000). 노인의 심리사회적 문제에 따른 사호복지서비스 방안에 관 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사회복지개발대학원 신재진(1985). 노인의 근관절 운동이 자가간호활동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신효식(1993). 노부모-성인자녀간의 결속도, 자아존중감, 심리적 손상간의 인과모형 탐색,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윤진(1985). 성인 ․ 노인 심리학,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이기순(1994). 양로시설 거주노인을 위한 사회복지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이부영(1998). 분석심리학, 서울 : 일조각

이윤정(1994). 노부모의 성인자녀와의 갈등과 우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이인수(1995). 노인복지와 실버산업, 서울:일진사

이인수, 장세철(1999). 양로시설거주노인의 사회적 접촉이 우울수준에 미 치는 영향, 한국노년학.17(1)

이혜원(1988). 노인복지론, 서울:유풍출판사

장덕순(1970). 한국 소설문학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장숙아(1997). 사회적 지지가 시설노인의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정승은(1997). 노인의 무력감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 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정승은, 최영희(1996). 노인의 무력감에 관한 연구 : 문화기술지적 접근, 한국노년학, 16(2).

정미실(1996). 아동, 부모, 조부모특성에 따른 아동의 노인에 대한 인식,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진영아(1994). 노인층의 여가활동에 따른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 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최영희, 김경은(1995). 병원에 입원한 노인의 무력감 현상 연구, 간호학회 지, 26(1)

최운식, 김기창(1988). 전래동화 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집문당 현길언(1984). 제주도 이야기 1,2, 서울 :창작과 비평사

홍성희(1998). 노인의 여가활동참여와 여가만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 향, 논총, 49,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 연구원

홍정실(1995). 재가 및 시설노인의 생활조건과 고독감과의 관계, 석사학위 논문, 강원대학교 대학원

Atchley, R.(1981). Common misconceptions about aging.

Health Values : Achieving High Level Wellness

, 5

Butler, R. N., Lewis, M. I., and Sunderland. T. S.(1991).

Aging and Mental health

, 4th ed. New York : Macmilan Publishing Company.

Deci, E.(1976). I

ntrinsic Motivation.

New York :Plenum Press.

Erlen, J.A., Frost, B.(1991). Nurses' perceptions of powerless in influencing Ethical Decision.

Western Journal of Nursing,

(3)

Kim, M. J., Mcfarland, G. K., Mclane, A. M. (1989).

Pocket Guide

to Nursing Diagnosis

(3rd Ed), St. Louis : Mosby

Lancaster, J.(1981). Maximizing psychological adaptation in an aging population.

Topics in Clinical Nursing,

3(31), April.

Reed, P. G.(1986). Developmental resources and depression on the elderly.

Nursing reaserch

, 35.

Schaie, K. W. & Parr, J.(1981).

The Modern American College : Responding to the New Realities of Diverse Students and a Changing Society.

San Francisco : Jossey-Bass

Shaw, R. (1986).

Powerlessness in a nrsing home population

. A.

Mclane, ed. Classification of Nursing Diagnosis

<Abstract>

A study on the traditional fairy tale program development geared toward alleviating elderly people's sense of

helplessness and an analysis of its effects

*

Bang Kyoung Ja

Counselling Psychology Maj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eju National University Jeju, Korea

Supervisal by Professor Hur, chul-so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raditional fairy tale program geared toward alleviating elderly people's sense of helplessness who were housed in welfare facilities and to determine its effectivenes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follows:

1. How could traditional fairy tales in Jeju be reconstructed?

2. In which way should a program about traditional fairy tales in Jeju be developed?

3. What effect does a program about traditional fairy tales in Jeju have on institutionalized elderly people's sense of helplessness?

After relevant domestic literature and materials were gathered and analyzed, a program was prepared by using traditional fairy tales in Jeju. The first session was planned to explain the object and schedule of the program and to let participants introduce themselves and write a letter of pledge. The second session was titled 'What and who remains in my memory.' Participants would look back on their lives by sharing the same experience as the given fairy tales describe. The third

* This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eju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August, 2005

session was titled 'My life curve,' and provided the enrichment activity of what's unfolded in the second session by having them reflect on their lives more deeply.

The fourth session was titled 'What do you want to say to your children, and offered a chance for participants to talk to their children in the place of mothers depicted by fairy tales and to write an oral letter to them. The fifth session was titled 'What should it be like to lead a good life as an elderly person,' in which they could arrange their lives by completing unfinished sentences after listening to a fairy tale and guessing how its characters would feel. Under the title 'What's important to me and what I expect from people.' the sixth session had them infer about the other parts of a traditional fairy tale after listening to some part of it, and let them think of what's gold in their lives with reference to what its characters regard as gold. The seventh session titled 'My life and my story' let them share how they feel about the program, taking some refreshm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 elderly people who were selected from the dwellers at S nursing home in Bukjeju-gun, Jeju-do. After their sense of helplessness was tested, 20 people were selected by random sampling, who felt less lethargic, resided there for six or more months, were able to be involved in group activities and communicate and consen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ith 10 each.

The program was implemented by utilizing traditional fairy tales in Jeju on Saturdays and Sundays from December 4 through 26. The experimental group took part in the program in seven 60-minute sessions between 11 a.m. and 2 p.m, and the last session was conducted between 1:30 and 3 p.m., in which some refreshments were provide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were employed by carrying out pretest and posttest and observing the participants.

The instrument used to assess their sense of helplessness was Park Jeong-mun(2001)'s revised version of Miller(1983)'s Helplessness Inventory, which was put to use with no modific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raditional fairy tale program was effective in easing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people's sense of helplessness.

Second, the traditional fairy tale program served to relieve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people's sense of emotional helplessness, one of helplessness subfactors.

Third, the traditional fairy tale program contributed to alleviating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people's sense of daily helplessness, one of helplessness

subfactors.

Fourth, the traditional fairy tale program had an effect on weakening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people's sense of academic helplessness, one of helplessness subfactors.

Fifth, the elderly people, who sacrificed themselves for the sake of their families, considered their families more important than themselves, and they didn't even think of how they should lead their lives. Elderly people had to wrap up their lives and were scarcely receptive to new things, and given such characteristics, programs geared toward the elderly should be unfolded in a sequential, phase-in way, and they should be designed to help them to build a better image of themselves and look at their lives positively. It's attempted in this study to develop the program flexibly in light of the physical and sociopsychological features of elderly people among whom broad individual variances existed. The effort by this study is expected to lay the groundwork for developing a wide variety of specialized programs in consideration of their needs and to give them a wider choice.

Sixth, the program was prepared to ease institutionalized elderly people's sense of helplessness by reviewing relevant literature, and that program was actually applied. All the attempts paved the way for boosting the applicability of fairy tales in Jeju to the elderly.

Seventh, elderly people had a strong tendency to talk about themselves only without listening to others. In order to direct their conversation in the right direction and make a program work, conversation rules should be prepared, and every participant should be exhorted to abide them.

Eighth, as the fairy tale program geared toward alleviating a sense of helplessness turned out to be effective, its application will contribute to preventing institutionalized elderly people from being helpless and improving their quality of life.

The attempt by this study to ease institutionalized elderly people's sense of helplessness by taking advantage of fairy tales in Jeju is expected to stir up the development of more specialized programs for institutionalized elderly people.

부 록

<부록 1> 제주 전래 동화 프로그램 ‥‥‥‥‥‥‥‥‥‥‥‥‥‥‥‥‥‥‥59

<부록 2> 프로그램 시 사용되었던 Work sheet ‥‥‥‥‥‥‥‥‥‥66

<부록 3> 조사 설문지 ‥‥‥‥‥‥‥‥‥‥‥‥‥‥‥‥‥‥‥‥‥‥‥‥‥‥‥‥‥‥69

<부록 4> 제주 전래동화 자료‥‥‥‥‥‥‥‥‥‥‥‥‥‥‥‥‥‥‥‥‥‥‥‥72

<부록1>제주 전래 동화 프로그램

제 1회기: 동화의 세계로

본 제주 전래 동화 활용 프로그램을 이해한 후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 동기를 유발 한다.

음악 tape, 서약서, 이름표, 사인펜, 자기소개 Work sheet

활 동 내 용

․ 분위기 조성 활동

- 호흡을 고르게 하고 머리를 앞, 뒤로 천천히 움직이도록 하고 난 다음 좌, 우로 움직이도록 한다. 먼저 리더가 시범을 보이고 구성원들이 따라하도록 한다.

1) 프로그램 소개하기

- 책 한 권과 밥 한 그릇을 상자 속에 넣고, 다시 다른 상자 속에 넣고 또 다시 상자에 넣어서 포장한 뒤에 제시하고 안에 어떤 것이 들어 있을지 생각해 보게 한다.

- 상자를 하나씩 하나씩 열어 보고 마지막에는 상자 뚜껑을 열지 않은 상태에서, 상자를 흔들거나 만져서 안에 들어 있는 것을 맞춰보게 한다.

- 책과 밥이 들어 있음을 확인시켜 주고 이들의 공통점을 생각해 보게 한다.

- 제주 전래동화를 통한 이야기 나누기 활동임을 알린다.

- 동화를 듣고 이야기를 나누는 과정을 통해 자신과 타인을 이해하기 위한 목적 을 설명한다.

- 프로그램 일정을 알린다.

2) 자기 소개하기

- work sheet에 맞춰 모든 구성원이 자기 소개를 한다(진행자 시범) - 진행자가 준비해 둔 이름표를 나눠 준다.

- 이름표 뒷면에 자신이 알아차릴 수 있는 표시를 한다.

- 자신이 표시한 것을 구성원에게 제시하고 설명한다.

3) 서약서 작성하기

- 프로그램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함께 지켜야 할 규칙에 대해 이야기 나눈다.

- 준비해 둔 복사물의 내용에 대한 구성원의 동의를 구하고 리더가 정한 것 이외 에도 지켜야 할 규칙을 정한다.

- 서약서를 작성하고 서명한다.

․ 참여자 간의 느낌 나누기 및 프로그램에 대한 소감 나누기 ․ 다음 회기 안내하기

․ 자연스럽고 허용적인 분위기를 형성한다.

․ 이름표에 자기 인식 표시(색깔, 마크)를 남의 도움없이 하도록 한다.

․ 집단의 이야기를 집단 밖으로 끌고 가지 않도록 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