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0-89)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 알코올 치료 전문병원 1개소, 중독관리통 합지원센터 1개소에서 대상자를 편의표집 하였으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 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대상지역을 확대하고, 반복적인 연구를 통해 연구결과의 일반화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는 횡단적 연구이기 때문에 변인들간의 인과성에 대한 명확 한 결론을 내리기 어렵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종단적인 연구를 수행함으 로써 변인들 간의 인과성에 대한 탐색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알코올 사용 장애자에게 자가보고식 측정도구로 설문했 기 때문에 객관성에 한계가 있다. 설문지에 응답하는 과정에서 의도적으로 긍 정적인 응답을 했을 가능성이 있어 정보의 오차가 있을 수 있다.

넷째, 알코올 사용 장애의 재발 위험성과 관련한 다양한 변인들을 확인하 고, 향후 매개 혹은 조절변인들을 포함하여 분석하는 대해 탐색적 연구가 필요 하다.

참고문헌

고미령 (2020).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의 우울, 금주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지지 가 변화동기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인천.

권석만 (2013). 현대이상심리학 2판. 서울: 학지사.

권용실, 이해국, 이지현, 이정태 (2002). 알코올리즘 환자들의 퇴원 후 경과에 대한연구. 한국중독정신의학회, 6(2), 114-119.

김명주 (2016). 남자 알코올중독자의 스트레스, 금주효능감, 사회적지지가 회복 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수원.

김복희 (2010). 2단계 촉진치료가 알코올의존 회복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 인 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인천.

김성재 (1996). 알코올리즘의 재발에 관한 이론적 모형 구축. 서울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서울.

김지유 (2020). 알코올 의존자의 자기통제력과 자기성찰이 재발에 미치는 영향. 군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군산.

김진주 (2018). 알코올 중독자의 재발 유형-Q방법론. 아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수원.

김철민, 김성곤, 남궁기, 조동환, 이병욱, 최인근, 김민정 (2007). 24주 추적 조사 를 통한 한국인 알코올 의존 환자의 재발 예측인자 규명 연구. 생물정 신의학, 14(4), 249-255.

김태형 (2017). 부정긴급성과 사회적지지가 재발위험성에 미치는 영향:금주 자 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수원.

김하린 (2016). 알코올 사용 장애 환자의 재발과 집행기능의 관계. 성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김한성 (2007). 알코올의존 환자의 재발요인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청주.

박경민, 이민규 (2005). 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및 음주동기가 음주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 심리학회, 10(3), 277-293.

박성근 (2015). 익명의 알코올 중독자들 모임 참여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단주 자기효능감 및 분노와의 상관관계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서울.

박성애 (2007). 교류분석 프로그램이 입원 알코올중독자의 변화동기와 변화전략 에 미치는 효과.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해.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서울.

박현미 (2013). 알코올중독자의 단주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대구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대구.

박현주 (2006). 알코올중독 심각도에 따른 우울, 불안 및 사회적지지. 인제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박화진 (2009). 알코올사용 장애 환자의 자아존중감, 불안,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에 관한 연구. 광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광주.

배은지 (2014). 알코올중독자의 성인애착, 사회적지지, 재발위험성의 관계.

사회과학연구, 25(4), 79-107.

배인희 (2005). 단주집단교육 프로그램이 입원 알코올의존자의 우울과 금주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보건복지부 (2016). 2016 정신질환 실태조사. www.index.go.kr.

성상경, 어학구, 김한오, 이규항 (2003). 입원 및 외래 알코올중독 환자의 병식 차이에 대한 연구. 중독정신의학, 7(1), 60-68.

손동균 (2014). 알코올중독의 재발요인과 재발빈도의 관계,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지, 42(1), 61-90.

손보영, 윤민지, 박소현, 임제희 (2013). 부모의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 다중역할 계획태도와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과 일의 의미의 매개효과: 남녀차이 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4(2), 1189-1208.

송선미 (2007). 비행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정서성과 정서조절전략이 문제성 음주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서울.

손조영 (2015). 알코올중독자의 AA(Alcoholics Anonymous)모임 참여도에 따른 금주 자기효능감 및 회복도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안길준, 김길숙 (2000). 입원치료를 받은 여성 알코올리즘 환자의 퇴원 후 경과 에 대한 연구. 한국중독정신의학회, 4(2), 163-172.

안수현 (2016). 현실요법 집단미술치료가 알코올중독자의 스트레스 대처 능력과 금주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광주.

안혜용, 박경화 (2018). RP기반 집단미술치료가 알코올 중독자의 우울, 스 트레스 대처능력 및 금주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심리치 료학회, 16(2), 323-348.

양선애 (2016).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한 변화단게 프로그램의 효 과. 광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광주.

양윤모 (2007). 익명의 알코올중독자 모임(AA)이 단주의지에 미치는 영향-적응 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양희남 (2008). 사회적지지가 알코올중독자 회복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인천.

오 근 (2017). 고기능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에 대한 고찰. 국립공주병원 임 상연구논문집, 74-91.

오정연 (2004). 알코올중독의 가족력 유무에 따른 재발요인과 재발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서울.

우승윤 (2016). 알코올중독자 중 장기간 단주 과정에서의 재발경험.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우재희 (2013). 여성알코올중독자의 외상경험과 재발위험성의 관계에서 문제중 심대처, 정서중심대처, 음주기대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3(4), 230-238.

우주현 (2013). 재원 알코올 의존자를 위한 인지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아주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수원.

원성두 (2016).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를 위한 목표중심 자기조절 프로그램의 효 과. 아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수원.

유채영 (2000). 문제음주자의 변화동기에 관한 연구; 변화 전략 수립을 위한 동 기유형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윤공화 (2006). 대학생의 스포츠 참여정도와 사회적 지지도 및 진로태도의 관 계. 한국스포츠리서치, 17(1), 137-144.

윤명숙 (2000). 지역사회 알코올중독자의 음주위험 상황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000(11), 254-270.

윤명숙, 이선영 (2008). 한국 정신건강 정책의 실태 및 문제점과 개선방향. 사 회복지정책, 35, 329-354.

윤명숙, 조혜정 (2008). 청소년의 폭력경험유형이 우울 및 음주행위에 미치는

영향: 가정폭력, 학교폭력, 중복폭력 피해경험 중심으로. 정신보건과 사 회사업. 29, 295-329.

윤명숙, 최수연 (2012). 알코올중독자의 자살시도경험.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0(4), 27-56.

윤명숙, 이준석, 지홍, 김성혜 (2012). 알코올중독자의 성장기 가정폭력 외상경 험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0(3), 87-115.

이계성, 신정호 (2009). 알코올 의존 환자의 병식과 인지기능. 한국중독정신의학 회, 13(1), 12-20.

이덕기, 조현기, 조웅제, 변원탄 (2002). 알코올의존환자에서 역기능적인 핵심믿 음에 관한 연구. 중독정신의학, 16(2), 71-78.

이선영 (2015). 여성알코올중독자의 스트레스가 재발에 미치는 영향: 금주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구.

이영선, 김수연 (2016). 알코올중독자의 회복척도 CAS(Client Assessment Summary) 한국어판의 타당도 검증. 한국산학기술학회지, 17(11), 386-394.

이윤정, 박재연 (2017). 입원중인 알코올 사용 장애자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 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5(3), 122-151.

이자영 (2018). 알코올 의존증 환자의 변화동기, 금주 자기효능감 및 스트레스 대처 증진과 우울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치료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 가. 강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춘천.

이준석, 윤명숙, 이분희 (2011). 알코올 중독자의 재발에 미치는 가족지지의 조 절효과. 한국알코올과학회지, 12(2), 93-107.

이해국, 이보혜 (2012). 알코올 사용 장애의 역학. J Korean Diabetes, 13,

69-75.

이현아 (2013). 알코올 중독의 재발위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부산.

이혜경 (2000). 심상치료 프로그램이 알코올중독 환자의 금주가능성, 불안, 우울 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9(3), 250-252.

임성범 (2009). 알코올중독 재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 개발연구, 15(4), 383-411.

임성범 (2013). 금단증상, 알코올 병식이 알코올 중독자의 재발에 미치는 영향.

알코올과 건강학회, 14(1), 1-15.

장정선 (2011). 알코올 의존자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가 변화동기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전선영 (2005). 알코올중독자의 재발에 스트레스 생활사건 및 대처방식이 미치 는 영향.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공주.

정선영, 조원탁, 이정숙 (2002). 여성 알코올중독자의 정상여성의 성역할 정 체감,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및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한국보건복지학 회, 5, 119-131.

조근호 (2011). 알코올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한국중독범죄학회, 2000, 25-38.

지 홍 (2011). 알코올중독의 재발위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전북대학교 석 사학위 논문, 익산.

채숙희 (2005). 알코올의존의 재발을 예측하는 심리적 요인. 전남대학교 석사학 위 논문, 광주.

천덕희 (2011). A.A를 통해 회복중인 알코올중독자들의 경험에 관한 연구. 숭실 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서울.

최삼욱, 나란희, 김한오, 최성빈, 최영숙 (2006). 남성 알코올의존환자의 삶의 질 과 정신-사회-영적 특성과의 관계.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5(5), 459-467.

최송식 (2013). 한국사회에서 알코올중독자의 재발예방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 민족 문화, 48, 307-348.

최윤희 (2013). 알코올의존환자의 금주효능감과 재발경고증상의 관계. 전남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광주.

최은미 (2001). 알코올중독자의 사회적지지와 재발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석 사학위 논문, 전주.

최조순, 하경희, 이사라 (2015). 경기도 빈곤계층 알코올 중독 예방ㆍ지원체계 구축. 경기복지재단, 109-111.

허성희 (2007). 남성 입원알코올중독자의 치료중단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황연희 (2018). 알코올 사용 장애가 있는 성인의 정신건강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심리적요인.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Allen John, Lowman Cherry, Miller William R(1996). Perspectives on precipitants of relapse. Addiction.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enual of mental disorder(Fifthed). Arlington.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

Bandura, A. (1989).Self-regulation of motivation and action through internal standards and goal systems. In L.A.PErvin (Ed.),Goal

concepts i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5.

Bennett, G. A.,Withers, J.,Thomas, W. P., Higgins, D. S., Bailey, J., Parry, L., Davis, E. (2005), A randomised trialofearly warning signs realpse prevention training in the treatment of alcohol dependence, Addictive behaviors, 30, 1111-1124.

Borges Guilherme, Ye Yu, Bond Jason, Cherpitel Cheryl J., Cremonte Mariana, Moskalewicz Jacek, Swiatkiewicz Grazyna, Rubid Stipec Maritza(2010). The dimensionality of alcohol use disorders and alcohol consumption in a cross national perspective, Addiction, 105(2), 240-254.

Chung Tammy, Maisto Stephen A. (2006). Relapse to alcohol and other drug use In treated adolescents: Review and reconsideration of relapse as a change point In clinical course. Clinical Psychology Review., 26(2), 149-161.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5), 300-314.

Cormier Renee Marie Agnes (2000). Predicting treatment outcome in chemically dependent women: A test of Marlatt and Gorden's Relapse Model.

Dethier, M., Counerotte, C., & Blairy, S. (2011). Marital satisfaction in couples with an alcoholic husband. Journal of Family Violence, 26(2), 151-162.

Diclemente, C. C. (1994). The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scale.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55, 141-148.

Gorski, T.T., Miller.M (1982). Relapse dynamic; Counseling for relapse prevention . Herald house. Independencepress.

Gorski Terence T. (1996). Disease Model of addiction.

Gorski Terence T., Kelley John M.(1999). Counselor's manual for relapse prevention with chemically dependent criminal offenders. : DIANE Publishing.

Gorski. T. T. (2004). Understanding Relapse Warning sings. The Cenapse corporation. un published material, 1-4.

Gwaltney Chad J., Shiffman Saul, Balabanis Mark H., Paty Jean A. (2005). Dynamic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ies:

prediction of smoking lapse and relapse.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14(4), 661.

Havassy Barbara E., Hall Sharon M., Wasserman David A.(1991).

Social support and relapse: Commonalities among alcoholics, opiate users, and cigarette smokers. Addictive Behaviors., 16(5), 235-246.

Hendershot Christian S., Witkiewitz Katie, George William H., Marlatt G.

Alan(2011). Relapse prevention for addictive behaviors.

Substance abuse treatment, prevention, and policy, 6(1), 17.

Humphreys & Weingardit (2000). Assessing reading to substance abuse treatment as an indicatorofout come and program performance: Brief report Psychiatric service, 51(12),

1568-1569.

Kelly John F., Hoeppner Bettina B., Urbanoski Karen A., Slaymaker Valerie(2011). Predicting Relapse among young adults:

Psychometric validation of the advanced waring of relapse(AWARE) scale. Addictive Behaviors, 36(10), 987-993.

Kirchner Thomas R., Shiffman Saul, Wileyto E. Paul(2012). Relapse dynamics during smoking cessation: recurrent abstinence violation effects and lapse-relapse progress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21(1), 187.

Maisto Stephen A., Roos Corey R., Hallgren Kevin A., Moskal Dezarie, Wilson Adam D. Witkiewitz Katie(2016). Do Alcohol Relapse Episodes During Treatment Predict Long‐Term Outcomes Investigating the Validity of Existing Definitions of Alcohol Use Disorder Relapse. Alcoholism: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40(10), 2180-2189.

Majer John M., Callaham Sarah, Stevick Kate, Joson Leonard A.(2016).

Social Influences on Abstinence Self-Efficacy Among Justice-Involved Persons. Journal of Social Work Practice in the Addictions, 16(3). 252-265.

Marlatt G. Alan, Gorden Judith R.(1985). Relapse prevention:

Maintenance strategies in addictive behavior change. New York:

Guilford.

Miller, W. R., & Tonigan, J. S. (1996). Assessing drinkers’ motivation for

change: The Stages of Change Readiness and Treatment Eagerness Scale (SOCRATES). Psychology of Addictive Behaviors, 10(2), 81-89.

Miller, W. R., & Harris, R. J.(2000), A simple scale of Gorski's warning signs for relapse, Journal of Studieson Alcohol, 61, 759-765.

Moos,R. H., Moos, B. S.(2006). Rates and predictors od relapse after natural and treated remission from alcohol use disorders. Addiction, 101(2), 212-222.

Oettingen, G., Pak, H., & Schnetter, K. (2001). Self-regulation of goal-setting: Turning free fantasies about the future into binding go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0(5), 736.

Temme Leslie J., Fenster Judy, Ream Geoffrey L.(2012). Evaluation of meditation in the treatment of chemical dependency. Journal of Social Work Practice in the Addictions, 12(3), 264-281.

Walizer, K. S. & Dearing, R. L. (2006). Gender differences in alcohol and substance use relapse. Clinical Psychology Review, 26, 128-148.

Witkiewitz, K., & Marlatt. G. A.(2005). Relapse Prevention for Alcohol and Drug Problems. American Psychologist, 59, 224-235.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0-8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