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7-83)

본 연구는 청소년의 풋살 참여가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 향을 변별로 알아보고 관계를 분석한 결과 풋살 참여가 자아 존중감 및 학교생 활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와 관련하여 후속 연구에서 고려해야 할 문제 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경기, 전남, 광주지역에서의 중학생들만을 모집단 으로 설정하여 일반화에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지역의 분포률 평균화시켜 연구대상을 선정하여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위한 시도가 요구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타 종목에 대한 비교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향후 후속 연구에서는 스포츠 참여 종목간의 비교를 통하여 각 종목별 특성에 따른 참여자들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 만족도의 차이를 검정하는 연구가 이루어져 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현재 사회인 클럽 풋살에 있어서

사회인들의 사회적 자아존중감에 대한 연구를 폭을 넓혀 가는 것도 필요하다고 본다.

참고문헌

강성구(1999). 수영 프로그램이 비만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사례연 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박사학위논문.

경상북도교육연수원(1998). 학생 생활⋅의식 실태조사. 경상북도교육연수원.

곽지영(2009). 중학생의 스포츠활동 참가와 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교육학사전편찬위원회(1992). 교육학대사전. 서울: 교육출판공사.

교육학사전편찬위원회(1995). 교육학대사전. 서울: 대한교육연합회.

김경연(1987). 부모의 아동평가, 자아존중,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아존중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관희(1997). 중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대욱(2000). 초등학생의 체육활동 참여가 자아유능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미경(2000).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와 그 결정요인.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병성(1983). 학교 학습풍토: 그 접근과 분석. 한국교육. 한국교육개발원.

pp67-82.

김선관(1998). 청소년의 스포츠 참가와 대인관계성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성태(1985). 발달심리학. 서울 : 법무사.

김종선(1986). 청소년의 여가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청소년 사회체육. 서울: 한 국사회체육진흥회.

김준식(2004). 청소년의 학업성취도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연구. 관동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지혜(1998). 청소년 학교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지지체계에 관한 연구. 이 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춘례(1992). 자아존중감에 따른 통제소재와 학업성취에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치조(1993). 여가 활동으로서의 스포츠 활동 참여와 스포츠 활동 만족도. 직무 만족 및 생활만족의 공변량 구조분석. 서울대학교 체육연구소 논문집.

14-2, pp 85-100.

김태균(2008). 청소년의 인라인스케이팅 참여가 학교생활만족과 생활유형에 미 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체육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김하나(2007). 청소년의 체육활동 참여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 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체육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남정자(1991). 청소년 비행의 유형과 그 사회, 심리적 관련 요인 분석. 세종대학 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학위논문.

류동훈(1999). 초등학교 학생의 스포츠 활동 참여와 학교생활 만족도. 한국교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류윤석(1996). 고등학교 운동선수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마석렬(2001). 노인의 스포츠참여와 자아존중감, 고독감 및 심리적 행복감간의 인과 분석. 한국스포츠심리학회, Vol. 12, No. 1, p51-64.

문선모(1984). 중학생의 배경적 특성에 따른 학교적응. 경상대학교논문집.

23(1), pp 295-301.

문성주(1991). Reasoner의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형성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학교상담전공.

문화관광부(1998). 청소년 백서.

문화관광부(2009). 청소년 육성 5개년 수립연구.

민영순(1978). 발달심리학. 서울: 교육출판사.

민영순(1987). 교육심리학. 서울: 문음사.

박봉모(2009). 중학교 축구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 차이.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석사학위논문.

박용헌(1986). 교육사회학. 서울: 교육출판사.

배수기(2008). 중학교 유도수련 참여가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

송인섭(1996). 자아개념의 교육심리학적 의미. 교육심리연구. 10권 1호. 한국교 육심리학회.

송현종(1993).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귀인모형의 인과적 분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학위논문.

신관호(1996). 아동의 신체존중감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취차이. 한국교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영복(1984). 정서 및 부적응 행동의 특성과 관계변인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안재근(1996). 노인의 스포츠 참여와 생활 만족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예종이(1994). 체육원리신강. 서울: 형성출판사.

유상구(2000). 체육수업과 여가활동의 연계지도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 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성욱(2006). 초등학생의 주말체육활동 참여가 자아존중감 및 생활만족도에 미 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진(1984). 우정관계의 본질과 발전단계에 따른 변화.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 2. No. 1. pp 94~113.

윤진(1993). 청소년에 관한 심리학적 연구방향. 청소년학연구. 제1권 1호. pp 17-26.

이갑수(1994). 가정 주부의 스포츠활동 참여와 생활만족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이돈희(1981). 교육학용어사전. 서울교육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구소편.

이명운(2010). 방과 후 신체활동 참여와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에 관한 연구. 상주 대학교 산업대학원 사회체육학과 체육학전공. 석사학위논문.

이종길(1992). 사회 체육활동과 생활만족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이철화(1995). 도시 기혼 여성의 스포츠 활동 참여 동기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태인(1995).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집단사회사업의 효과. 연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현영(2004) 중학생의 스포츠 활동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현주(2002).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 실태에 관한 연구. 경 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효정(2002). 전자게임이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신국(2002). 대안학교 고교생과 일반계 고교생의 학교생활 만족도 비교 연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진우(1997). 어린이의 스포츠 참여와 스포츠 참여 장애. 한국교육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조원성(1996).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습동기에 미 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종현(1984). 고교생의 학교생활 적응문제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조현춘, 조현재, 문지혜 공역(2002). 성격심리학. 서울: 시그마프레스.

주현정(1998). 고등학교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 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경소(2003).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육개발원(2005). 교육수요자 만족도 조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한동교(1975). 학생이 기대하는 교사상.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선아(2010). 청소년의 방과 후 학교 스포츠 활동 참여재미와 친사회적 행동 및 자아존중감.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승희(1995). 지역사회봉사활동. 한국청소년연구. 제20호.

한인미(1984). 고등학생들의 자아정체감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주희(2000). 인간관계 집단 상담이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 향.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석사학위논문.

허종순(1996). 고등학교 운동선수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허충(2004). 댄스스포츠 참여가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진숙(1995). 교사의 역할에 따라 선호되는 특성과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Bem. D.J.(1972). Self-perception theory.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6, 1-62.

Branden, N.(1969). The psychology of self-esteem; A new concept of man's psychological nature. Los Angeles: Nash Pub. Corporation.

Branden, N.(1992). The power of self-esteem. 강승역(역)(1995). 나를 존중 하는 삶. 서울 : 학지사.

Brookover, Wilbur B, Erickson, Edsel L.,(1975). Sociology of educatoion.

Homewood, Ⅲ; Dorsey Press, 414p.

Burns, D. D.(1993). Ten days to self-esteem. William Morrow & Co., Inc.

Campbell, A.(1976). Identification and Measurement of Levels and Standards of Living. Journal of Home Economics, 57(1), 4.

Coopersmith, S.(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francisco:

W.H. Freeman and Co.

Cutright, M. C.(1992). "Self-Esteem: The Key to a Child's Success and Happiness." PTA Today 17 (4): 5-6.

Festinger, L.(1957). A theory of cognitive dissonance. Evanston, Ill: Row Peterson.

George, L. K.(1979). The Impact of Personality and Social Status Factors upon Levels of Activ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Gerontology, 33(1), 6.

Gilmore, J, V.(1974). The Productive Personality. Albion-Pub. Company.

Hartub, W. W(1978). Issues in childhood social devolopment. London:

Methuem. 130-170.

Jakson, P.W.(1968). Life in Classrooms.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e. Inc.

Long, B. H., Henderson, E. H., & Ziller, R. C.(1968). Developmental changes in the self-concept during middle childhood.

Merrill-Palmer Quarterly.

Maccoby, E. E., & Martin, J. A. (1983). Socialization in the context of the family: Parent-child interaction. In P. H. Mussen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pp. 1-101) (Fourth Edition, Vol. 4).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Mistry, R. S., Vandewater, E. A., Huston, A. C., & McLloyd, V. C. (2002).

Economicwell-being and children's social adjustment: The role of family process in anethnically diverse low-income sample. Child Development, 73, 935-951.

Reasoner, R.W.(1982). Building Self-Esteem, Calif.: CPP.

Rosenberg, M.(1965). So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ng. Princeton NJ : Princeton University Press.

Rosenberg, F., & Rosenberg, M. (1978). Self-esteem and delinquency.

Journal of Youthand Adolescence, 7, 279-291.

Rosenberg, M.(1979).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 Basic Books.

Waterman, A. S.(1981). Individualism and Interdependence. The American Psychologist, 36(7), 762-773.

Weinberg, R.S. & Gould, D.(1999). Foundations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2nd ed.). Champaign, IL: Human Kinetics.

국민생활체육 전국풋살연합회 http://www.futsal.or.kt/(참조) 대한풋살협회 http://www.koreafutsal.or.kr/(참조)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7-8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