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8-71)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1.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일부 병원의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로 대상자 및 병원 수를 확대하여 반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2.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과 연간 안전사고보고 횟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안전사고보고태도가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이 완전매개 역할이 확인된 선행연구결과가 있어 추후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과 안전사고와 관련된 추가 연구가 필 요하다.

3. 직무스트레스 도구는 1984년에 개발한 도구로 현재 근무상황이나 간호사의 지위 등은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4.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환자안전관리활동 도구는 자가보고 형식으로 실제보다 낮거나 높게 측정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자가보고 설문과 직접 관찰한 결과를 비교하여 평가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Ⅶ. 참고문헌

강정숙, 임지영 (2015). 임상간호사의 회복탄력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에 미 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지, 15(11), 263-273.

강희, 최수경, 김인숙 (2016).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영향요인. 한 국산학기술학회, 17(9), 321-339.

고유미, 김주성 (2018). 간호사의 사건보고와 안전 분위기 인지에 대한 융합연 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4), 443-453.

곽은미, 이주영, 윤희장 (2020).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음주 관계연 구. 문화기술의융합, 6(2), 145-152.

구미옥, 김매자 (1984). 간호원이 근무 중에 경험하는 스트레스 측정을 위한 도 구개발 연구. 기본간호학회지, 14(2), 28-37.

권미향 (2010). 응급실의 폭력과 간호사의 반응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권혜경, 정재심, 이복임, 김장한 (2015). 의료종사자의 환자안전문화와 표준주의 인식과 상관관계.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21(2), 58-72.

금주라 (2016).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조직몰입과 환자안전관리활동의 관 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수원.

김명선 (2012).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에 대한 인식과 영향요인.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울산.

김미경 (2018). 대학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환자안전문화 인식 및 환자안전간호 활동 간의 인과관계분석.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서울.

김미란, 김명숙 (2019). 일개 종합병원 간호사의 의료기관 인증평가 인지, 직무 스트레스, 이직의도, 안전관리 인지 변화 – 의료지관 인증평가 전·후 비 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1), 385-395.

김미정, 김종경 (2017).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환자안전역 량, 안전간호활동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10), 268-279.

김민정, 김명수 (2014). 간호사가 인식한 조직의 특성과 투약오류보고 장애요인 간의 정준상관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5(2), 979-988.

김소영, 이경희 (2015). 정신의료기관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환자안전 관리 활동. 정신간호학회지, 24(2), 82-92.

김순희, 고일선(2010 10월).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도. 한국간 호과학회 학술대회, 서울.

김영신 (2018). 중환자실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 조직의사소통만족과 환자 안전관리활동.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수원

김정은, 강민아, 안경애, 성영희 (2007). 환자안전과 관련된 병원문화와 의료과 오 보고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조사. 임상간호연구, 13(3), 169-179.

김화영, 김혜숙 (2011). 일지역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이 안전간 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과학회, 17(4), 413-422.

김향아 (2015). 노인요양병원 종사자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환자안전관리 중요 성 인식이 미치는 영향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부산 김혜정 (2017). 일개지역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지식, 태도 및 환자안전관리활

동에 대한 연구. 한국간호연구학회지, 1(2), 71-79.

문미영, 이서윤, 김미연 (2018)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의료기관인증제에 대한 인식 이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7(3), 180-189.

문숙, 이지아 (2017). 200 병상 이하 중소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환자안전활 동 관련 요인. 성인간호학회지, 29(4), 393-405.

박미연, 김은아 (2018). 병원간호사가 지각한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환자안 전문화 및 안전수행이 병원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24(1), 40-50.

박미정, 김인숙, 함영림 (2013). 병원 의료종사자의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측정도구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5), 332-341.

박소정 (2009). 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간호활동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부산.

박수희 (2015). 정신병원 간호사의 의료기관인증제에 대한 인식이 환자안전관리활 동,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박윤희 (2013). 임상간호사의 의료기관 인증제에 대한 인식도와 환자안전관리활동.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구.

박은정, 김성민, 최인령(2018).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신체화 증상 및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21, 9(4), 1323-1337.

박정선 (2005). 직무스트레스란 무엇이며, 왜 문제가 되는가?. 대한스트레스학회 지, 13(3), 175-182.

박정하 (2020).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환자안전문 화, 간호서비스의 질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26(3), 181-191.

박춘화, 고효정 (1999). 응급실 간호사의 근무 중 스트레스와 간호업무 수행의 관계. 성인간호학회지, 11(1), 146-157.

박현희 (2013).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구조모형. 을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대전.

배한주, 김지은, 배영희, 김혜진 (2019). 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 간호활동 영향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5), 118-127.

변기진 (2002). 응급실 간호사와 일반 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도. 경북간호학회지, 6(2), 4-22.

보건복지부 (2017, 11월). 국민보건의료실태조사, Retrived Desember 23, 2020.

from Web site :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

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44184

서제희(2016). 병원의 환자안전 현황과 과제. 보건복지포럼, 10(240), 6-16

선종욱, 오병섭, 황덕수, 김종윤(2010). 직무스트레스 개론. 파주: 한국학술정보

송유리 (2020). 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과 환자안전관리활동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광주.

신지선 (2019). 응급실 간호사의 감정노동, 소진, 공감만족과 환자안전관리활동 의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수원

신태건, 송진우, 송형곤, 홍종근(2011). 응급실 다방문환자의 임상적 특성에 관 한 연구: 응급실 다방문환자의 응급실 과밀화 및 증증도와의 관련성. 대한 응급의학회, 22(1), 86-92.

심지연, 서남숙, 김미애, 박정숙(2019). 교대근무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수면의 질, 피로가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연구, 27(4), 344-352.

양희모 (2019).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안전통제 감과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7), 444-455.

오명옥, 성미혜, 김양원(2011).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피로, 직무 만족 및 조직 몰입. 임상간호연구, 17(2), 215-227.

오유미 (2017).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연 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오윤정, 최영희 (2015). 융복합 시대의 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및 소 진이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3(10), 415-424.

오흥숙 (2011).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동기부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 한 연구. 충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충주.

윤선희, 김광점 (2015). 환자안전에 관한 간호사의 경험학습: 낙상 사고를 중심 으로. 병원경영학회지, 20(2), 1-14.

윤정미, 박형숙 (2014).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 위험요인에 대한 위험성 인 식과 안전 간호활동. 기본간호학회지, 21(4), 380-391.

이금옥 (2009). 간호관리자의 리더십과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관한 연구. 경희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이나주, 김정희 (2011). 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간

호활동 수행 정도. 한국간호학회지, 17(4), 462-473.

이명선 (2012). 응급실 간호사의 소아응급환자 간호 업무와 관련된 직무스트레 스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이민경, 정덕유 (2015). 포괄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사의 간호업무와 직무스트 레스,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간호행정학회지, 21(3), 287-296.

이애경, 여지영, 정성원, 변상석 (2013). 임상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직무스트레 스,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12), 299-308.

이영미 (2018).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 안전사고 경험 및 안전간호 활동. 가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인천.

이영희 (2012). 응급실 간호사의 이직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이유정 (2011). 병원간호사 지각한 환자안전문화 및 환자안전관리 활동. 을지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전.

이유림, 안숙희 (2015).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 향. 근관절건강학회지, 22(1), 30-39.

이윤정, 이복임 (2013). 간호사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국내외 연구 비교. 한국직 업건강간호학회지, 22(1), 13-23.

이지은, 이은남 (2013).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도와 안전관 리활동 수행도. 중환자간호학회지, 6(1), 44-56.

이하림 (2019). 응급실 간호사의 중증도 분류역량,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 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이현실 (2001). 임상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임두희(2013).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간호업무성과의 관계. 아주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수원.

임유진 (2019).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직무 스트레스가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 논문, 서울.

임지혜 (2018).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중요도 인식이 표준감염지 침 준수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의료기관평가인증원 (2010). 2주기 급성기 인증 기준집. Retrived October 01, 2 020. from Web site : http://www.koiha.kr/member/kr/contents/sub02/su b02_01_01.do

장현미, 박주영, 최영주, 박성원, 임한나 (2016). 종합병원 간호사가 인식한 환자 안전문화와 소진이 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22(3), 239-250.

정수희, 최은숙 (2017). 중소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6(1), 47-54.

정준 (2006). 병원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영향 요인 연구: 간호 부서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조순덕, 허성은, 문덕환 (2016). 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환자안전간호 활동의 융합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7(1), 125-136.

조유진 (2019). 응급실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업무스트레스와 중증도 분류 역량과의 관계.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조행난, 김수진 (2014). 응급실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 강인성 및 소진 간의 관계.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3(1), 11-19.

채우리 (2017).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과 안전간호활동. 연세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최경란, 허성은, 문덕환 (2016). 교대근무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간호업무성과 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7(4), 107-121.

최윤정, 강윤경, 양인자, 임지영 (2018).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이 환자안전관리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24(3), 193-201.

최영진 (2009). 병원 간호사의 조직몰입에 관한 관련 변인 분석. 한양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 논문, 서울.

최은미, 배선형 (2020). 응급실 간호사의 공감피로와 간호업무수행 및 직무스트 레스. 근관절건강학회지, 27(1), 41-49.

통계청 (2018). 응급의료현황통계. Retrived Noveber 15, 2020. from Web site : https://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d=M_01_01&vw cd=MT_ZTITLE&parmTabId=M_01_01#SelectStatsBoxDiv

통계청(2020). 직종별사업체노동력조사. Retrived Desember 24, 2020. from W eb site : https://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d=M_0 1_01&vwcd=MT_ZTITLE&parmTabId=M_01_01#SelectStatsBoxDiv 한국소비자원(2019, 10월). 환자안전사고, 대부분 보건의료인의 부주의로 발생.

Retrived November 15, 2020. from Web site : https://www.kca.go.kr/h ome/sub.do?menukey=4005&mode=view&no=1002722838

한금선, 김태윤(2015). 일 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대처유형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연구, 23(1), 39-48.

한미영, 정면숙(2017). 병원간호사가 지각하는 조직건강과 환자안전문화가 환자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23(2), 127-138.

한유진(2015). 소아환자를 돌보는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아주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수원.

함미영, 류은정, 최경숙(1997).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와 강인성 소진 정도와의 관계 연구. 중앙간호논문집, 1(2), 55-71.

홍미순, 이경미, 정경인(2006).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업무수행과의 관계. 간호과학논집, 11(1), 97-108.

황용, 김미연, 강지숙(2016). 병원 간호사가 지각하는 환자안전관리 활동의 중요 성인식과 수행.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6(12), 39-54.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04). Hospital Survey on Patient culture. Retreved September 15, 2018, from http://www.ahrq.go v/qual/patientsafetyculture/hospscanform.pdf

Alexander, D., Kinsley, T., & Waszinski, C. (2013). Journey to a safe environment: Fall prevention in an emergency department at a level Ⅰ tra-uma center.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39(4), 346-352.

Bradbury, M., & Cruickshank, J. P. (2000). Blood transfusion: Crucial steps in maintaining safe practice. British Journal of Nursing, 9(3), 134-138.

Camargo Jr, C. A., Tsai, C. L., Sullivan, A. F., Cleary, P. D., Gordon, J. A., Guadagnoli, E., & Blumenthal, D. (2012). Safety climate and medical errors in 62 US emergency departments.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 60(5), 555-563.

Enns, C. L., & Sawatzky, J. A. V. (2016). Emergency nurses’ perspectives:

Factors affecting caring.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42(3), 240-245.

Fordyce, J., Blank, F. S., Pekow, P., Smithline, H. A., Ritter, G., Gehlbach, S., & Henneman, P. L. (2003). Errors in a busy emergency department.Annals of Emergency Medicine, 42(3), 324-333.

Selye, H. (1956). The Stress of Life. New York : McGraw-Hill

Joffe, M. D. (2006). Emergency department provider fatigue and shift concerns. Clinical Pediatric Emergency Medicine, 7(4), 248-254.

The Joint Commission on Accreditation of Healthcare Organizations (2008).

National patient safety goals. Retrived at October 15, 2020, from http://www.jointcommission.org/PatientSafety/NationalPatientSafetyGoal/

Sklar, D. P., Crandall, C. S., Zola, T., & Cunningham, R. (2010). Emergency physician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risks.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55(4), 336-340.

Ulrich, B., & Kear, T. (2014). Patient Safety and Patient Safety Culture:

Foundations of Excellent Health Care Delivery. Nephrology Nursing Journal, 41(5), 447-458.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9, september). Patient safety. Retrieved Nove -mber, 10, 2020, from web site : https://www.who.int/news-room/fact-sheets/detail/patient-safety

<부록> 대상자 설문지

Ⅰ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에 관한 질문입니다.

가장 유사한 항목에 ü 표시 해주십시오(21문항).

문 항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

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환자안전관리를 위한 투자는 반드시 필요하다.

환자안전관리를 위한 업무는 병원 의료종사자 누구에게 나 해당된다.

환자안전관리 활동은 업무 생산성에 기여한다.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업무지침은 강화되어야 한다.

환자안전관리 업무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환자안전관리 활동은 중요한다.

동료의 환자안전관리를 챙기는 편이다.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병원 전체의 규정을 숙지하고 있다.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소속 부서의 규정을 숙지하고 있다.

병원 내 다른 직종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대해 잘 알고 있다.

업무 시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우선순위가 높은 편이다.

교육훈련 시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우선순위가 높은 편이 다.

환자안전관리를 위해 주변 사람들의 제안을 신중히 고려 한다.

동료들과 환자안전관리 및 개선을 위해 자주 이야기한다.

우리 부서는 환자안전관리 규정이 잘 운영되고 있고, 사 고를 방지하기에도 충분하다.

환자안전관리 유지 및 개선 방법을 잘 알고 있다.

우리 부서원들은 항상 환자안전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고 느낀다.

우리 부서에는 수시로 환자안전관리 교육을 받을 수 있 는 제도가 마련되어 있다.

우리 부서원들은 환자안전관리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동료들에게 환자안전관리를 강조하는 편이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8-7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