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8-74)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신규간호사의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중심으로 재직의도 를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는 경기 소재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신규간호사를 대상으 로 하였기에 전체 신규간호사들의 결과로 일반화하여 해석하기 어려 우므로 병원규모별 혹은 다양한 지역으로 대상자를 확대하여 연구할 것을 제언한다.

셋째, 본 연구의 현실충격과 극복력은 내적요인이므로 재직의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조직차원에서의 요인을 포함하여 다각적인 측면에서 분석 할 수 있는 반복 연구를 제언한다.

넷째, 신규간호사의 재직의도의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종단적 연구를 제언한다.

참고문헌

강경아, 박성희 (2018). 임상간호사의 자기 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 대처가 극 복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지, 19(6), 549-558.

강남욱 (2012). 회복탄력성, 스트레스요인, 스트레스 대처양식의 연관성 연구.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인제.

강정숙, 임지영 (2015). 임상간호사의 회복탄력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에 미 치는 영향. 한국텐츠학회논문지, 15(11), 263-273.

강현정, 신재용, 이은현 (2020). 병원 간호사의 직장 폭력경험과 이직의도의 관 계에서 극복력의 매개작용. 대한간호학회지, 50(5), 728-736.

고영진, 한수정 (2020). 역경지수가 신규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현실 충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간호행정학회지, 26(5), 457-467.

고진희, 구미옥 (2020). 신규간호사의 그릿과 재직의도의 관계에서 임상수행능 력의 매개효과에 대한 융복합적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1(4), 369-380.

공문연, 김정희 (2017). 간호사가 지각하는 간호관리자의 돌봄-배려행위와 동료 간 돌봄-배려행위가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23(2), 191-200.

김미정, 신수진, 이인영 (2020). 병원 신규간호사 교육 프로그램 운영 및 성과:

주제범위 문헌고찰. 성인간호학회지, 32(5), 440-454.

김민영 (2018). 간호사의 병원근무환경과 상사와의 신뢰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10), 457-465.

김순옥 (2020). 신규간호사의 전환충격, 간호근무환경, 극복력이 재직의도에 미 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인천.

김순이, 박영례 (2020). 종합병원 간호사의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대한근 관절건강학회지, 27(2), 103-111.

김은경, 정면숙, 김종경, 유선주 (2020). 신규간호사의 재직의도 영향 요인: 간호 조직문화, 임파워링 리더십, 조직사회화를 중심으로. 간호행정학회지, 26(1), 31-41.

김은영, 김선희, 오윤경 (2021). 신규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동료지지, 일과 생 활의 균형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30(1), 1~9.

김지영 (2017). 메르스 환자 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경험.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 지, 18(10), 185-196.

김진현, 배현지, 정수용 (2017). 간호사인력의 수급 현황과 중장기 추계. 한국자 료분석학회지, 19(2), 1083-1097.

류경, 김종경 (2016). 간호사의 회복탄력성, 스트레스, 소진, 조직몰입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7), 439-450.

문인오, 박숙경, 정정미 (2013). 임상간호사의 회복탄력성이 직무열의와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19(4), 525-535.

박광옥, 김종경 (2013). 임상 신규간호사의 상급 초보자에서 적임자로 되어가는 경험.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9(4), 594-605.

박미란, 이미준 (2018). 신입간호사에 대한 멘토링 프로그램의 개발 효과. 융합 정보논문지, 8(1), 43-51.

박미미, 박지원 (2016). 간호사 극복력 측정도구 개발. 기본간호학회지, 23(1), 32-41.

박선희, 이태화 (2018). 국내 병원간호사의 재직 영향요인: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간호행정학회지, 24(2), 139-148.

박정혜 (2017). 신규간호사 이직 감소 전략: 이직원인과 이직의도를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8), 833-842.

박진옥, 정귀임 (2016). 상급초보 간호사의 소명의식, 직무만족, 조직몰입이 재 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22(2), 137-147.

배은주, 김가영 (2018). 중소병원 간호사의 스트레스 대처능력과 회복탄력성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11), 662-671.

변성원, 하영옥 (2019). 종합병원 간호사의 회복탄력성, 감정노동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8(2), 104-113.

병원간호사회 (2021). 2020년 병원간호인력 배치현황 실태조사. Retrieved February 9, 2021, from http://khna.or.kr

보건복지부 (2018). 간호사 근무환경 및 처우 개선대책. Retrieved March 20, 2018, from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 _ID=04&MENU_ID=0403&CONT_SEQ=344262

손행미, 이은희, 조경숙 (2017). 신규간호사의 재직의도 영향요인. 근관절건강학 회지, 24(3), 205-216.

송은정, 김미선, 이주희, 전미양 (2020).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과 교육전담간호 사의 사회적 지지가 신규간호사의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임상간호 연구, 26(3), 344-351.

신경미, 권정옥, 김은영 (2014).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과 영향요인. 간호행정학 회지, 20(3), 292-301.

신경미, 김은영 (2017). 혼종모형을 이용한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에 대한 개념 분석.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6(1), 19-29.

신수진, 김순희 (2019). 비판적 성찰 훈련에 참여한 신규간호사의 경험. 질적연

오은주, 정경숙 (2019). 일 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간호조직문화, 감정소 진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7), 467-477.

유단비, 박혜자, 김필자 (2019). 병원 간호사의 외상사건 경험과 극복력이 전문 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재활간호학회지, 22(1), 27-37.

윤혜미, 김정순 (2012). 신규간호사의 이직의도 관련요인. 글로벌 건강과 간호, 2(2), 52-61.

윤희장 (2018).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 측정도구 개발.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인천.

윤희장, 곽은미, 김현수 (2018).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 경험에 관한 포커스 그 룹 연구. 질적연구학회, 19(2), 102-111.

이길자 (2002). 신규간호사 예비교육에 대한 조사. 부산대병원학술지, 11, 497-514.

이내영, 이선옥, 황진희 (2012). 임상간호사의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자료분석학회지, 14(3), 1479-1491.

이선영, 이지현 (2020).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 전문직관과 보상공정성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4), 677-693.

이연주, 여정희 (2017). 신규간호사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현실충격에 미치는 영향. 동서간호학연구지, 23(1), 45-52.

이영희, 안혜영 (2019). 저충실도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신규간호사의 응급상황 관리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5(3), 331-343.

이은희, 조경숙, 손행미 (2014). 병원간호사의 재직의도. 임상간호연구, 20(1), 15-27.

이현주, 조영채 (2015).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와의 관련성. 한국산학기술학회지, 16(8), 5314-5324.

이혜순, 김수정, 박신유 (2017). 신규간호사의 처음 1년간의 근무경험. 질적연구, 18(2), 131-144.

임효진 (2020). 신규간호사의 재직의도 관련 요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대구.

전미경, 한수정 (2019). 간호사가 지각하는 근무환경, 직무만족도, 사회적 지지 가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지, 19(5), 532-541.

전재희, 염영희 (2014).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배태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 서 임파워먼트와 감성지능의 역할. 간호행정학회지, 20(3), 302-312.

전주나 (2019). 신입간호사의 재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자기효능감, 자아 탄력성, 간호근무환경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울산.

정주리, 신소영 (2019).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공감만족, 회복탄력성이 우울 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8(4), 253-261.

조영문, 최명심 (2016). 임상간호사의 기본심리욕구, 셀프리더십, 직무스트레스 가 간호업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4(8), 343-353.

차보경, 최정 (2015). 대학병원과 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과 환자안전간호활동의 비교연구. 간호행정학회지, 21(4), 405-416.

최명희, 이하나 (2016).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 개념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 지, 17(11), 376-385.

최숙영, 이미애 (2018). 병원간호사의 직무착근도와 간호전문직관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24(3), 234-244.

최순옥, 김지현 (2013). 임상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 간호업무수행 및 재직의 도.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7(1), 142-152.

한민경, 신수진, 김정현 (2021). 신규간호사를 위한 간호사 레지던시 프로그램의 개인 및 기관 차원의 성과: 체계적 문헌고찰. 성인간호학회지, 33(10),

increase retention of early career nurses: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91, 47-59.

Chen, S. H., Chen, S. H., Lee, S. C., Chang, Y. L., & Yeh, K. Y. (2017).

Impact of interactive situated and simulated teaching program on novice nursing practitioners' clinical competence, confidence, and stress. Nurse Education Today, 55, 11-16.

Connor, K. M. (2006). Assessment of resilience in the aftermath of trauma.

The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67(2), 46-49.

Cowin, L. (2002). The effects of nurses' job satisfaction on retention: An Australian perspective.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32(5), 283-291.

Cowin, L. S., & Hengstberger-Sims, C. (2006). New graduate nurse self-concept and retention: A longitudinal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3(1), 59-70.

DuBois, C. A., & Gonzalez, J. F. Z. (2018). Implementing a resilience-promoting education program for new nursing graduates.

Journal for Nurses in Professional Development, 34(5), 263-269.

Eckerson, C. M. (2018). The impact of nurse residency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on improving retention and satisfaction of new nurse hires: An evidence-based literature review. Nurse Education Today, 71, 84-90.

Efendi, F., Kurniati, A., Bushy, A., & Gunawan, J. (2019). Concept analysis of nurse retention. Nurse and Health Sciences, 21, 422–427.

Hudgins, T. A. (2015). Resilience, Job Satisfaction and Anticipated Turnover in Nurse Leader,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4(1), 62-69.

Jackson, D., Firtko, A., & Edenborough, M. (2007). Personal resilience as a strategy for surviving and thriving in the face of workplace adversity: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0(1), 1-9.

Kenny, P., Reeve, R., & Hall, J. (2016). Satisfaction with nursing education, job satisfaction, and work intentions of new graduate nurses. Nurse Education Today, 36, 230-235,

Kim, S. O., & Kim, J. S. (2021), Association of work environment and resilience with transition shock in newly licensed nurses: A cross-sectional stud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30, 1037-1045.

Kramer M. (1974). Reality shock; Why nurses leave nursing. Saint Louis, CV Mosby.

Maunder, R., Hunter, J., Vincent, L., Bennett, J., Peladeau, N., Leszcz, M., et al. (2003). The immediate psychological and occupational impact of the 2003 SARS outbreak in an teaching hospital.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168(10), 1245-1251.

Mills, J., Woods, C., Harrison, H., Chamberlain-Salaun, J., & Spencer, B.

(2017). Retention of early career registered nurses: the influence of self-concept, practice environment and resilience in the first five years post-graduation. Journal of Research in Nursing, 22(5), 372–385.

Putra, A. P., Kusnanto, K., & Yuwono, S. R. (2020). Effect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Nurse Retention: A Systematic Review. Indonesian Nursing Journal of Education and Clinic, 5(2), 197-205.

Szalmasagi J. D. (2018). Efficacy of a Mentoring program on nurse retention

strategies to foster nurse resilience.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7, 681-687.

Yilmaz, E. B. (2017). Resilience as a strategy for struggling against challenges related to the nursing profession, Chinese Nursing Research, 4(1), 9-13.

<부록 1> 연구대상자 설명문

<부록 2> 설문지

<부록 3> 심의결과통지서

<부록 4> 도구사용 승인

[재직의도]

[현실충격]

[극복력]

<부록 표 2-1> 연구대상자의 재직의도 문항별 분포

(N=127)

*: 역환산 문항

문항 평균±표준편차

1. 나는 앞으로 당분간 간호사를 계속 할 의향이 있다. 5.26±1.48 2. 나는 가능한 한 오래 간호사로 일 할 것이다. 4.64±1.60 3. 나는 머지않아 간호사를 그만 둘 계획이다.* 4.75±1.50 4. 나는 간호사로 계속 일하고 싶다. 4.76±1.39 5. 나는 당분간 간호사로서 계속 일 할 것이다. 5.28±1.34 6. 나는 간호사 이외의 다른 직업을 찾고 싶다.* 3.67±1.73

총 평점 평균 4.73±1.25

<부록 표 2-2> 연구대상자의 현실충격 문항별 분포

(N=127)

영역 문항 평균±표준편차 전체

현실실망감

1. 내가 생각했던 간호의 의미가 입사 후 무너졌다. 2.96±0.94 3.01±7.47 2. 임상에 대한 이상과 임상 현실 간의 불일치가

실망스럽다. 3.06±0.94

3. 임상현장 내 간호사의 지위가 입사 전 기대했던

것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것 같다. 3.31±0.98 4. 조직의 규칙이나 정책이 불공정하다. 2.69±0.83 5. 간호사라는 직업에 회의를 느낀다. 3.11±1.01 6. 간호 대상자가 사람보다는 업무의 일부분으로

여겨진다. 3.32±1.07

7. 간호사의 역할이 전문적이라고 하기에는 잡무가

많다. 3.22±0.99

업무압도감

8. 간호 업무로 인한 육체 피로 때문에 병원생활을

견디기 어렵다. 3.35±0.98 3.46±0.83

9. 간호사로 근무하면서 정신적 피로가 심해져 견디기

어렵다. 3.42±0.99

10. 감당할 수 없이 쏟아지는 업무가 버겁다. 3.46±0.98 11. 업무 중에 문득 아무도 모르게 도망치고 싶었던

적이 있었다. 3.69±1.04

12. 입사 후 병원에 얽매여 개인적인 삶이 없어졌다. 3.44±1.01 13. 출근하는 길이 두렵고 고통스럽다. 3.38±0.97

자신감결여

14. 간호 업무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이 어렵다. 3.46±0.87 3.42±0.76 15. 나의 존재가 부서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것 같다. 3.20±0.93

16. 간호사로서 내 자신이 무능하게 느껴진다. 3.22±0.99 17. 내가 수행하는 간호에 확신이 없다. 3.10±0.93 18. 일하는 동안 선배 간호사에게 혼날까 봐 무섭다. 3.65±0.98 19. 잔업을 마치지 못해 다른 간호사들에게 피해가

갈까 두렵다. 3.87±0.92

과도한책임감

20. 나의 간호가 환자에게 해가 되지는 않을까 두렵다. 3.57±0.93 3.22±0.77 21. 환자에 대한 책임감이 나를 짓누른다. 3.35±0.90

22. 환자, 보호자와의 관계가 어렵고 불편하다. 2.71±1.00 지지부족

23. 부서 내에 도움을 요청할 사람이 없다. 2.07±0.85 2.19±0.75 24. 부서에서 환영받지 못하는 느낌이다. 2.55±0.92

25. 선배 간호사의 전문가답지 못한 모습이

실망스럽다. 2.14±1.04

<부록 표 2-3> 연구대상자의 극복력 문항별 분포

(N=127)

영역 문항 평균±표준편차 전체

기질적 패턴

1. 나는 어떤 경우에도 포기하지 않는다. 3.35±0.66 3.43±0.54 2. 나는 어려운 일이 생겼을 때, 그 일의 긍정적인 면을

찾아본다. 3.43±0.74

3. 나는 삶의 도전이나 역경에 잘 대처하는 강한 사람이다. 3.28±0.76 4. 나는 문제를 해결할 때 결과에 상관없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인다. 3.63±0.65

5. 나는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을 가지고 있다. 3.47±0.69 관계적

패턴

6. 나는 상대의 입장을 생각하며 대화를 이끌어 나간다. 3.78±0.63 3.82±0.47 7. 나는 주변 사람들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한다. 3.73±0.57

8. 나는 다른 사람의 충고를 충분히 수용한다. 3.91±0.56 9. 내 주변에는 어려운 일이 있을 때 도와주는 사람이 있다. 3.86±0.63

상황적 패턴

10. 나는 다른 전문인과 협력하여 환자를 간호한다. 3.83±0.50 3.57±0.41 11. 과거에 나의 경험은 새로운 도전과 역경을 헤쳐

나가는데 도움이 된다. 3.71±0.58

12. 나는 내가 할 수 있는 일과 그렇지 않은 일을 판단할

능력이 있다. 3.55±0.64

13. 나는 업무수행 시 우선 순위를 결정할 능력이 있다. 3.35±0.68 14. 나는 내가 관여할 일과 관여하지 않을 일을 알고 있다. 3.46±0.60 15. 나는 어려운 상황을 끝까지 해결하려고 노력한다. 3.65±0.60 16. 나는 문제가 생기면 끝까지 해결하려고 노력한다. 3.76±0.61 17. 나는 스트레스 업무상황에 대처할 능력이 있다. 3.39±0.73 18. 나는 새로운 일이나 어려운 일을 수행할 수 있다. 3.34±0.72 19. 나는 나와 생각이 다른 사람과도 소통을 할 수 있다. 3.65±0.67

철학적 패턴

20. 나는 미래에 대한 희망을 가지고 있다. 3.44±0.78 3.41±0.64 21. 나는 대체로 행복하다고 느낀다. 3.21±0.84

22. 나는 내 삶에 만족한다. 3.26±0.85 23. 나는 중요한 사람이다. 3.60±0.78 24. 나는 삶에 대한 강한 목표의식이 있다. 3.48±0.83 25. 나는 다른 사람에게 필요한 존재이다. 3.47±0.70

전문가적 패턴

26. 나는 어떤 상황에도 침착하게 업무에 임한다. 3.26±0.84 3.43±0.55 27. 나는 자율적으로 일하는 편이다. 3.29±0.73

28. 나는 일단 어떤 일을 시작하면 기대하는 목표를 성취

할 수 있다. 3.44±0.64

29. 나는 내 인생을 스스로 관리하며 살아갈 자신이 있다. 3.61±0.62 30. 나는 지속적으로 전문지식을 획득하려고 노력한다. 3.52±0.66

총 평점 평균 3.52±0.42

-ABSTRACT-A Study of Intention to Stay, Reality Shock, and Resilience among New Graduate Nurse

Soyoung Kim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Myung Sun Hyun, RN., Ph. D.)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among intention to stay, reality shock, and resilience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intention to stay among new graduate nurses.

The design of the study was cross-sectional descriptive. One hundred twenty seven newly graduated registered nurses at a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 in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30, 2020 to January 13, 2021.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5.0.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8-7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