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 론

1. 요약

제 6 결 론

1. 요약

가. 산학연계 교육인프라의 충실성

산업계 경력 교수 비율 분석 결과 전체 교수 대비 산업체 경력 교수 평균은 약 16.36%

로 낮은 편은 아니나 학교 간 편차는 큰 편임

산업계 연계 교육과정의 운영 실적은 참여율, 프로그램 운영횟수, 운영의 적절성으 로 평가됨

◦ 산업체 연계 프로그램 참여율은 5.58%로 낮은 수준이었고, 범위는 0%에서 64.26%

로 학교별 편차도 큰 것으로 나타남

◦ 평가대학 전체의 평균 프로그램 운영횟수는 1.31개로, 대학별로는 0개에서 5개로 평가대상 대학 중 절반 이상의 대학에서 산업체 연계 프로그램을 운영하지 않는 것 으로 나타남

◦ 운영의 적절성은 5점 척도상에서 평균 1.4점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산업체 연계 교 육과정을 운영하는 대학 자체가 적기 때문임

현장실습 운영평가를 대학 지원, 기회 및 선발 공정성, 개선 노력, 수준 및 내용, 취 업관련성, 직무수행 향상, 흥미 및 동기 등의 영역으로 구분하였을 때 졸업생은 취 업관련성(3.85)을 가장 높게 평가하였으며, 현장실습 개선노력(3.09)을 가장 낮게 평가함

◦ 현장실습 참여율은 평균 12.30%이며 대학별로 0%에서 45.93%로 대학별 차이가 크게 나타남

나. 산업계 요구와 교육과정 일치도 산업계 요구 교과목 개설 비율의 적합성

◦ 산업계 요구 전공교과목 개설 비율에 근거하여 일치도를 평가하면 평가대상 학교 는 평균적으로 55.88%의 일치도를 보이고 있음

◦ 평가대상 학교의 산업계 요구내용 부합도의 평균은 300.81이고, 최소값은 231.30, 최대값은 351.70으로 나타남

◦ 산업계에서 전공교과에 대한 중요도 판정 결과와 이수율을 기반으로 한 운영 중요 도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총 21개의 교과 중에서 차이가 1점 이상 나는 교과는 3 개인 것으로 나타남

자동차 분야 산업계 요구 교과목 평균 이수율은 27.82%로 평가 대상 분야 중 과목 별 평균 이수율이 다소 낮은 편으로 나타났으나, 학교 간 차이는 5.40%~65.99%로 편차도 큰 편이나 다른 분야와 비교하면 다소 작은 편임

산업계 요구 교육과정 운영 시스템 평가에서 자동차 분야는 ‘전문역량 함양 시스템’과

‘교육과정 개선 실적’이 5점 척도에 각각 평균 4점과 3.65점으로 다른 산업분야 중 가 장 우수하다고 평가되었고, ‘일반역량 함양 시스템’도 3.6점으로 우수하게 평가됨

대학교육과정 운영 평가는 전공이수학점, 전공교과과정, 교과목 순서, 전공 지도 또 는 상담, 산업전반 및 현황파악, 현장실무능력 함양, 경영 및 기타 교양과목 이수 권 장, 일반직무능력 향상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평가되었으며, 졸업생은 자동차 분야에 서는 전공지식을 함양하기 위한 교과목으로 구성된 정도인 “전공교과과정”(3.89)을 가장 높게 평가한 반면, 전공 교과목에서 산업 현장에서 활용될 실무 능력을 함양하 는 내용도 포함여부인 “현장실무능력 함양”(3.25)에 대한 평가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남

다. 교육 및 기술개발 성과의 우수성

전공분야 취업률은 평균 80.53%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평가대학별로 62.05%~

92.50%로 학교별 취업률 편차가 다소 큰 것으로 분석됨

전공분야 산업계 기술이전 금액에 있어서 자동차 분야가 1,580,757,625원으로 가장 많은 금액을 나타내어, 산업체와의 연계가 다른 산업에 비해 그 규모면에서 가장 활 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산업계 부서장들의 대졸 직원들에 대한 일반직무역량 평가 결과는 전반적으로 일반 직무역량별 만족도에는 큰 차이는 없는 편이나, ‘대인관계능력’과 ‘의사소통능력’ 등 의 직무역량에 대한 평가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남

산업계 부서장들의 대졸직원에 대한 전문직무역량 평가결과 ‘공학기초’, ‘기계설계이 해’ 등의 직무역량에 대한 평가가 다소 높았고, 전기전자이해, 파워트레인이해, 차 체구조이해 등이 다소 낮게 나타남

2. 제언

가. 산학연계 교육인프라의 충실성

산업체 경력교수 비율의 양적 확대와 더불어 질적 향상 필요

◦ 전체적으로 보면, 산업체 경력 교수 비율이 낮은 편은 아니나 학교별 편차가 큰 것 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

예를 들어, 아예 전임교수 채용하지 않은 대학의 경우는 전임교원 채용 시, 산업체 경력에 대해 가점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 전임교수에 대한 산업체 경력교수 비율의 경우, 최근 산학협력 교원의 확충으로 그 비율이 양적으로 확대되었으나, 질적으로 산학협력 교원의 채용으로 대학 내에서 산학협력이나 산업체 연계 교육과정 운영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지는 의문임. 따 라서 질적 평가에 대한 고려가 더 요구됨

현장실습 차원을 넘어선 ‘산업계 연계 교육과정’의 활성화 필요

◦ 평가대학 전체의 산업체 연계 프로그램 참여율도 낮고, 프로그램 운영횟수도 적으 며 일부 대학에서는 프로그램을 운영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산업체 연계 프 로그램을 활성화하고 질을 제고하여 학생들의 참여를 유도해야 함

◦ 또한 산업계에서는 보다 빨리 현업에 적응할 수 있도록 현장 및 실습 위주의 교육 을 요구하므로 산업체 연계 프로그램의 질을 제고하고 규모를 확대하여, 현장실습 차원을 넘어선 ‘산업계 연계 교육과정’의 활성화를 위해 노력해야 함

해당 대학에서는 보다 체계적인 제도적 지원과 지속적인 계획 및 운영을 위해 노력 해야 함

현장 실습 프로그램의 참여율을 높일 뿐 아니라 질적 향상을 위한 개선 노력이 필수적임

◦ 입사 후 보다 회사 생활에 빨리 적응 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현장실습 시스템을 각 대학별로 구축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음

◦ 또한 전반적인 현장실습 내용에서 충실도를 향상시켜야 함

◦ 현장실습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형식적인 현장실습 프로그램보다는 직무에 도 움을 줄 수 있도록 프로그램 내용을 구성하여야 함

◦ 기업에서는 현장실습 프로그램을 기획이나 컨설팅 혹은 파견형식으로 프로그램을 관리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대학의 경우 프로그램 기획에 적극 참여하 는 등의 노력이 필요함

◦ 졸업생의 만족도 설문 문항 중 특히 ‘개선 노력’에 대한 만족도 점수가 가장 낮은 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대학의 현장실습에 대한 재정적 지원 및 행정적 배려 와 학생들이 현장실습 이후 고충사항을 보고하는 등 현장실습 프로그램을 개선하 기 위한 제도적인 노력이 더욱 필요함

현장 실습 프로그램에 대한 지원 체제를 구축하고 지원 방안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 해야 함

◦ 현장 실습에 대한 각 대학의 보다 적극적인 재정 지원과 많은 재학생이 참여 할 수 있도록 보다 체계적인 현장 실습 지원 시스템 구비가 필요함

◦ 일부 대학에서 적용 중인 현장 실습을 이수 학점으로 인정 하는 시스템을 많은 대 학에서 채택하도록 하여 산업체 연계 사전 직무 능력 향상 노력이 보다 필요함

◦ 현장 실습에 대한 대학 지원에는 재정적 지원뿐만 아니라 멘토 선정 등을 통한 프 로그램 질 관리가 필수적임. 산업체 현장에서뿐만 아니라 대학 내에서도 현장 경험 을 학습과 연결시킬 수 있는 지원체제가 구축되어야 함

나. 산업계 요구와 교육과정 일치도

산업계 요구 교과목 개설 증대 및 산업계 연계 교육과정 활성화

◦ 산업계가 요구하는 교과목 개설 비율과 요구내용 부합도는 학교별 편차가 다소 큰 것으로 나타남

◦ 이는 산업계 요구를 크게 반영하고 있는 교육과정과 그렇지 않은 교육과정 사이의 학교별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학교별 개선이 필요함

◦ 산업계에서 중요하다고 기술한 교과와 요구내용 일치도 간 차이가 큰 교과는 자동 차공학(차체구조), 정역학, 메카트로닉스, 전기전자공학, 자동차산업의 이해, 동역 학, 기계설계입문, 자동차공학(내연기관) 등으로 이들 교과목의 추가 개설 및 교과 과정 운영의 충실성이 강조됨

◦ 대학에서는 산업계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교과목의 이수율을 높일 수 있도록 강 의를 개설하고 학생의 진로에 따른 수강을 독려할 필요가 있음

◦ 대학에서 산업계 요구 교과목의 운영 중요도 개선을 위해 산업계가 요구하는 교과 목 개설뿐만 아니라 그 교과의 내실 있는 운영이 필수적이므로 그 교과의 수강을 독려할 수 있도록 필수과목 지정 등을 고려할 수 있음

◦ 다만 이로 인한 교과목 선택의 자유를 저해하지 않도록 전공 내 학생의 진로에 따 른 교육과정 제공이 필요함

산업계 요구 교과목 이수율 향상 필요

◦ 자동차 분야 교과목 과목별 평균 이수율은 27.82%로 공업수학, 재료역학(고체역 학), 열역학, 유체역학의 순으로 평균 이수율이 높음

◦ 교과목 중 메카트로닉스는 자동차 분야 과목펼 이수율 평균이 5.4%로 산업계에서 교과목 중요도를 3.9점을 부여한데 반해 이수율이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남

◦ 향후 산업체 요구 교과목 이수를 지속적으로 할 수 있도록 강의에 대한 내용적, 방 법적 충실도를 높이고 현장의 요구를 반영해야 할 필요가 있음

특히 산업계 요구 교과목 이수율이 낮은 학교의 경우, 수요자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필요함

산업계 요구 교육과정 운영 시스템의 지속적 관리 및 질적 향상

◦ 자동차 분야는 다른 산업 분야에 비해 산업계 요구 교육과정 운영 시스템이 우수한 편으로 평가되었고, 특히 ‘전문역량 함양 시스템’과 ‘교육과정 개선 실적’이 다른 산 업 분야와 비교하였을 때 가장 우수하게 평가됨

◦ 전공교육과정과 전문직무역량 함양을 위한 전문역량 함양 시스템 뿐 아니라, 의사 소통능력, 정보관리능력, 대인관계능력, 자기계발능력, 문제해결능력, 창의성, 팀 워크, 인성, 외국어 능력 등 전반적인 직업기초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일반역량 함양 시스템’을 강화시키기 위한 학교 및 학과의 제도적 지원이 필요함

보다 실질적인 대학 교육과정 개선 및 운영 노력

◦ 평가결과 대학 교육과정 운영은 보통 이상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공 교육 과정에서 기초적인 이론 수업과 더불어 산업전반 및 현황을 파악하거나, 현장실무 능력을 함양하는 등 보다 실질적인 운영을 위해 노력해야 함

◦ 특히 산업계에서는 끊임없이 실무교육을 강조하고 있으므로 산업계와 산학협동을 통하여 현장실무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

◦ 더불어 전공 및 진로와 관련한 충분한 상담이 필요하며, 전공지식 뿐만 아니라 경 영 및 기타 교양과목 이수 권장 등을 통해 일반직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과정 운영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과 노력이 필요함

다. 교육 및 기술개발 성과의 우수성 전공 분야 취업률의 개선 필요

◦ 자동차 분야의 전공분야 취업률은 평균 80.53%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학교별 로 취업률 편차가 다소 큰 것으로 분석됨

◦ 전공 취업률이 낮은 일부 대학에서는 관련 분야의 특성화 및 산학 연계 프로그램의 활성화 등을 통해서 지속적이고 다양한 산업체 연계 강화로 전공 분야의 취업률이 개선되어야 함

전공 분야 산업체 기술 이전 개선 필요

◦ 평가 대학별로 산업체 기술이전 금액은 다른 분야에 비해 높은 편이나, 그 편차가

문서에서 자동차 분야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페이지 89-12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