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산업계 요구분석 결과

제 2

제 2 산업계 요구분석 절차 및 결과

1. 산업계 요구분석 절차

가. 산업계 요구분석 정의 및 의의

◦ 산업계 요구분석이란 산업계 종사자들이 분야별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직무역 량을 정의하고 이를 함양하기 위한 교과목을 도출하는 과정

◦ 산업계 요구분석을 통하여 다양화⋅전문화되고 있는 산업현장의 수요를 취합하여 대학에 전달하고 교육과정 개선을 유도함

나. 요구분석 절차

◦ SC(Sectoral Council) 등을 통해 요구분석에 참여할 기업을 섭외

◦ 다음 세 단계에 걸쳐 요구분석을 실시 [1단계] 직무단위 구분 및 정의 - 직무분류관련 자료 수집 및 분석

- 국가직무능력표준 및 해당산업 관련 대표기업의 직무군 조사 등의 문헌조사를 통해 공통 직무추출 및 직무절차(process) 구성

[2단계] 직무단위별 직무역량 정의 및 교육단계 산출

- [1단계]에서 정의된 직무단위를 바탕으로 직무가 존재하는 이유, 직무수행의 예상되는 결과 및 달성해야 하는 수행 목표에 대하여 신입사원이 반드시 갖추 어야 할 직무지식, 능력, 태도(이하 역량)를 제시

∙ 직무수행시 필요한 이론적 지식

∙ 직무수행의 방법, 절차에 대한 지식 이를 수행하기 위한 능력 및 태도

- 직무역량 함양을 위한 적절한 교육실시 단계를 정의 ∙ 대학: 학사 수준 함양 역량

∙ 대학원: 석사 이상 수준

∙ 기업: 입사 후 현장훈련(OJT: On the Job Training) 요구 수준 ∙ 역량에 따라 교육실시 단계 중복 제시 가능

[3단계] 직무단위별 직무역량 함양을 위한 교과목 및 중요도 산출 - 산업분야 관련 전공 교과과정 내 개설교과목 분석

- [2단계]에서 「학부」수준 역량으로 분류된 직무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관련 내용 을 포함하는 교과목을 선정

- 선정된 교과목에 대해 다음과 같이 중요도를 설정 ∙ ① 매우 낮음 ② 낮음 ③ 보통 ④ 높음 ⑤ 매우 높음 ∙ 중요도의 평균이 3점 이상인 과목에 한하여 목록 제시

[그림 Ⅱ-1] 산업계 요구분석의 절차

1단계

직무단위 구분 및 정의

∙ NCS(국가직무능력표준) 분류 및 능력단위를 활용하여 해당 직무군 에 포함되는 직무단위를 정의

2단계

직무단위별로 직무역량 정의 및 교육단계 산출

∙ 해당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직무역량 추출

∙ 각 직무역량들의 교육시기 : 학부/대학원/기업으로 구분(중복가능)

3단계

직무단위별로 직무역량 함양을 위한 교과목 및

중요도 산출

∙ 추출된 역량을 학부교육과정에 맞추어 재분류 및 학부에서 학습할 교과목 정의

∙ 정의된 교과목의 학부 교육시 중요도 평정

2. 산업계 요구분석 결과

가. 산업계 요구분석 결과 개요 산업 현황

◦ 현대자동차 그룹이 세계 5위권으로 도약하는 등 한국 자동차산업 부흥기임

◦ 한편, 부품업계에서는 우수 인력 수급의 어려움을 표명하고 있으며, 이는 자연스럽 게 부품 제품의 질적 수준 저하로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함. 완성차 업체들은 일부 부품에 대해 여전히 수입부품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임

산업계 요구 분석 요약

◦ 자동차 산업에 대한 이해 강화가 요구됨

- 신입사원의 기본 기계공학적 소양은 갖추어 있으나, 그에 비해 자동차 산업 전 반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음

- 기계공학과 전공자는 자동차, 중공업, 전자 등 다방면으로 진출하고 있으므로, 취업수요가 많은 산업분야를 기준으로 기계 산업전반을 다루는 3학점 옴니버 스 강의를 개설할 것을 제안함

◦ 기계공학의 기초과목 이수학점 상향 노력이 필요함

- 점차 대학에서 요구하는 필수 수강학점이 낮아지면서, 과거에 대부분 수강 후 졸업하던 주요 역학과목의 심화단계(예:유체역학2)를 수강하는 학생이 최근 들 어 급격히 감소하는 추세임

- 정역학, 고체역학, 유체역학 등의 기초역학은 필수이며, 그 외 전공 교과목은 필수적으로 70학점 이상 이수하여 해당 역량을 함양해야 함

◦ 산업계의 10년 후 전망을 반영한 교육과정이 요구됨

- 산업계 요구 및 학계의 트렌드에 따라 학문간 경계가 허물어져가고 있음에도 불구하 고, 기계공학과 전공 신입사원의 경우 기계공학 이외의 지식이 부족한 경향이 있음 - 석유고갈 및 환경문제, 고령화 등의 이슈로 인해 자동차는 기계적인 요소들이

전자전기 분야와 결합되어가는 추세이므로, 기계공학과에서도 전기전자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강조해야 함

◦ 자동차 공학 과목 개설시, 아래와 같은 내용에 대한 강조가 필요함 - 환경자동차 이론을 포함한 미래형 자동차의 이해

직무군 직무단위 직 무 세 부 직 무 내 용

연구개발 차량설계

/평가

차체설계 차체 스트럭쳐, 무빙시스템, 메커니즘 SYS 상세설계 의장(내・외장)설계 자동차 내・외장트림, 시트, 의장Safety, 공조 상세설계 샤시설계 서스펜션, 제동, 구동, 조향, CONTROL, 냉각, 연료,

흡배기장치, 상세설계

플랫폼설계 차체 스트럭쳐 및 샤시, 선행설계, 샤시 신기술 개발 레이아웃 설계 패키지 LAY-OUT, 차량분해분석, 설계도면 검증 설계개선・품질 신차 양산후 설계개선 진행/對연구소 설계관련 창구

/해외공장 설계지원

차량시험 내구신뢰성, 상품성 평가, 감성품질평가 기능시험 충돌/안전/진동소음/환경/공력시험 및 개선 - 파워트레인 부품 및 작동원리의 이해

- 차량 경량화에 따른 소재 적용 및 특성 이해

- 연구개발기술 특허침해와 관련해 소송이 진행된 케이스

나. 직무단위의 구분 및 정의

직무단위의 구분 및 정의에 대한 요구분석 결과

◦ 국가직무표준 및 2008년 산업계 관점 대학평가 요구분석에 대해 2012년 자동차분 야 요구분석위원회가 검토한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된 것이며, 직무군을 크게 차량 설계/평가, 신차개발(파이롯트), 파워트레인, 선행개발, 전자개발로 구분하였음

‒ 차량 설계/평가의 직무단위(8개) : 차체설계, 의장(내・외장)설계, 샤시설계, 플 랫폼설계, 레이아웃 설계, 설계개선・품질, 차량시험, 기능시험

‒ 신차개발(파이롯트)의 직무단위(2개) : 파이롯트, 시작차 개발

‒ 파워트레인의 직무단위(5개) : 엔진/변속기설계, 엔진/변속기시험, 엔진/변속기 선행, 엔진/변속기시작, 성능시험

‒ 선행개발의 직무단위(5개) : 선행해석, 재료연구, 환경기술연구, HEV 개발, 기 타 선행연구

‒ 전자개발의 직무단위(6개) : 전장시스템개발, 정보통신개발, 전자 시스템 제어, 전자 Architecture, 전기・전자설계, 전자 전략 기획

<표 Ⅱ-1> 직무단위의 구분 및 세부 내용

직무군 직무단위 직 무 세 부 직 무 내 용 신차개발

(파이롯트)

파이롯트 파이롯트차량개발, 품질확보, 양산성 검증 시작 시작부품 시작/시작차 개발/ 설계품질 확인

파워트레인

엔진/변속기설계 가솔린/디젤 엔진 및 수동/자동 변속기 상세설계 엔진/변속기시험 엔진/변속기 성능, 내구 시험 및 엔진 EMISSION 시

험 평가업무

엔진/변속기선행 연소시스템, 배기저감시스템개발/연소개선기술개발 엔진/변속기시작 엔진시작품 제작 계획 수립 및 문제점 분석 성능시험 차량 Emission 개발/연비/동력성능/운전성

연구개발

선행개발

선행해석 

내구강도해석, 충돌안전해석, 진동소음, 열유동/열 전달 해석, 동력거동해석, 파워트레인 내구/진동소 음 해석

재료연구 철강, 경금속, 소결・세라믹, 플라스틱/고무 등 고분 자 재료 연구

환경기술연구 

연료전지시스템개발, 연료전지성능시험, 촉매 및 배 기시스템연구, 리사이클/중금속/VOC 규제 대응 기 술 연구

HEV 개발 HEV 시스템(모터/배터리/제어기)개발, HEV성능개발 기타 선행연구 신개념 시스템 개발, 기초기술연구, 기초기술기획

전자개발

전장시스템개발 차량 충방전 기술, 배선 기술, 전자파 개발시험, 진 단시스템 개발, 신뢰성 기술

정보통신개발 

IT접목 멀티미디어 시스템 개발(NAVI, Map, Telematics, Audio, 안테나, 정보통신, 차량 Network)

전자 시스템 제어 

Powertrain 제어 시스템 개발, 신전원시스템 개발, Software Engineering, 바디/샤시/공조 제어 시스 템 개발,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및 ASV(Advanced Safety Vehicle) 개발, Dynamic System 분석/제어

전자 Architecture Embedded System Control, 제어기 플랫폼 개발, 전자 System Architecture 개발

전기・전자설계 System Engineering, System Integration, 전장품 설계

전자 전략 기획 전자 신기술 기획 및 전자 Project 개발 관리

직무군 직무단위 세부내용 교육함양단계 대학 대학원 기업

연구개발

차량 설계/평가

자동차 구조학(차체, 샤시, 의장 시스템) 개론 ○

자동차 신기술(HEV, FCEV, 지능형 자동차) 관련 지식 ○ ○ ○

차량 분해/조립 기초 지식 ○

설계과정 이해 (차체, 의장, 샤시, 플랫폼, 전자, P/T) ○ ○ 평가과정 이해 (주행, 충돌, 구조, 공력, 환경, NVH) ○ ○

차량 차체/샤시 시스템 설계 능력 ○

차량 충돌 안정성 관련 설계 및 해석 능력 ○ ○

인간공학 및 HMI (Human Machine Interface) 개론

이해 ○ ○ ○

품질 및 상품성 평가 능력 ○ ○

파워 트레인

자동차의 엔진/변속기 개론 ○

차량/엔진 및 제어부품 관련 지식 ○ ○

배기시스템 구조 관련 지식 ○ ○

다. 직무단위별 직무역량 및 직무함양단계

산업계 요구분석에서 도출된 직무단위별 직무역량

◦ 산업계 요구분석으로 도출된 직무군 및 직무단위의 세부 업무를 분석한 결과, 대부 분의 업무가 기업 입사 후 실무과정을 거치며 얻어지는 것이며, 대학(기계/자동차 공학 관련학과)에서 함양해오길 요구 하는 내용은 기계공학의 기초임을 확인함

◦ 이에 직무단위별 교육함양단계는 세부 직무내용의 모든 내용을 일컫는 것은 아니 며, 직무 세부 내용 중 대학에서의 기초역량 함양이 필요한 내용이 일부 포함된 경 우를 말함

◦ 2012년 자동차 산업분야에 대한 평가는 기계공학과(자동차공학과)를 대상으로 하 므로, 분석된 직무 단위 중 차량 설계/평가 및 파워트레인 관련 직무단위에 대해서 만 직무함양단계를 분석하였음

직무단위별 직무역량 교육 함양단계(대학, 대학원, 기업)는 <표 Ⅱ‒2>를 참조

<표 Ⅱ-2> 직무단위별 직무역량 및 직무함양단계

직무군 직무단위 세부내용 교육함양단계 대학 대학원 기업

연구개발

파워 트레인

내연기관에 대한 기본 이론 및 구조 이해 능력 ○

연소 및 배기가스 생성 등의 기초 지식 및 연구능력 ○ ○ 파워트레인 부품의 이해(엔진 및 변속기 부품의 이해 등) ○ ○

파워트레인 부품의 제작 방법 및 공정 이해 ○

단순 파워트레인 모델을 이용한 파워트레인 기본해석

실습 ○

모터 및 액츄에이터 제어 ○ ○

차량 설계/평가

및 파워트레인

공통사항

열역학, 유체역학, 고체역학, 진동, 열전달 등 기본 역학 ○ 기구학적 매커니즘 이해 및 시스템 해석 능력 ○

생산(가공 및 조립 공정)요소 고려한 설계 능력 ○ ○

재료/소재 이해 (재료, 재질별 가공공정, 부식방청) ○

전기전자 회로 이론 및 알고리즘 이해 ○

차량 전자/디지털 제어 이론 ○ ○

메카트로닉스(기계기술과 전자기술 접목 시스템) 이해 ○ ○ 센서 및 계측공학(센서 원리 및 활용) 관련 지식 ○

통계적 데이터 분석 능력 ○ ○ ○

실험계획법 - 시험 설계, 데이터 분석 능력 ○ ○ ○

강건설계(Robust Engineering) 기법 ○ 내구 신뢰성학(durability & reliability) 관련 지식 ○ 고장분석 이론/기법/사례(피로, 마모, 소음 등) 응용

능력 ○

기계설계 일반(기본 이론, 공차론, 제도법, 도면의 이해 등) ○ ○

기하학적 치수공차 관련이론 ○

요소설계능력 ○

설계 CAD 프로그램 활용능력(설계 & 간단한 강도해석) ○ ○ ○ Matlab Simulink(s/w설계프로그램)활용 능력 ○ ○

수치해석 ○

해석 TOOL 활용

(ABAQUS, NASTRAN, ANSYS WORKBENCH) ○ ○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