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상의 결론으로부터 다음의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부모-자녀간의 역기능적 의사소통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부모와 자녀를 위한 의사소통 교육 프 로그램을 개발하고 시행하여야 할 것이며 적극적인 참여가 있어야 할 것이다. 또 한 이는 부모에게만 필요한 대화기법만이 아니고, 학교 전반에서 종사하는 자들에 게 중요한 길잡이가 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자녀의 긍정적인 대인관계 성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서는 가정의 화목도 를 높이는 일은 반드시 필요하다. 이는 학교 내의 여러 요인을 정상화시키는 것뿐 만 아니라 나아가 사회를 정상화 시키는 데에도 크게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에 대한 질적 측정과 함께 대인관계 성향에 미치는 문제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미래의 아버지, 어머니가 될 청소년을 대상으로 바람직한 부모역할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청소년 시기에 부모역할의 중요성을 미리 인식시킴으로써, 앞으 로 그들의 미래 부모역할의 나침판이 될 수 있도록 기초 자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본 연구는 제주도 내의 대학생을 그 대상으로 한정하였으므로 연구 결 과를 일반화하는데 무리가 있을 수 있다. 연구 대상을 확대하여 연구 문제를 재규 명하고 이를 토대로 학교와 가정, 지역사회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의사소통 프로그 램과 부모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강명호(1996). 가정환경과 성격유형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 울시내 여자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고상미(2000). 부모-자녀의 역기능적 의사소통이 아동의 스트레스 및 문제행동 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고영복(1977). 「현대사회심리학」. 서울: 법문사

권석만(1995). 우울과 불안의 관계.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심리과학연구소.

권혜진(1992). 모-자녀간의 의사소통유형과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권미경(1983).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권보연(1999). 대학신입생의 대인관계 문제유형과 그들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및 양육태도와의 관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 학원.

김경화(1989).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 석사 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김경희(2005). 부모 자녀간 의사소통유형에 따른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성향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김미호(1989). 부모와 자녀간의 의사소통 및 자녀의 사회적 행동 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김민겸(2002). 영재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유형과 성취동기와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성연(2003).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역기능적 의사소통과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 적응.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성태(1985). 발달심리학. 서울 : 법문사

김양숙(1995).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유형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내외통제 성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김양희(1989). 가족관계학. 서울 : 수학사

김오남(1994).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의 의사소통유형과 가족 스트레스. 석사학

김윤희(1989). 부부관계, 부모-자녀 의사소통. 가족기능과 청소년자녀 비행과의 관계 연구.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김주분(1994). 어머니-자녀간의 역기능적 의사소통과 청소년 문제행동과의 관 계.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김진희(1988). 부모- 청소년 자녀간 의사소통과 가족응집성 및 적응성과의 관 계.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남정홍(2001). 아버지-자녀간 의사소통 유형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의 관계. 석 사학위 논문, 서강대 대학원.

남정화(1998). 형제 자매관계의 특징과 대인관계 성향과의 관계연구. 석사학위논 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민하영(1991). 청소년 비행정도와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가정의 응집 및 적 응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민혜영(1990).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순정(1996). 자아개념이 대인관계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연호(1999). 인간관계론. 서울 : 박영사.

방문희(1991). 부모 자녀간의 의사소통유형과 청소년의 대인관계 성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대학원.

방정복(1980). 대화와 인간관계. 서울 : 아세아문화사

서수진(2002). 청소년 댄스스포츠 참가와 대인관계 성향 및 사회성 발달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송상홍(2004). 부모의 의사소통유형과 친밀감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제주대학 교 교육대학원.

송성자(1985). 한국부부간의 의사소통유형과 가족문제에 관한 연구: 의사소통 가 족 치료 이론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숭전대학교 대학원 사회사업 학과

송여옥(2002). 부모의 의사소통유형과 자녀의 대인관계성향에 관한 연구. 석사 학위논문,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승연경(2003).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체계 및 부모-자녀간의 역기능적 의사소통 유형과 우울 및 문제행동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

신수진(2003).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역기능적 의사소통유형과 정서적 부적응 행동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심혜영(1993). 고교생의 대인관계 성향과 부모-자녀 대화개방도 간의 관계 연 구. 석사학위 논문,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안범희(1979). 대인관계의 이론 고찰,「원우론집」, 제7집. 연세대학교 대학원 원 우회

(1984). 대인관계 적절성과 성향검사의 타당도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 학교 대학원.

오선주(2004).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의사소통유형과 아동의 대인관계 성향과 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옥선화. (1985). 자녀문제와 대책-청소년과 부모간의 대화를 중심으로. 한국부인 회

유영주(1998). 신가족 관계학, 서울 : 교문사

이문행(1994). 가족기능성이 자녀의 대인관계 성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 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원숙(2002). 가족기능성이 청소년기 자녀의 대인관계 성향에 미치는 영향. 석 사학위 논문,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형득(2002).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서울: 학지사

이혜강(2003).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역기능적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대인관계 성향과 학교 적응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대전대학교 교육대학원.

임동숙(2000). 중학생과 대인관계 성향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충 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임점숙(2000). 아버지와 자녀의 의사소통유형에 따른 자녀의 우울성향. 석사학 위 논문,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장귀자(1973). 가정환경변인과 대인행동유형간의 상관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 화 여자대학교 대학원

장호선(1987). 부모-자녀간의 개방적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심 여자대학교.

정명희(1988).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유형과 청소년 문제 행동과의 상관연구.

석사학위논문, 성심여자대학교 대학원.

정수자(1981). 청소년기의 대인행동에 미치는 배경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

회지, 제47 호, 서울: 대한가정학회, pp.85~96.

정유미(1997).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청소년 문제 행동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주소영(1995). 고교생이 지각한 부-자녀간 애정적 유대와 대인관계 성향간의 관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지용근(1996). 인간관계훈련이 대인관계성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울산 대학교 교육대학원.

최인경(2001). 부모 자녀간 의사소통에 따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석사학위논 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한광희(1986). 청소년이 지각한 가정의 심리적 환경과 대인관계 성향에 관한 연 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황경옥(2001). 대학생의 애착유형과 자아정체감 및 대인관계성향과의 관계. 석 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대학원.

Balswick, J.(1978). I want to say I love you, Texas: Waco Inc. p.78.

Barnes,H. & Olson, D.H.(1982).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Family Inventories.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Bienvenu, M.J. & McClain, S.(1970).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elf-esteem. Journal of Home Economics.

Bowlby, J.(1973). Attatchment and loss: Vol. 2. Loss. New York: Basic Books.

Cooley, C. H.(1916). Social organization. New York

Foly, V.D.(1974), An Introduction to family therapy. New York: Grune &

Stratton, Inc. p.81.

Froma Walsh.(1983). Family Therapy A systematic Orientation. Handbook of Clinical Social Work, San Francisco: Jossgy-Bass publishers.

Gordon, T(1974). Parent Effectiveness Training. N.Y: New American Library, p.41

Gross, I.H., Crandall, E.W., & Knoll, M.M. (1980). Management for Morden Families,(5th, ed.). N.J.: Prentice-hall, p.219

Heider, F.(1964). The Psychology of Interpersonal Relations. N.Y.:John Wiley&Sons, Inc.

Hovland,(1953), Communication and Persuation. N.Y.:Yale University Press, p12 Krech, D.(1962). Individual in Society. New York : McGraw-Hill Book Co, Inc.

Leary, T.(1957). Interpersonal Diagnosis of Personality. N.Y.: The Ronald Press Co. p.4

Leary, T & Coffey, H. S.(1955). Interpersonal Diagnosis : Some problems of methodology and validation,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vol.50, p.110~114

Meyers, G.E. & Meyer, M.T. (1973) The Dynamics of Human Communication, A Laboratory Approach. N.Y.:McGraw-Hill, Inc.

Olson, D.H. Sprenkle,D.H. & Russell,C.S.(1979). Circumflex model of marital and family systema : Cohesion and adaptability dimensions, family types, and clinical application family process.

Satir, V.(1972). People making. Palo Alto, Calif : Science and Behavior Books.

(1983), Conjoint Family therapy. California: Science of Behavior Books.

Schutz, W.C.(1958). FIRO : A Three-Dimensional Theory of Interpersonal Behavior. New York : Rinehart & Company, Inc.

Sullivan, H.S. (1953). The Interpersonal Theory of Psychiatry. N.Y:

W.W.Horton.

Walsh, F. (1983). Family Therapy A Systematic Orientation. Aron Rosenblatt

and Diana Waldfogel eds, Handbook of Clinical Work, San Francisco: Jossgy-Bass Publishers, p18

Wright, C.(1975). Mass communication. New York: Random House.

<Abstract>

The Influence of Parents' Dysfunctional Communication Style on Children's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Choi, Eun-kyung

Counselling Psychology Maj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eju National University Jej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Park, Tae-so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arents' dysfunctional communication style on children's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follow:

1. How different is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by parents' dysfunctional communication style?

2.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dysfunctional communication style and children's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3. How does parents' dysfunctional communication style have an influence on children's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4. How is parents' dysfunctional communication style affected by child gender, parent education level and family atmosphere?

The sample group was 550 male and female students of a college in Jejudo and finally 459 students were selected as a sample group in order to verify these tasks.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eju National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August,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