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정리된 감정이입에

문서에서 역사과 논리 및 논술 (페이지 51-57)

감정이입 촉진을 위한 역사 글쓰기

3. 정리된 감정이입에

3. 정리된 감정이입에 분석 및 검토대한 (일상생활속의

감정이입)

전형적인4.

감정이입

전형적인5.

감정이입에 대 검토 및

수정

차별적인6.

감정이입

감정이입의 유형에 따른 수업 의의

(1) 일기쓰기

- 기본적으로 감정이입의 결과를 글로 나타낼 수 있음 (2) 역할 놀이

- 역할 놀이의 과정 속에서 감정 이입 정도를 확인 할 수 있으나 좀더 자세히 파악 하기 위해 글로 표현하게 함

(3) 논쟁적 토론

- 역할 놀이와 마찬 가지로 토론 과정 외에 토론 결과를 글로 표현하게 함

세 가지 수업 모두 타인, 또는 역사적 인물에 대한 감정이입을 전제조건으로 하며, 감정이입의 결과를 어떠한 방법으로든 나타낸다는 공통점이 있음

감정이입 촉진을 위한 역사 글쓰기

스톱스키(Stopsky)의 글쓰기 의의

(1) 글쓰기를 학습의 중요한 수단으로 봄

- 글쓰기를 통해 새로운 내용을 배우고 여러 생각들을 구조화 할 수 있음 (2) 글쓰기는 사고의 과정

- 미흡한 정보를 글쓰기를 통하여 조직하는 과정을 통해 이해 증진 가능 (3) 글쓰기를 통해 새 지식 창출

- 글쓰기를 통해 감정, 창의력, 직관 등을 표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인지기능과 통찰력을 기를 수 있음

(4) 글쓰기는 학생 성취도와 사고 기능을 향상시킴

- 글쓰기는 정보가 상호간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제공하 는데 이것이 곧 새로운 지식임

감정이입 촉진을 위한 역사 글쓰기

글쓰기에 대한 오해

(1) 글쓰기가 수업의 한 부분으로서 배열 되야 한다는 생각

↘ 교과 내용, 책 읽기 등이 글쓰기보다 우선시 되어야 한다는 생각 (2) 글쓰기를 평가의 도구로만 여기는 생각

↘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글이 아닌 ‘인지기억질문’에 대한 답변으로의 글을 원하 는 교사들 때문에 학생들의 글쓰기가 제한됨

그러나 최근에는 글쓰기에 대한 인식이 많이 바뀌고 있고, 관련 연구가 많이 진행 중이며 글쓰기의 학생들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가 많이 입증된 상황임

감정이입 촉진을 위한 역사 글쓰기

참고문헌 및 출처

∙ 김해식, ≪글쓰기 특강≫, 파라북스, 2011.

∙ Ricard Marius, ≪역사글쓰기, 어떻게 할 것인가: 시간을 재구성하는 역사 글쓰기의 모든 것≫, 휴머니스트, 2010.

∙ 김한종 외 5인, ≪역사교육과 역사인식≫, 책과 함께, 2005.

∙ 김한종 외 5인, ≪역사교육의 이론≫, 책과 함께, 2009.

∙ 김한종 외 5인, ≪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 책과 함께, 2007.

∙ 문창로, <역사 글쓰기를 통한 사료학습방안>, ≪중등교육연구≫, 53, 2005.

∙ 양치구, <역사교육에서 비판적 읽기 및 글쓰기 학습 모형 개발 –독도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역사교육 논집≫52, 2014.

∙ 최용성 외 3인, <연구윤리에서의 표절 문제와 표절 예방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시민윤리학회보≫, 22, 2009.

∙ 김미선, <예비 역사교사의 논증적 역사 글쓰기 능력 신장을 위한 교수 방안>, ≪사회과 교육≫51, 2012.

∙ 김미선, <논증적 역사 글쓰기가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 사범대학 역사교육과의 논술교과 운영을 중심으로> , ≪역사교육≫,121, 2012.

참고문헌 및 출처

∙ 김은정, <대학생의 역사의식을 바탕으로 한 논증적 글쓰기 연구 – KBS 역사저널 그날 <고종, 아버지 장 례식 불참 사건>의 게시판 글을 중심으로 , ≪대학작문≫, 11, 2015. ≪≫

∙ 유시민, ≪유시민의 논술 특강≫, 생각의 길, 2015.

∙ 장소진, <논증적 글쓰기와 논리적인 문장 쓰기>, ≪교양교육연구≫, 6, 2012.

∙ 오정현, <고등학교 역사과 서술형-논술형 평가의 특징과 개선 방안>, ≪역사교육연구≫,4, 2006.

∙ 방지원, <역사과 서술형 평가의 필요성과 개선방안>, ≪역사교육연구≫, 11, 2010.

∙ 김진하, <프랑스 교육에서 논술의 위상에 대한 고찰>, ≪프랑스 어문 교육≫, 26, 2007.

∙ 김우준, <중북 동북공정과 우리의 대응>, ≪백산학보≫80, 2008.

∙ 박수경, <나가사키 하시마(군함도)를 둘러싼 로컬 기억의 생산과 정치≪일본어 문학≫,61, 2013.

∙ 최장근, < 다케시마 잡지』 속의 울릉도와 독도 인식과 영유권 문제> , ≪일본문화연구≫,57, 2016.

문서에서 역사과 논리 및 논술 (페이지 51-5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