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10664점근선의 방정식이 x=3, y=1이므로

문서에서 수학 Ⅱ (페이지 69-176)

f(x)= +1 (k+0)로 놓을 수 있다. ⇢ ➊

이때 함수 y=f(x)의 그래프가 원점을 지나므로 0= +1 ∴ k=3

∴ f(x)= +1 ⇢ ➋

따라서 -3…x…2에서 y=f(x)의 그래 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x=-3일 때 최댓값;2!;, x=2일 때 최솟값 -2 를 갖는다.

즉 구하는 합은

;2!;+(-2)=- ⇢ ➌-3

2 3

2

x y y=f{x}

3 -3

-2 1 O 2

1 2 3

x-3 k

-3 k x-3

y=;[#;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채점 기준표

주어진 함수를 f(x)= k +1로 놓을 수 있다.

x-3 30%

f(x)를 구할 수 있다.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을 구할 수 있다.

30%

40%

함수 y= 의 그래프

y= k +q꼴로 변형한다.

x-p bx+c

x+a

유리함수의 그래프가 지나는 사분면 본책93

20

0665

y= = = -2

따라서 y= 의 그래프는

y=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 행이동한 것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 다.

즉 그래프가 지나지 않는 사분면은 제

1사분면이다. 제1 사분면

3

x x

y O

-2 -2

y=-2x-1x+2 - 12

- 12 -2x-1

x+2

3 x+2 -2(x+2)+3

x+2 -2x-1

x+2

0666

y= = = +3 ⇢ ➊

따라서 y= 의 그래프는

y=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 한 것이므로 그래프가 모든 사분면을 지나 려면 오른쪽 그림과 같아야 한다. ⇢ ➋

k-5<0이어야 하므로 k<5

¤x=0일 때 y<0이어야 하므로 k-2<0 ∴ k<2

⁄, ¤에서 k<2이므로 정수 k의 최댓값은 1이다. ⇢ ➌ 1

k-5>0, 즉 k>5이면 y= +3의 그래프는 x>-1, y>3인 부분과 x<-1, y<3인 부분만 지나므로 제4 사분면을 지 나지 않는다.

k-5 x+1 k-5

x

3x+k-2 x+1

k-5 x+1 3(x+1)+k-5

x+1 3x+k-2

x+1

x y

O -1

3

채점 기준표

주어진 함수를 y= l +q 꼴로 변형할 수 있다.

x-p 20%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의 그래프를 그릴 수 있다.

정수 k의 최댓값을 구할 수 있다.

40%

40%

0662

y= = = +2이므로 함수

y= 의 그래프는 y=;[!;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2…x…;2!;에서 y= 의 그 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x=-2일 때 최댓값 ;3%;, x=;2!;일 때 최솟값 0 을 갖는다.

즉 a=;3%;, b=0이므로로로a+b=;3%; ;3%;

2x-1 x-1 2x-1

x-1

1 x-1 2(x-1)+1

x-1 2x-1

x-1

x y

O 2 1 -2 1

y= 2x-1x-1

2 1 3 5

0663

y= +a의 그래프는 y=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 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a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1…x…2에서 y= +a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x=2 일 때 최솟값 +a를 갖는다.

+a=- 이므로

a=-3

2 3 4 3

4

3 4

3 x+2

3 x 3

x+2

x y

-2 O -1

2 a y=x+23 +a

- 34

http://zuaki.tistory.com

0672

y= , y= 의 그래프는 제2 사분면을 지나므로

a<0, b<0 ⇢ ➊

이때 y= 의 그래프가 y= 의 그래프보다 원점에서 멀리 떨어 져 있으므로

|a|>|b| ∴ a<b<0

y= , y= 의 그래프는 제1 사분면을 지나므로 c>0, d>0

이때 y= 의 그래프가 y= 의 그래프보다 원점에서 멀리 떨어 져 있으므로

|d|>|c| ∴ d>c>0 ⇢ ➋

∴ a<b<c<d ⇢ ➌

a<b<c<d c

x d

x d x c x

b x a

x

b x a x

음수끼리는 절댓값이 클수록 작다.

채점 기준표

a<b<0임을 알 수 있다. 40%

d>c>0임을 알 수 있다.

a, b, c, d의 대소를 비교할 수 있다.

40%

20%

양수끼리는 절댓값이 클수록 크다.

0671

ㄱ. f(x)= = 이므로 정의역은

{x|x+0, x+2인 실수}이다.

ㄴ. f(x)= = ㄴ. f(x)= +2

이므로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 림과 같다.

따라서 그래프는 모든 사분면을 지난다.

ㄷ. 그래프가 점 {-;2#;, 0}은 지나지만 점 {0, -;2#;}은 지나지 않으 ㄷ.므로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 아니다.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ㄴ뿐이다. ②

7 x-2

3 -2

y=f{x}

x y

O 2 2 2(x-2)+7

x-2 2x+3

x-2

2x+3 x-2 2+;[#;

11234 1-;[@;

③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제`2, 3, 4`사분면을 지난다.

④ y=0을 y= 에 대입하면

0= , -3x-5=0

∴ x=-;3%;

따라서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좌표는{-;3%;, 0}이다.

⑤ 그래프는 y=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

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1 x -3x-5

x+2 -3x-5

x+2

x y -2 O

-3

0667

점근선의 방정식이 x=-2, y=1이므로 주어진 함수를 y= +1 (k>0)

로 놓을 수 있다. 그래프가 점 (0, 2)를 지나므로

2= +1그그∴ k=2

∴ y= +1= =

따라서 a=1, b=4, c=2이므로

abc=8 8

x+4 x+2 2+x+2

x+2 2

x+2 k 0+2

k x+2

0668

y= +b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이 x=3, y=2이 므로

a=-3, b=2

따라서 함수 y= +2의 그래프가 점 (1, 0)을 지나므로 0= +2 ∴ k=4

∴ a+b+k=3

k 1-3

k x-3 k x+a

0669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이 x=m, y=n 이고 m>0, n<0이므로

a>0, c<0

또 y= 의 그래프가 제`2`사분면, 제`4`사분면을 지나므로 b<0

ㄱ. a>0, c<0이므로로로a-c>0

ㄴ. 함수 y= +c의 그래프가 원점을 지나므로 가가- +c=0가가-b+ac=0가가

가가∴ b=ac

ㄷ. <0, <0이므로가가 + <0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③

a c b a a

c b a

b a

b x-a b

x

함수 y= +q (k+0)의 그래프

① y= (k+0)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p만큼, y축의 방향으 로 q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② 정의역: {x|x+p인 실수}, 치역: { y|y+q인 실수}

③ 점근선의 방정식은식은x=p, y=q

④ 점 (p, q)에 대하여 대칭이다.

k x

k x-p

유리함수의 그래프의 성질 본책94

22

0670

y= = = -3

① 그래프는 점 (-2, -3)에 대하여 대칭이다.

② 정의역은 {x|x+-2인 실수}이다.

1 x+2 -3(x+2)+1

x+2 -3x-5

x+2

http://zuaki.tistory.com

본책

94~95

05

유리식과유리함수

①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g(x)가 한 점에서 만난다.

방정식 f(x)=g(x)가 이차방정식일 때 판별식을 D라 하면 D=0

② y=f(x)의 그래프를 그리고, 직선 y=g(x)가 반드시 지나는 점을 이용한다.

유리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위치 관계 본책95

23

0673

함수 y= 의 그래프와 직선 y=kx+1이 한 점에서 만

나므로 =kx+1에서

x-2=(kx+1)(x+1)

x-2=kx¤ +(k+1)x+1 ∴ kx¤ +kx+3=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k¤ -12k=0

k(k-12)=0의의∴ k=12 (∵ k>0)x-2

x+1 x-2 x+1

0674

함수 y= 의 그래프와 직선 y=mx-2m이 만나지 않

으므로 =mx-2m에서

x=m(x-2)¤

∴ mx¤ -(4m+1)x+4m=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4m+1)¤ -16m¤ <0 8m+1<0그래∴ m<-;8!;

따라서 정수 m의 최댓값은 -1이다.

x x-2

x x-2

m(x-2)

0675

A;B+Δ이므로 y= 의 그래프와 직선 y=ax+2 가 만난다.

y= , 즉 y=- +2의 그래프 는 오른쪽 그림과 같고, 직선 y=ax+2 는 a의 값에 관계없이 점 (0, 2)를 지나 므로

a<0 a<0

1 x 2x-1

x

2x-1 x

x y

O 2 y=ax+2

y= 2x-1x

2 1

0676

= = +2

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에서

ax… …bx yy㉠

1…x…3에서 y=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부등식 ㉠이 항상 성립하도록 하는 실수 a, b의 값 의 범위는

a…;6!;, bæ1 2 x+1 2

x+1

2 x+1 2(x+1)+2

x+1 2x+4

x+1

x

y y=bx

y=ax O 1

-1 1

3 1 2 y=x+12

ax+2… +2…bx+2의

각 변에서 2를 뺀다.

2 x+1

f « (k)의 값 구하기 (단, n은 자연수)

[방법 1] f ⁄ (x), f ¤ (x), f ‹ (x), y를 차례대로 구하여 f « (x)를 추 정한 다음 x 대신 k의 값을 대입한다.

[방법 2] f ⁄ (k), f ¤ (k), f ‹ (k), y의 값을 차례대로 구하여 규칙을 찾는다.

유리함수의 합성 본책95

24

0677

f(x)= 에서

f ¤ (x)=( f Ω f )(x)=f( f(x))

f ¤ (x)= =

f ‹ (x)=( f ¤ Ωf )(x)=f ¤ ( f(x))

f ¤ (x)= =x

따라서 함수 f ‹ (x)=f fl (x)=f · (x)=y=f3n(x) (n은 자연수)는 항등함수이므로

f100(x)=f3_33+1(x)=f(x)

∴ f100(8)=f(8)= =;8&; ;8&;

f ⁄ (8)=;8&;, f ¤ (8)=-;7!;, f ‹ (8)=8, f › (8)=;8&;, y이므로 f « (8)은 ;8&;, -;7!;, 8이 이 순서대로 반복된다.

8-1 8 115411x-1-1

1154-1x -1 x-1 1154-1x-1x

1154x-1x x-1

x

0678

(`fΩf`)(x)=f(`f(x))= =x

즉 (`fΩf`)(k)= 에서

k=1,에서k¤ =1에서∴ k=-1 (∵ k+1)k

1 k

+1 x+1-1 x-1 x+1 x-1

0679

f(x)= 에서

f ¤ (x)=( f Á f )(x)=f( f(x))

f ¤ (x)= = ⇢ ➊

f ‹ (x)=( f Á f Á f )(x)=f(( f Á f )(x))

f ¤ (x)= = x ⇢ ➋

1-3x 1154551-2xx

1-1551541-2xx x 1-2x 11541-xx

1-11541-xx x 1-x

따라서 a의 최댓값은;6!;, b의 최솟값은 1이므로 구하는 합은

;6!;+1=;6&; ;6&;

http://zuaki.tistory.com

함수와 그 역함수의 그래프 사이의 관계

함수 y=f(x)의 역함수 y=f —⁄ (x)가 존재할 때, 함수 y=f(x)의 그래프 위의 임의의 점을 (a, b)라 하면

b=f(a) HjjK a=f —⁄ (b) 가 성립한다.

0683

두 직선 y=x+5, y=-x-3의 교점의 x좌표는 x+5=-x-3의의∴ x=-4

∴ y=1

즉 y=f(x)의 그래프는 점 (-4, 1)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그 역함 수의 그래프는 점 (1, -4)에 대하여 대칭이다.

따라서 점 (1, -4)는 두 직선 y=ax+b, y=cx+d의 교점이므

a+b=-4, c+d=-4

∴ a+b+c+d=-8 -8

0684

f(x)= = = +1

이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 한 그래프의 식은

y= +1+b yy㉠ ⇢ ➊

한편 y= 로 놓으면 y(x-2)=x+5 (y-1)x=2y+5 ∴ x=

x와 y를 서로 바꾸면 y=2x+5 x-1

2y+5 y-1 x+5

x-2 7 x-a-2

7 x-2 (x-2)+7

x-2 x+5

x-2

0682

f(x)= 의 그래프가 점 (3, -2)를 지나므로

-2= ∴ 3a+b=-2 yy㉠

또 f(x)= 의 역함수의 그래프가 점 (3, -2)를 지나므로 f(x)= 의 그래프는 점 (-2, 3)을 지난다. 즉

3= 이므∴ -2a+b=-12 yy㉡

㉠, ㉡을 연립하여 풀면이므a=2, b=-8

∴ a+b=-6

-2a+b -2-2 ax+b

x-2 ax+b

x-2 3a+b

3-2 ax+b

x-2

f( f(x))= = = =x

이므로 2(a+3)x¤ +9x=a¤ x

∴ 2(a+3)x¤ +(9-a¤ )x=0 이 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a+3=0, 9-a¤ =0

∴ a=-3

a¤ x 2(a+3)x+9 1112x+3ax

2¥111+32x+3ax af(x)

2f(x)+3

같은 방법으로 하면면면f ⁄ ‚ (x)= ⇢ ➌

따라서 a=1, b=0, c=-10이므로

a+b+c=-9 ⇢ ➍

-9

f « (x)= x (단, n은 자연수) 1-nx

x 1-10x

채점 기준표

f ¤ (x)를 구할 수 있다. 20%

f ‹ (x)를 구할 수 있다.

f ⁄ ‚ (x)를 구할 수 있다.

a+b+c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40%

20%

0680

주어진 그래프에서

f ⁄ (0)=f(0)=1, f ⁄ (1)=f(1)=0 이므로

f ¤ (1)=( fΩf ⁄ )(1)=f( f ⁄ (1))=f(0)=1 f ‹ (1)=( fΩf ¤¤ )(1)=f( f ¤ (1))=f(1)=0 f › (1)=( fΩf ‹ )(1)=f( f ‹ (1))=f(0)=1 f fi (1)=( fΩf › )(1)=f( f › (1))=f(1)=0

∴ f « (1)=[

∴ f ¤ ‚ ⁄ fl (1)=1 1

` 함수 y=f(x)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x=2, y=2이 고 두 점 (1, 0), (0, 1)을 지나므로

f(x)= 2 +2 x-2

0 (n은 홀수) 1 (n은 짝수)

유리함수 y= (c+0, ad-bc+0)의 역함수 구하기

x를 y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다. x=

¤x와 y를 서로 바꾼다. y= dx-b -cx+a

dy-b -cy+a ax+b

cx+d

유리함수의 역함수 본책96

25

0681

y= 로 놓으면 y(2x+3)=ax

(2y-a)x=-3y ∴ x=

x와 y를 서로 바꾸면 y=

∴ f —⁄ (x)=

f=f —⁄이므로 =

∴ a=-3

f=f —⁄이므로

(`fΩf`)(x)=x{단, x+-;2#;, f(x)+-;2#;}

-3x 2x-a ax

2x+3 -3x 2x-a

-3x 2x-a

-3y 2y-a ax

2x+3

http://zuaki.tistory.com

본책

95~97

05

유리식과유리함수 채점 기준표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을 구할 수 있다. 30%

f-1(x)를 구할 수 있다.

b-a의 값을 구할 수 있다.

50%

20%

두 함수 f(x), g(x)와 그 역함수 f —⁄ (x), g—⁄ (x)에 대하여 (gΩf —⁄ )(x)=g( f —⁄ (x))

(g—⁄ Ωf )—⁄ (x)=( f —⁄ Ωg)(x)=f —⁄ (g(x))

유리함수의 합성함수와 역함수 본책96

26

0685

f —⁄ Á f=I (항등함수)이므로

( f —⁄ Á f Á f —⁄ )(5)=(I Á f —⁄ )(5)=f —⁄ (5) f —⁄ (5)=k라 하면 f(k)=5

=5, 2k-3=5k-15

∴ k=4 4

2k-3 k-3

0686

( fΩg)(x)=x이므로 g(x)는 f(x)의 역함수이다.

g(3)=k라 하면 f(k)=3

=3, 2k-4=3k-3므므∴ k=-1 즉 g(3)=-1이므로

(gΩg)(3)=g(g(3))=g(-1) g(-1)=t라 하면 f(t)=-1

=-1, 2t-4=-t+1므므∴ t=;3%;

∴ (gΩg)(3)=;3%; ;3%;

y= 로 놓으면 y(x-1)=2x-4 (y-2)x=y-4 ∴ x=

x와 y를 서로 바꾸면 y=

∴ g(x)=

따라서 g(3)= =-1, g(-1)= =;3%;이므로 (gΩg)(3)=g(g(3))=g(-1)=;3%;

-1-4 -1-2 3-4

3-2 x-4 x-2

x-4 x-2

y-4 y-2 2x-4

x-1 2t-4

t-1 2k-4

k-1

0687

( f —⁄ Á g)—⁄ (3)=(g—⁄ Á f)(3)=g—⁄ (f(3)) f(3)= =;2#;이므로 g—⁄ (f(3))=g—⁄ {;2#;}

g—⁄ {;2#;}=k라 하면 g(k)=;2#;

=;2#;, 4k-2=3k로로∴ k=2

∴ (f —⁄ Á g)—⁄ (3)=2

2k-1 k

3 3-1

0689

f(n)f(101-n)=1임을 이용하여 을 구한다.

f(n)f(101-n)=1이므로로로f(n)=

∴ = =

따라서

+ = =1

이므로

+ + +y+ =50

50 1

1+f(100) 1

1+f(3) 1

1+f(2) 1

1+f(1)

f(101-n)+1 1+f(101-n) 1

1+f(101-n) 1

1+f(n)

f(101-n) 1+f(101-n) 1

1 1+f(n)

1 f(101-n)

1 1+f(n)

1+ 1 f(101-n)

0690

``` x+ =1의 양변에 적당한 식을 곱하여 변형한다.

`` ㄱ. x+ =1에서 x+0이므로 양변에 을 곱하면 ㄴ.1+ = ∴ 1- + =0

ㄴ. x+ =1의 양변에 x를 곱하면

ㄴ.x¤ +1=x ∴ x¤ -x+1=0 yy㉠ ㄴ.{x+ }-{x¤ + }+{x‹ + }

=(x-x¤ +x‹ )+{ - + }

=x(1-x+x¤ )+

=0+0=0 (∵ ㉠)

x¤ -x+1 x‹

1 x‹

1

1 x

1 x‹

1

1 x 1 x

1

1 x 1

x 1

1 x 1

x 1 x

0688

`` 주어진 저항이 직렬 연결인지 병렬 연결인지 확인하여 식에 대입한다.

` 병렬 연결된 부분의 전체 저항의 크기를R'(X)이라 하면

= + = =

∴ R'= (X)

따라서 구하는 전체 저항의 크기는

R+R'=R+ =

R+R'=5R¤ +3R(X)

3R+1

3R¤ +R+2R¤ +2R 3R+1 2R¤ +2R

3R+1 2R¤ +2R

3R+1

3R+1 2R¤ +2R 2R+(R+1)

2R(R+1) 1

2R 1

R+1 1

R'

∴ f—⁄ (x)= =

∴ f—⁄ (x)= +2 yy㉡ ⇢ ➋

㉠, ㉡의 그래프가 일치하므로 -a-2=-1, 1+b=2 따라서 a=-1, b=1이므로

b-a=2 ⇢ ➌

2 7

x-1

2(x-1)+7 x-1 2x+5

x-1

http://zuaki.tistory.com

0694

유리함수의 그래프의 점근선을 이용하여 k의 값을 구 한다.

f(x)= = = +3

이 함수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 큼 평행이동한 곡선이 y=g(x)이므로

g(x)= +3+3= +6

곡선 y=g(x)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x=-6, y=6이므로 두 점근 선의 교점의 좌표는 (-6, 6)이다.

이때 점 (-6, 6)이 곡선 y=f(x) 위의 점이므로

f(-6)= =6

∴ k=6

f(x)= = +3에서 곡선 y=f(x)의 점

근선의 방정식은 x=-4, y=3이므로 두 점근선의 교점의 좌표는 (-4, 3)이다.

곡선 y=g(x)는 곡선 y=f(x)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곡선이므로 곡선 y=g(x)의 두 점근선 의 교점은 점 (-4, 3)을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 로 3만큼 평행이동한 점 (-6, 6)과 같다.

이때 점 (-6, 6)은 곡선 y=f(x) 위의 점이므로

f(-6)= =6

∴ k=6

3¥(-6)+k -6+4

k-12 x+4 3x+k

x+4 3¥(-6)+k

-6+4

k-12 x+6 k-12

x+2+4

k-12 x+4 3(x+4)+k-12

x+4 3x+k

x+4

0693

삼각형의 닮음을 이용하여 a, b, h 사이의 관계식을 구한다.

가로등을 AB”, 아버지와 연준이의 위치를 각각 D와 F, 그림자 끝을 G라 하 면 오른쪽 그림에서 △CDG∽△EFG이 므로

1.8 : (a+b)=1.5 : b 1.5(a+b)=1.8b 1.5a=0.3b

∴ b=5a

또 △ABGª△EFG이므로 h : (6+a+b)=1.5 : b

∴ bh=1.5(6+a+b)=1.5(6+6a)=9(a+1)

∴ =9(a+1)=9 9

a+1 bh

a+1

A

B C

F G D h E

6 1.8

1.5

a b

단위를 m로 나타내면 180 cm=1.8 m, 150 cm=1.5 m

¤ a=3b일 때,

⁄에에 = = = 에에

⁄에에∴ k=

⁄, ¤에서 구하는 모든 k의 값의 합은

2+ =18 ;;¡5•;;

5 8 5

8 5

8 5 16b¤

10b¤

(3b+b)¤

9b¤ +b¤

(a+b)¤

a¤ +b¤

0691

` = =k (k>0)로 놓고 b=ak, d=ck임을 이용 하여 식을 정리한다.

ㄱ. ad-bc=0에서 ad=bc이므로 양변을 ac로 나누면

ㄴ. =

ㄴ. = =k (k>0)로 놓으면 b=ak, d=ck이므로

ㄴ. = = =

ㄴ. = = =

ㄴ. ∴ =

ㄷ. ㄴ에서 b=ak, d=ck이므로

ㄴ. = = =k‹

ㄴ. = = =k‹

ㄴ. ∴ =

이상에서 ㄱ, ㄴ, ㄷ 모두 옳다. ⑤

(b+d)‹

(a+c)‹

b‹ +d‹

a‹ +c‹

(a+c)‹ k‹

(a+c)‹

(ak+ck)‹

(a+c)‹

(b+d)‹

(a+c)‹

(a‹ +c‹ )k‹

a‹ +c‹

a‹ k‹ +c‹ k‹

a‹ +c‹

b‹ +d‹

a‹ +c‹

2ac ad+bc a¤ +c¤

ab+cd

1 k 2ac 2ack 2ac

a¥ck+ak¥c 2ac

ad+bc

1 k a¤ +c¤

(a¤ +c¤ )k a¤ +c¤

a¥ak+c¥ck a¤ +c¤

ab+cd d c b a

d c b a

d c b a

0692

주어진 방정식의 좌변을 인수분해하여 a를 b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다.

a¤ -4ab+3b¤ =0에서

(a-b)(a-3b)=0에에∴ a=b 또는 a=3b

a=b일 때,

⁄에에 = = =2에에

⁄에에∴ k=2

4b¤

2b¤

(b+b)¤

b¤ +b¤

(a+b)¤

a¤ +b¤

ㄷ. ㉠의 양변에 x+1을 곱하면면면 ㄷ. (x+1)(x¤ -x+1)=0 ㄷ. x‹ +1=0 ∴ x‹ =-1

ㄷ.⁄ n이 짝수일 때, x‹ « ±¤ =x¤ , x‹ « ±⁄ =x이므로 ㄷ. ⁄ (좌변)=x¤ -x+ - =(x¤ -x)+

ㄷ. ⁄ (좌변)=-1+ =-1-1=-2 ㄷ.¤ n이 홀수일 때, x‹ « ±¤ =-x¤ , x‹ « ±⁄ =-x이므로 ㄷ. ⁄ (좌변)=-x¤ +x- + =-(x¤ -x)-ㄷ. ⁄ (좌변)=-(-1)- =1+1=2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③

` ㄴ. x¤ + ={x+ }¤ -2=1-2=-1 ㄴ.x‹ + ={x+ }‹ -3{x+ }=1-3=-2 ㄴ. ∴ (좌변)=1-(-1)+(-2)=0

1 x 1

x 1

x‹

1 x 1

-x¤

1-x

1 x 1

-x¤

1-x

1 x 1

㉠에서 x¤ -x=-1 1-x=-x¤

http://zuaki.tistory.com

y= +2= (x>2) 따라서 a=2, b=-2이므로

a+b=0 0

점 B의 좌표를 {t, }이라 하고, 점 D의 좌표를 (x, y) 라 하면

x=t+2, y=;t!;+2 ∴ t=x-2, ;t!;=y-2 따라서 y-2= (x>2)이므로

y= +2= (x>2)

` 점 B는 제`1`사분면에서의 함수 y=;[!;의 그래프 위의 점이므로 t>0이다.

∴ x=t+2>2 2x-3

x-2 1

x-2 1 x-2

1 t 2x-3

x-2 1

0695

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k의 값의 범위를 구한다. x-2 y= +8의 그래프는 y=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y축의 방향으로 8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 ¤

k<0일 때, k의 값에 관계없이 y= +8의 그래프가 제 1, 2, 4 사분면을 지난다.

¤k>0일 때, 그래프가 제1, 2, 4 사분면만을 지나려면 x=0일 때 yæ0이어야 하므로

+8æ0, …8

∴ 0<k…32`(∵ k>0)

⁄, ¤에서 k<0또는 0<k…32 yy㉠ 한편 y= -3의 그래프는 y=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 로 -5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 ›

k<0일 때, k의 값에 관계없이 y= -3의 그래프는 제`1 사 분면을 지나지 않는다.

k>0일 때, 그래프가 모든 사분면을 지나려면 x=0일 때 y>0 이어야 하므로

-3>0, >3 ∴ k>15

‹, ›에서 k>15 yy㉡

㉠, ㉡에서 15<k…32

따라서 구하는 정수 k는 16, 17, 18, y, 32의 17개이다.

k

5 k

0+5

k x+5

x y

O -3 x -5

y

O -3 -5

k x k

x+5

k 4 k

0-4

k x-4

x y

O 4 8

x y

O 4 8

k x k

x-4

y<0이면 모든 사분면을 지난다.

본책

97~98

05

유리식과유리함수

0696

점 B의 좌표를 이용하여 점 D가 나타내는 도형의 방 정식을 구한다.

점 B의 좌표를 {t, }이라 하면 점 D의 좌표는

{t+2, +2}

즉 점 D의 자취는 y= (x>0)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 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과 같으므로 자취의 방정 식은

1 x 1

t

1 t

+2= =2x-3

x-2 1+2(x-2)

x-2 1

x-2

점의 자취의 방정식을 구하는 방법

조건을 만족시키는 점의 좌표를 (x, y)로 놓는다.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x, y 사이의 관계식을 세운다.

x, y이외의 문자는 소거하고 제한된 범위를 생각한다.

x, y사이의 관계식에서 자취의 방정식을 구한다.

0697

y=f(x)의 그래프를 그려 f(a)=f(b)를 만족시키는 a, b의 위치를 구한다.

f(x)=| |=| -1|이므로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ㄱ. f(a)=f(b)이려면 0<a<2, b>2이 어야 한다.

ㄴ. 오른쪽 그림에서에서0<f(b)<1 ㄷ. f(a)= , f(b)= 이므로

에서f(a)+f(b)= +

에서f(a)+f(b)= =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③

y=|f(x)|의 그래프는 y=f(x)의 그래프에서 y<0인 부분 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시켜 그린다.

2(b-a) ab 2b-ab+ab-2a

ab b-2

b 2-a

a b-2

b 2-a

a

2 x 2-x

x

a 2 b x O

1 y y=f{x}

0698

함수 y=f(x)의 그래프를 그려 m의 값의 범위를 구 한다.

에서

x>0일 때,때때f(x)= =1

¤x=0일 때,때때f(x)=1 x+1-1

x

f(x)=

[

(x+0)

1 (x=0)

|x+1|-1

|x|

y…0이면 제`1사분면을 지나지 않는다.

32-15=17

http://zuaki.tistory.com

문서에서 수학 Ⅱ (페이지 69-17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