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전문가 그룹별 가중치 분석

문서에서 에너지경제연구 (페이지 132-150)

1) 사업 전문가 그룹의 가중치 평가 내용

신재생에너지 사업 전문가 그룹은 민간 기업에서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건 설 등 신재생에너지 투자 사업을 기획/발굴하고 직접 투자하거나 프로젝트 파이낸싱을 통해 투자자를 유치하여 실제 사업을 이행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전문가들로 구성하였다. 신재생에너지 사업 전문가 그룹은 총 19개의 설문이 최종적으로 조사되었으며, 설문결과로 분석한 각 평가항목별 가중치는 <표 3>에 정리하였다.

각 평가항목의 가중치는 경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 시 장, 설비투자규모, 정책, 발전에 대한 통제 수준, 기술 순서로 조사되었다. 사 업전문가의 경우 신재생에너지를 수익 창조의 방법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경 제성에 대한 가중치가 전체 평균보다 1.18%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시장 확장성 역시 전체 평균보다 1.89% 높은 14.89%로 조사되었다. 경제성 및 시 장 확장성 지표와 함께 친환경 수준이 평균보다 2.24% 높게 평가된 것은 기존

에너지원에 비해 높은 투자비용에도 불구하고 신재생에너지원에 투자하는 것 은 신재생에너지의 친환경 특성에 기인하기 때문에 사업의 차별화 포인트로 신재생에너지의 친환경 특성의 가중치를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 면 기술, 발전에 대한 통제 수준과 같이 신재생에너지 운영에 관련된 지표는 전체 평균보다 가중치가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표 3> 사업 전문가 그룹의 평가항목별 가중치 결과

평가항목

가중치

평균 표준 편차 전체 평균과의

차이

관련 기술 수준 9.24 % 0.0212 -2.73 %

시장 확장성 14.89 % 0.0658 1.89 %

경제성 21.90 % 0.0993 1.18 %

친환경 수준 15.72 % 0.0820 2.24 %

정부 정책 12.41 % 0.0567 -1.63 %

발전에 대한 통제 수준 12.04 % 0.0396 -0.93 %

설비 투자 규모 13.80 % 0.0584 -0.02 %

2) 신재생에너지 연구원 그룹의 가중치 평가 내용

신재생에너지 연구원 그룹은 민간 경제연구소에서 신재생에너지 분야를 연 구하고 있는 연구원들로 신재생에너지 시장 분석, 관련 기술전략 수립 등의 업무를 주로 담당하고 있는 전문가로 구성하였다. 연구원 그룹은 총 16개의 설문이 수집되었으며, 설문을 분석한 결과 각 평가항목별 가중치는 <표 4>에 정리하였다. 각 평가항목의 가중치는 경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책, 기술, 발전에 대한 통제 수준, 환경, 시장, 설비 투자 규모 순서로 조사 되었다. 연구원의 경우 기술에 대한 가중치가 전체 평균보다 2.34% 높은 것 으로 조사되어, 기술 발전이 신재생에너지 활성화에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하

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정부정책에 대한 가중치도 전체 평균보다 2.74%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정부 지원 정책 또한 신재생에너 지 확산의 중요 요소로 고려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현재의 기술 수준 으로는 신재생에너지의 경제성을 얻을 수가 없다는 점을 반영하고 있다. 반면 평가항목 중 설비 투자규모 등은 전체 평균에 비해 2.41% 낮은 11.41%의 가 중치로 평가되어 전체 평가항목 중 중요도를 가장 낮게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4> 연구원 그룹의 평가항목별 가중치 결과

평가항목

가중치

평균 표준 편차 전체 평균과의 차이

관련 기술 수준 14.31 % 0.0517 2.34 %

시장 확장성 11.71 % 0.0392 -1.29 %

경제성 21.11 % 0.0884 0.39 %

친환경 수준 12.18 % 0.0888 -1.30 %

정부 정책 16.78 % 0.0893 2.74 %

발전에 대한 통제 수준 12.51 % 0.0406 -0.46 %

설비 투자 규모 11.41 % 0.0232 -2.41 %

3) 전력 운영 담당자 그룹의 가중치 평가 내용

전력 운영 담당자 그룹은 대규모 생산 또는 사무 설비의 전력 운영을 담당 하고 있는 운영자들로, 설비내 에너지 효율화를 위해 기존 에너지원을 대체할 신재생에너지 도입을 검토한 경험을 가진 전문가들로 구성했다. 이들 전문가 들이 신재생에너지 도입에 대한 최종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은 아니지만, 신재 생에너지 도입을 검토하고 결과보고서를 작성하여 의사결정자에게 보고하는 등 신재생에너지 도입 의사결정과정에서 실무 업무를 담당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신재생에너지 투자 관련 전문성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하였다.

<표 5> 전력 운영 전문가 그룹의 평가항목별 가중치 결과

평가항목 가중치

평균 표준 편차 전체 평균과의 차이

관련 기술 수준 12.28 % 0.0728 0.31 %

시장 확장성 10.26 % 0.0346 -2.74 %

경제성 16.92 % 0.0363 -3.80 %

친환경 수준 10.73 % 0.0284 -2.75 %

정부 정책 12.43 % 0.0302 -1.61 %

발전에 대한 통제 수준 17.35 % 0.0460 4.38 %

설비 투자 규모 20.04 % 0.0934 6.22 %

총 7개의 설문을 분석한 결과 각 평가항목별 가중치는 <표 5>에 정리하였 다. 각 평가항목의 가중치는 설비투자규모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발전에 대한 통제 수준, 경제성, 정책, 기술, 환경, 시장 순서로 조사되었다.

이들 전문가의 경우 발전 통제 수준 가중치가 전체 평균에 비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전력 등 유틸리티를 제공해야 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입장에 서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이 중요한 문제이며, 신재생에너지의 발전량 변동성 및 통제가 어렵다는 점이 도입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 다. 또한 신재생에너지를 사업의 관점이 아니라 운영에 직접 도입할 경우 초 기 투자비용 또한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는 신재생에 너지를 공장 등의 설비에서 직접 투자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투자비 용이 부담스러운 수준이라는 사실을 확인시켜 주고 있다. 반면 경제성에 대한 가중치는 전체 평균보다는 3.80% 낮지만 여전히 중요한 고려 요소로 고려되 고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4. 3개 전문가 집단별 가중치 차이 비교

본 연구 조사의 각 전문가 그룹은 담당하고 있는 업무 특성에 따라 신재생 에너지 평가항목 가중치 결과에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인지 분산분석(ANOVA)을 통해 검증하였다. <표 6>은 ANOVA 분석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7개의 평가항목 중 기술, 발전에 대한 통제 수준, 설비투자 규모 3개 항목이 집단간 유의수준 5%에서 통계적 의미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에 대한 평가항목 가중치는 연구원 그룹이 14.31%로 가장 높았으며, 전력 운영 전문가 그룹에서는 12.28%, 사업 투자 전문가 그룹에서는 9.24%로 각각 나타났다. 신재생에너지는 에너지원에 따라 현재 기술로도 구현할 수 있 지만 여전히 새로운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는 영역이라는 점에서 연구원 그룹 과 사업 전문가그룹 사이에 기술 중요도에 대한 시각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 단된다. 연구원들은 새로운 방식의 신재생에너지원과 기술 개발에 따른 신재 생에너지의 확산 등을 중요하게 판단하지만 사업 전문가들은 현재의 기술로 도 구현 가능한 신재생에너지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해 가중치를 높게 평가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평가의 기저에는 연구원들은 주로 미 래 시장 및 투자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반면 사업 전문가들은 현재의 시장 및 투자에 관심이 있다는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배경을 가지고 판단할 때, 신재생에너지 관련 분야의 기술은 현재도 계속 발전하고 있는 영역이고 이러한 기술 발전이 장기적으로 신재생에너지 보급/확산에 크 게 기여할 것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발전에 대한 통제 수준은 전력운영 전문가 그룹은 17.35%, 연구원은 12.51%, 사업 전문가는 12.04%로 각각 나타났다. 연구원과 사업전문가들은 발 전에 대한 통제 수준에 대해 비슷한 가중치로 평가하였지만, 전력 운영 전문 가들은 발전에 대한 통제 수준을 다른 전문가 그룹에 비해 4%이상 높게 평 가하였다. 이는 공장 등에 신재생에너지를 도입하기에 중요한 고려 요소로 발

전에 대한 통제 및 예측 가능성이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는 점을 나타낸다.

이와 함께 설비 투자 규모도 전력운영 담당자들이 가중치를 가장 높게 평가 하고 있는데 이는 전력운영자들이 신재생에너지에 투자할 경우 주로 기존 에 너지원의 대체 에너지로 신재생에너지를 검토하기 때문에 투자규모를 민감하 게 판단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표 6> 전력 그룹별 분산분석표

평가항목 전문가 그룹 평균 표준 편차 F 값 P 값

관련 기술 수준

사업 전문가 9.24 % 0.0212

5.5227 0.0077

연구원 14.31 % 0.0517

전력 운영 12.28 % 0.0728 시장

확장성

사업 전문가 14.89 % 0.0658

2.6505 0.0833

연구원 11.71 % 0.0392

전력 운영 10.26 % 0.0346

경제성

사업 전문가 21.90 % 0.0993

0.8373 0.4405

연구원 21.11 % 0.0884

전력 운영 16.92 % 0.0363

친환경 수준

사업 전문가 15.72 % 0.082

1.3998 0.2588

연구원 12.18 % 0.0888

전력 운영 10.73 % 0.0284

정부 정책

사업 전문가 12.41 % 0.0567

2.011 0.1475

연구원 16.78 % 0.0893

전력 운영 12.43 % 0.0302 발전에

대한 통제 수준

사업 전문가 12.04 % 0.0396

4.5558 0.0167

연구원 12.51 % 0.0406

전력 운영 17.35 % 0.046

설비 투자 규모

사업 전문가 13.80 % 0.0584

5.8161 0.0062

연구원 11.41 % 0.0232

전력 운영 20.04 % 0.0934

Ⅵ.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민간기업의 신재생에너지 투자 의사결정과 관련된 주요 평 가항목을 도출하고, 각 항목의 가중치를 분석하였다. 평가항목 가중치 분석을 위해 신재생에너지 관련 전문가 그룹의 특성에 따라 사업투자, 시장 분석 전 문가, 에너지 운영 전문가 그룹으로 나누고 각 전문 분야에 따른 가중치 특성 을 분석하고 차이점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존 연구 결과와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 하여 7개의 신재생에너지 투자 의사결정 관련 항목을 도출하였다. 각 항목에 대해서는 전문가 그룹들을 대상으로 AHP 기반의 쌍대비교 설문을 실시하였 다. 설문 결과에 일관성이 있는 총 42개의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항목에 대한 가중치 분석을 수행하였다. 각 전문가 그룹별로 가중치 항목을 분석하 고, 전문가 그룹별로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가중치 차이에 대해서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민간기업 관점에서 신재생에너지 평가 항목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또한 투자의사결정 관련해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 하고 있다. 먼저, 신재생에너지 투자에 대한 일관된 투자기준이 아직 확산되 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는 신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과제가 아직 많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주고 있다. 두 번째는 신재생에너지 투자 타당성 분석에 경제적 평가 항목의 중요도가 가장 높다는 사실이다. 합리적인 경제성 분석을 위해서는 신재생에너지 투자 관련되어 체계적인 평가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정책적 수립측면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 번 째 신재생에너지 도입 시 경제성이 가장 중요한 고려요소로 조사되었다. 정부

문서에서 에너지경제연구 (페이지 132-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