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행복감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1-52)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신우열, 김민규, 김주환 (2009)이 개발한 자아탄력성 척도(YKRQ-27)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통제성, 긍 정성, 사회성으로 3개 하위요인, 27문항의 Likert 5점 평정척도(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유아교사의 자아탄 력성 수준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자아탄력성의 구체적인 문항 구성 및 신뢰도 계 수는 아래 <표 2>와 같다. 자아탄력성 측정도구의 신뢰도 계수(α)를 산출한 결과 .90으로 나타났고, 하위요인의 신뢰도 계수는 .83~.85로 나타나 신뢰성이 검증되 었다.

<표 2> 자아탄력성 척도의 문항 및 신뢰도 계수

하위요인 내용 문항 수 문항번호 신뢰도

계수(α) 통제성 자신의 감정을 스스로 잘 조절할 수 있

는 능력 9 1, 2, 3, 4, 5,

6, 7, 8, 9* .83

긍정성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더라도 상황을 심 각하게 생각하지 않고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85

사회성 공감 이해를 바탕으로 타인과의 원만한

대인관계를 할 수 있는 능력 9 19*, 20*, 21*, 22,

23, 24, 25, 26, 27 .84

전체 27 1~15 .90

2) 사회적지지

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를 측정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Dubow와 Ulman(1989) 이 개발한 사회적 지지 평가도구(Social Appraisal Scale: SSAS)를 번안 및 수정 하여 최영희(2018)의 박사논문에 사용된 도구를 활용하였다. 원 척도는 가족지지, 동료지지, 원장지지 3개 하위요인, 24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를 유아교육기관 내적 지원으로 한정하여 동료교사지지, 원 장지지의 2개 하위요인, 16개 문항의 Likert 5점 평정척도(전혀 그렇지 않다 1점 에서 매우 그렇다 5점)로 구성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동료교사 및 원장의 사회 적지지 수준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사회적지지 척도의 문항 구성 및 신뢰도 계수는 아래 <표 3>과 같다. 사회적지지 측정도구의 신뢰도 계수(α)를 산출한 결과, .92로 나타났고, 하위요인의 신뢰도 계수는 .86~.87로 나타나 신뢰성이 확보되었다.

<표 3> 사회적지지 척도의 문항 및 신뢰도 계수

하위요인 내용 문항 수 문항

번호

신뢰도 계수(α) 동료교사지지 동료교사들이 자신을 이해하고 도와주고 격려해 주

는 정도 8 1~8 .87

원장지지 원장이 자신에게 관심이 많은지, 이야기하기 쉬운지,

자신의 이야기를 잘 들어주는 정도 8 9~16 .86

전체 16 1~16 .92

3) 행복감

유아교사의 행복감을 측정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Hills와 Argyle(2001)의 The Oxford Happiness Questionaire(OHQ)를 번안 및 수정하여 박사논문(오경순, 2019; 조승현, 2017)에서 신뢰도가 검증된 도구를 활용하였다. 이 도구는 내적 행 복감, 외적 행복감, 자기조절 행복감의 3개 하위요인, 28개 문항의 5점 Likert 평 정척도(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

을수록 유아교사의 행복감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유아교사 행복감 측정 도구의 문항구성 및 신뢰도 계수는 아래 <표 4>와 같다. 유아교사 행복감 측정도구의 신 뢰도 계수(α)를 산출한 결과, .89로 나타났고, 하위요인의 신뢰도 계수는 .84~.88 로 나타나 측정도구의 신뢰성은 확보되었다.

<표 4> 행복감 척도의 문항 및 신뢰도 계수

하위요인 내용 문항 수 문항 번호 신뢰도

계수(α) 내적 행복감 유아교사 내면 스스로 행복을 인

지하는 정도 10 3, 11, 13, 14, 20,

21, 23, 24, 27, 28 .85 외적 행복감 외부와의 교류를 통하여 행복을

느끼는 정도 9 2, 4, 9, 10, 12,

15, 16, 25, 26 .88 자기조절 행복감 자신의 조절을 통한 행복을 느끼

는 정도 9 1, 5, 6, 7, 8,

17, 18, 19, 22 .84

전체 28 1~28 .89

3. 연구절차

이 연구에서는 G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연구자가 직접 방문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시작하기 전 연구 참여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 후 연구참여 동의서와 개인정보수집 이용 동의서를 받고 연 구 수행 중에 지켜야 할 윤리를 엄격히 준수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2019년 12월 2일부터 12일까지 10일 동안 실시하였으며, 배부된 300부 설문지 가운데 265부(88.3%)가 회수되었고 회수된 설문지 가운데 무응답된 설문지나 설 문의 응답이 한 곳에 집중되어 연구의 가치가 없다고 판단된 자료 13부를 제외한 252부(84.0%)를 기초 자료로 활용하였다.

4. 자료 분석

유아교사가 인식한 자아탄력성과 행복감 관계에서 동료교사 및 원장의 사회적지 지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프로그램(Version 23.0)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자료를 분석하였다.

첫째, 유아교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유아교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행복감 수준 차이 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증과 F 검증을 실시하였다. 특히 집단 간 다중비교 를 위한 사후검증으로 Scheffé 검증(p<.05)을 실시하였다. 넷째, 자아탄력성, 사회 적지지, 행복감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 고, 유아교사 행복감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자아탄력성과 행복감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검증 절차를 사용하였고,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1982)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1.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행복감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유아교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연령, 결혼 여부, 학력, 교육경력, 근무기관유형) 에 따른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행복감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하였다.

1) 연령에 따른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행복감 인식 차이

유아교사의 연령에 따른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행복감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 석한 결과는 아래 <표 5>와 같다.

<표 5> 연령에 따른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행복감 인식 차이

연령 연구변인

20대a 30대b 40대 이상c

F Scheffé

M SD M SD M SD

통제성 3.43 .71 3.67 .87 3.51 .86 1.842 긍정성 3.08 .89 3.41 .86 3.16 .99 2.948

사회성 2.73 .89 3.11 1.06 2.86 .98 3.188* b>a 자아탄력성 3.08 .74 3.40 .85 3.17 .87 3.213* b>a 동료교사지지 3.95 .60 4.10 .66 4.00 .65 1.183

원장지지 3.14 .74 3.47 .79 3.37 .73 4.013* b>a 사회적지지 3.54 .53 3.78 .65 3.68 .60 3.298* b>a 내적 행복감 3.48 .76 3.50 .81 3.40 .89 .327

외적 행복감 3.71 .71 3.83 .85 3.77 .77 .466 자기조절 행복감 3.41 .70 3.55 .82 3.39 .84 1.049

행복감 3.54 .55 3.63 .71 3.52 .72 .641 *p<.05

연령에 따른 자아탄력성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30대 유아교사 (M=3.40), 40대 이상 유아교사(M=3.17), 20대 유아교사(M=3.08) 순으로 높게 인 식하였고, p<.05 수준에서 유의한 평균 차이(F=3.213)가 나타났다. 집단 간 다중 비교를 위한 사후검증으로 Scheffé(p<.05) 검증한 결과, 30대 유아교사와 20대 유 아교사 사이에서 유의한 평균 차이가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의 사회성 요인에서도 30대, 40대 이상, 20대 유아교사 순으로 높게 인식하였고, 30대와 20대 유아교사 사이에서 유의한 평균 차이(F=3.188, p<.05)가 나타났다. 하지만 자아탄력성의 통 제성과 긍정성 하위요인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평균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연령에 따른 사회적지지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30대 유아교사 (M=3.78), 40대 이상 유아교사(M=3.68), 20대 유아교사(M=3.54) 순으로 높게 인 식하였고, p<.05 수준에서 유의한 평균 차이(F=3.298)가 나타났다. 집단 간 다중 비교를 위한 사후검증으로 Scheffé(p<.05) 검증한 결과, 30대 유아교사와 20대 유 아교사 사이에서 유의한 평균 차이가 나타났다. 사회적지지의 원장지지 요인에서도 30대, 40대 이상, 20대 유아교사 순으로 높게 인식하였고, 30대와 20대 유아교사 사이에서 유의한 평균 차이(F=4.013, p<.05)가 나타났다. 하지만 사회적지지의 동 료교사지지 하위요인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평균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연령에 따른 행복감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30대 유아교사 (M=3.63), 20대 유아교사(M=3.54), 40대 이상 유아교사(M=3.52) 순으로 높게 인 식하였지만 집단 간 유의한 평균 차이(F=.641, p>.05)는 나타나지 않았다. 행복감 의 내적 행복감, 외적 행복감, 자기조절 행복감 하위요인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평 균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 결혼 여부에 따른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행복감 인식 차이

유아교사의 결혼 여부에 따른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행복감에 대한 인식 차이 를 분석한 결과는 아래 <표 6>과 같다.

<표 6> 결혼 여부에 따른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행복감 인식 차이

결혼 여부 연구변인

미혼 기혼

M SD M SD t

통제성 3.45 .73 3.60 .88 -1.454

긍정성 3.11 .93 3.30 .92 -1.616

사회성 2.76 .95 3.00 1.01 -1.946

자아탄력성 3.11 .77 3.30 .87 -1.838

동료교사지지 3.97 .62 4.05 .66 -.927

원장지지 3.20 .76 3.42 .75 -2.295*

사회적지지 3.59 .57 3.74 .62 -1.951

내적 행복감 3.43 .70 3.49 .64 -.566

외적 행복감 3.73 .72 3.80 .82 -.731

자기조절 행복감 3.41 .71 3.49 .85 -.789

행복감 3.52 .55 3.59 .74 -.830

*p<.05

결혼 여부에 따른 자아탄력성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기혼 유아교사 (M=3.30)가 미혼 유아교사(M=3.11)보다 높게 인식하였지만 집단 간 유의한 평균 차이(t=-1.838, p>.05)는 나타나지 않았다. 자아탄력성의 통제성, 긍정성, 사회성 하위요인에서도 집단 간 유의한 평균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혼 여부에 따른 사회적지지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기혼 유아교사 (M=3.74)가 미혼 유아교사(M=3.59)보다 높게 인식하였지만 집단 간 유의한 평균 차이(t=-1.951, p>.05)는 나타나지 않았다. 사회적지지의 원장지지 하위요인에서는 기혼 유아교사(M=3.42)가 미혼 유아교사(M=3.20)보다 높게 인식하였고 집단 간 유의한 평균 차이(t=-2.295, p<.05)가 나타났다. 하지만 사회적지지의 동료교사지 지 하위요인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평균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결혼 여부에 따른 행복감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기혼 유아교 사(M=3.59)가 미혼 유아교사(M=3.52)보다 높게 인식하였지만 집단 간 유의한 평

균 차이(t=-.830, p>.05)는 나타나지 않았다. 행복감의 내적 행복감, 외적 행복감, 자기조절 행복감의 하위요인에서도 기혼 유아교사가 미혼 유아교사보다 높게 인식 하였지만 집단 간 유의한 평균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3) 학력에 따른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행복감 인식 차이

유아교사의 학력에 따른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행복감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 석한 결과는 아래 <표 7>과 같다.

<표 7> 학력에 따른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행복감 인식 차이

학력 연구변인

전문대졸 대졸

M SD M SD t

통제성 3.49 .84 3.57 .81 -.792

긍정성 3.22 .91 3.22 .94 -.001

사회성 2.83 .95 2.95 1.02 -.951

자아탄력성 3.18 .83 3.25 .84 -.638

동료교사지지 3.98 .66 4.04 .63 -.743

원장지지 3.24 .78 3.39 .75 -1.461

사회적지지 3.61 .59 3.71 .61 -1.325

내적 행복감 3.45 .82 3.47 .82 -.233

외적 행복감 3.73 .73 3.80 .81 -.742

자기조절 행복감 3.36 .80 3.51 .78 -1.455

행복감 3.51 .65 3.60 .68 -.959

학력에 따른 자아탄력성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대졸 유아교사 (M=3.25)가 전문대졸 유아교사(M=3.18)보다 높게 인식하였지만 집단 간 유의한 평균 차이(t=-.638, p>.05)는 나타나지 않았다. 자아탄력성의 통제성, 긍정성, 사회 성 하위요인에서도 대졸 유아교사가 전문대졸 유아교사보다 높게 인식하였지만 집

단 간 유의한 평균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학력에 따른 사회적지지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대졸 유아교사 (M=3.71)가 전문대졸 유아교사(M=3.61)보다 높게 인식하였지만 집단 간 유의한 평균 차이(t=-1.325, p>.05)는 나타나지 않았다. 사회적지지의 동료교사지지 및 원 장지지 하위요인에서도 대졸 유아교사가 전문대졸 유아교사보다 높게 인식하였지 만 집단 간 유의한 평균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학력에 따른 행복감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대졸 유아교사 (M=3.60)가 전문대졸 유아교사(M=3.51)보다 높게 인식하였지만 집단 간 유의한 평균 차이(t=-.959, p>.05)는 나타나지 않았다. 행복감의 내적 행복감, 외적 행복 감, 자기조절 행복감 하위요인에서도 대졸 유아교사가 전문대졸 유아교사보다 높게 인식하였지만 집단 간 유의한 평균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4) 교육경력에 따른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행복감 인식 차이

유아교사의 교육경력에 따른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행복감에 대한 인식 차이 를 분석한 결과는 아래 <표 8>과 같다.

교육경력에 따른 자아탄력성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10년 이상 유아 교사(M=3.50), 4년 이하 유아교사(M=3.13), 5~9년 유아교사(M=3.09) 순으로 높 게 인식하였고, p<.01 수준에서 유의한 평균 차이(F=5.845)가 나타났다. 집단 간 다중비교를 위한 사후검증으로 Scheffé(p<.05) 검증한 결과, 10년 이상과 4년 이 하, 10년 이상과 5~9년 유아교사 사이에서 유의한 평균 차이가 나타났다. 자아탄 력성의 통제성(F=4.986, p<.01)과 사회성(F=6.098, p<.01) 하위요인에서도 10년 이상과 4년 이하, 10년 이상과 5~9년 유아교사 사이에서 유의한 평균 차이가 나 타났다. 또한 긍정성 하위요인에서도 10년 이상 유아교사, 4년 이하 유아교사, 5~9년 유아교사 순으로 높게 인식하였고, p<.05 수준에서 유의한 평균 차이 (F=3.694)가 나타났다.

교육경력에 따른 사회적지지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10년 이상 유아

교사(M=3.83), 5~9년 유아교사(M=3.68), 4년 이하 유아교사(M=3.57) 순으로 높 게 인식하였고, p<.05 수준에서 유의한 평균 차이(F=3.973)가 나타났다. 집단 간 다중비교를 위한 사후검증으로 Scheffé(p<.05) 검증한 결과, 10년 이상과 4년 이 하 유아교사 사이에서 유의한 평균 차이가 나타났다. 사회적지지의 원장지지 하위 요인에서도 10년 이상과 4년 이하 유아교사 사이에서 유의한 평균 차이(F=3.755, p<.05)가 나타났다. 하지만 사회적지지의 동료교사지지 하위요인에서는 집단 간 유 의한 평균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표 8> 교육경력에 따른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행복감 인식 차이

교육경력 연구변인

4년 이하a 5~9년b 10년 이상c

F Scheffé

M SD M SD M SD

통제성 3.48 .75 3.39 .80 3.79 .90 4.986** c>a, b 긍정성 3.14 .92 3.10 .83 3.47 .99 3.694*

사회성 2.76 .95 2.78 .87 3.25 1.09 6.098** c>a, b 자아탄력성 3.13 .79 3.09 .73 3.50 .93 5.845** c>a, b 동료교사지지 3.92 .63 4.06 .58 4.12 .72 2.210

원장지지 3.21 .73 3.31 .72 3.53 .84 3.755* c>a 사회적지지 3.57 .57 3.68 .54 3.83 .69 3.973* c>a 내적 행복감 3.46 .77 3.38 .82 3.55 .90 .766

외적 행복감 3.72 .69 3.65 .79 4.00 .85 4.182* c>b 자기조절 행복감 3.44 .68 3.37 .79 3.57 .94 1.134

행복감 3.54 .55 3.46 .68 3.70 .79 2.437 *p<.05, **p<.01

교육경력에 따른 행복감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10년 이상 유아교사 (M=3.70), 4년 이하 유아교사(M=3.54), 5~9년 유아교사(M=3.46) 순으로 높게 인 식하였지만 집단 간 유의한 평균 차이(F=2.437, p>.05)는 나타나지 않았다. 행복 감의 외적 행복감 하위요인에서는 10년 이상 유아교사(M=4.00), 4년 이하 유아교

사(M=3.72), 5~9년 유아교사(M=3.65) 순으로 높게 인식하였고, 10년 이상과 5~9 년 유아교사 간에 p<.05 수준에서 유의한 평균 차이(F=4.182)가 나타났다. 집단 간 다중비교를 위한 사후검증으로 Scheffé(p<.05) 검증한 결과, 10년 이상과 5~9 년 유아교사 사이에서 유의한 평균 차이가 나타났다. 하지만 내적 행복감과 자기조 절 행복감 하위요인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평균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5) 근무기관 유형에 따른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행복감 인식 차이

유아교사의 근무기관 유형에 따른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행복감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아래 <표 9>와 같다.

<표 9> 근무기관 유형에 따른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행복감 인식 차이

근무기관 유형 연구변인

국공립 사립

M SD M SD t

통제성 3.66 .89 3.48 .78 1.617

긍정성 3.32 .82 3.17 .97 1.167

사회성 2.95 .98 2.88 .99 .539

자아탄력성 3.31 .83 3.18 .83 1.179

동료교사지지 4.07 .63 3.99 .65 .923

원장지지 3.42 .68 3.29 .80 1.206

사회적지지 3.74 .59 3.64 .61 1.260

내적 행복감 3.48 .86 3.45 .81 .270

외적 행복감 3.81 .88 3.76 .73 .412

자기조절 행복감 3.57 .87 3.40 .75 1.505

행복감 3.62 .77 3.54 .61 .838

근무기관 유형에 따른 자아탄력성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국공립 유아 교사(M=3.31)가 사립 유아교사(M=3.18)보다 높게 인식하였지만 집단 간 유의한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1-52)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