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자아탄력성과 행복감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5-60)

유아교사가 인식한 자아탄력성(독립변인)과 행복감(종속변인) 관계에서 사회적지 지(매개변인)의 매개효과가 입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 과 검증 절차 즉, 독립변인과 매개변인이 종속변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야 하고, 종속변인에 대한 독립변인의 영향력이 단독보다는 매개변인이 투입되었을 때 감소 해야 한다. 이런 절차에 근거해 앞의 연구결과에서 독립변인과 매개변인이 종속변 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분석이 유의함을 알 수 있다. 유아 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아래 <표 13>, [그림 1]과 같다.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 과, <표 13>에 제시된 바와 같이 1단계에서 자아탄력성이 매개변인인 사회적지지 에 미치는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고(β=.610, p<.001), 2단계에서 독립변인인 자아탄력성이 종속변인인 유아교사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통계적 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β=.529, p<.001). 그리고 3단계에서 매개변인인 사회적지 지가 유아교사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도 유의하였으며(β=.559, p<.001), 자아탄 력성이 유아교사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두 번째 방정식(β=.529, p<.001)보다 세 번째 방정식(β=.188, p<.01)에서 줄어들었다. 따라서 사회적지지는 유아교사 자

아탄력성과 행복감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13> 자아탄력성과 행복감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단계 종속변인 독립변인 B SE β t R² F

1 사회적지지

(매개) 자아탄력성 .441 .036 .610 12.161*** .372 147.899***

2 행복감

(종속) 자아탄력성 .424 .043 .529 9.844*** .279 96.900***

3 행복감

(종속)

자아탄력성 .150 .046 .188 3.240**

.476 113.018***

사회적지지 .619 .064 .559 9.661***

**p<.01, ***p<.001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행복감

.610*** .559***

.529***(.188**)

Sobel Test Statistic Z=7.59, p<.001

〔그림 1〕자아탄력성과 행복감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부분매개효과

또한 유아교사 행복감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보면, 자아탄력성은 단독으로 27.9%(F=96.900, p<.001), 사회적지지가 투입되었을 때는 설명력이 47.6%(F=113.018, p<.001)로 19.7% 늘어 자아탄력성이 통제되어도 사회적지지가 유아교사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 Sobel의 Z 값은 7.59로 유아교사 자아탄력성과 행복감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부분매개효과는 p<.001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 타났다.

유아교사 자아탄력성과 행복감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동료교사지지 및 원장지 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아탄력성과 행복감 관계에서 동료교사지지의 매개효과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 관계에서 동료교사지지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아래 <표 14>, [그림 2]와 같다.

<표 14> 자아탄력성과 행복감 관계에서 동료교사지지의 매개효과

단계 종속변인 독립변인 B SE β t R² F

1 동료교사지지

(매개) 자아탄력성 .341 .044 .442 7.782*** .195 60.565***

2 행복감

(종속) 자아탄력성 .424 .043 .529 9.844*** .279 96.900***

3 행복감

(종속)

자아탄력성 .250 .041 .312 6.081***

.473 111.964***

동료교사지지 .509 .053 .491 9.583***

***p<.001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 관계에서 동료교사지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표 14>에 제시된 바와 같이 1단계에서 자아탄력성이 매개변인인 동료교사 지지에 미치는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고(β=.442, p<.001), 2단계에 서 독립변인인 자아탄력성이 종속변인인 유아교사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통계 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β=.529, p<.001). 그리고 3단계에서 매개변인인 동료교 사지지가 유아교사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도 유의하였으며(β=.491, p<.001), 자 아탄력성이 유아교사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두 번째 방정식(β=.529, p<.001) 보다 세 번째 방정식(β=.312, p<.001)에서 줄어들었다. 따라서 동료교사지지는 유 아교사 자아탄력성과 행복감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 동료교사지지 행복감

.442*** .491***

.529***(.312***)

Sobel Test Statistic Z=6.03, p<.001

〔그림 2〕자아탄력성과 행복감 관계에서 동료교사지지의 부분매개효과

2) 자아탄력성과 행복감 관계에서 원장지지의 매개효과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 관계에서 원장지지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아래 <표 15>, [그림 3]과 같다.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 관계에서 원장지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표 15>에 제시된 바와 같이 1단계에서 자아탄력성이 매개변인인 원장지지에 미 치는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고(β=.589, p<.001), 2단계에서 독립변 인인 자아탄력성이 종속변인인 유아교사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통계적으로 유 의하게 나타났다(β=.529, p<.001). 그리고 3단계에서 매개변인인 원장지지가 유아 교사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도 유의하였으며(β=.338, p<.001), 자아탄력성이 유 아교사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두 번째 방정식(β=.529, p<.001)보다 세 번째 방정식(β=.330, p<.001)에서 줄어들었다. 따라서 원장지지는 유아교사 자아탄력성 과 행복감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사 행복감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보면, 자아탄력성은 단독으로 27.9%(F=96.900, p<.001), 원장지지가 투입되었을 때는 설명력이 35.4%(F=68.187, p<.001)로 7.5% 늘어 자아탄력성이 통제되어도 원장지지가 유 아교사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 해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 Sobel의 Z 값은 4.86으로 유아교사 자아탄력성과 행복감 관계에서 원장지지의 부분매개효과는 p<.01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 났다.

결과적으로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매개변인인 사회적지지와 준거변인인 행복감 에 정적인 영향력을 가지며, 사회적지지는 자아탄력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사회적지지는 자아탄력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에 부분 매개하여 그 영향력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해 석할 수 있다.

<표 15> 자아탄력성과 행복감 관계에서 원장지지의 매개효과

단계 종속변인 독립변인 B SE β t R² F

1 원장지지

(매개) 자아탄력성 .541 .047 .589 11.511*** .346 132.493***

2 행복감

(종속) 자아탄력성 .424 .043 .529 9.844*** .279 96.900***

3 행복감

(종속)

자아탄력성 .254 .051 .330 5.234***

.354 68.187***

원장지지 .295 .055 .338 5.360***

***p<.001

자아탄력성 원장지지 행복감

.589*** .338***

.529***(.330***)

Sobel Test Statistic Z=4.86, p<.01

〔그림 3〕자아탄력성과 행복감 관계에서 원장지지의 부분매개효과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5-6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