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먼저 자아정체감에 대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대하여 사전검사를 실시하 였으며, 독립표본 t 검증을 통하여 두 집단의 동질성을 확인하였다.

표 Ⅳ-3 실험집단·통제집단의 자아정체감 사전검사 평균(표준편차)

구분 실험집단 (n=15) 통제집단 (n=15) t

주체성 3.59 (.61) 3.63 (.39) -.18

자기수용성 3.61 (.86) 3.85 (.79) -.84

미래확신성 3.61 (.69) 3.81 (.57) -.87

목표지향성 3.18 (.84) 3.38 (.67) -.72

주도성 3.03 (.81) 3.27 (.65) -.89

자아정체감 총합 3.40 (.67) 3.58 (.51) -.84

위의 표 Ⅳ-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아정체감의 5가지 하위요인과 자아정체감 총합 평균에 대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 평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자아정체감에 대하여 동질집단임이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자아정체감에 대하여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의 사후검사 평균의 차이 를 확인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 검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의 표 Ⅳ-4 과 같다.

표 Ⅳ-4 실험집단·통제집단의 자아정체감 사후검사 평균(표준편차)

구분 실험집단 (n=15) 통제집단 (n=15) t

주체성 3.98 (.65) 3.68 (.43) 1.49

자기수용성 4.46 (.60) 3.97 (.36) 2.72*

미래확신성 4.30 (.68) 3.87 (.67) 1.77

목표지향성 4.02 (.79) 3.56 (.52) 1.89

주도성 3.91 (.78) 3.40 (.46) 2.17*

자아정체감 총합 4.13 (.65) 3.69 (.42) 2.20*

*p<.05

위의 표 Ⅳ-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아정체감 하위요인 가운데 ‘자기수용성’에 대하여 통제집단의 평균은 3.97(SD=.36)로 나타난 것에 비하여 실험집단의 평균 은 4.46(SD=.60)인 것으로 나타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평균의 차이가 통계 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t=2.72, p<.05). 또한 자아정체감 하위요인 가운 데 ‘주도성’ 에 대해서도 실험집단의 평균(M=3.91, SD=.78)이 통제집단의 평균 (M=3.40, SD=.46)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2.17, p<.05). 이와 함께 자아정체감 전체 평균에 있어서도 실험집단의 평균 (M=4.13, SD=.65)이 통제집단의 평균(M=3.69, SD=.42)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 한 수준에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t=2.20, p<.05).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 대한 대응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먼저 통제집단에 대한 대응표본 t 검증의 결과는 다음의 표 Ⅳ-5와 같다.

표 Ⅳ-5 통제집단의 자아정체감 사전·사후검사 평균(표준편차)

구분 사전검사 (n=15) 사후검사 (n=15) t 주체성 3.63 (.39) 3.68 (.43) -.55 자기수용성 3.85 (.79) 3.97 (.36) -.65 미래확신성 3.81 (.57) 3.87 (.67) -.55 목표지향성 3.38 (.67) 3.56 (.52) -1.40 주도성 3.27 (.65) 3.40 (.46) -.96 자아정체감 총합 3.58 (.51) 3.69 (.42) -1.02

*p<.05

위의 표 Ⅳ-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아정체감의 5가지 하위요인과 자아정체감 총합 평균에 대해서 통제집단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평균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간 기간 동안 통제 집단의 자아정체감 수준에는 변화가 없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실험집단에 대한 대응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의 표 Ⅳ-6과 같다.

<표 Ⅳ-6> 자아정체감에 대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사전검사 차이 검증

구분 실험집단 (n=15) 통제집단 (n=15) 사후-사전 평균(SD) 사후-사전 평균(SD) t

주체성 .39 (.78) .05 (.37) 1.49 자기수용성 .85 (1.20) .11 (.66) 2.10* 미래확신성 .69 (1.05) .05 (.37) 2.21* 목표지향성 .84 (1.27) .18 (.50) 1.87

주도성 .88 (1.32) .13 (.54) 2.03 자아정체감 총합 .73 (1.02) .11 (.40) 2.19*

*p<.05

위의 표 Ⅳ-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아정체감 5가지 하위요인중 자기수용성, 미래 확신성 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앞서 통제집단의 경우에 있어서는 사전검사 평균과 사후검사 평균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실험집단 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미루어, 이는 실험집단 을 대상으로 실시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실험집단의 자아정체감 수준을 향상시 킨 것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