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II. 연구방법

4. 자료분석 및 타당화검증

DigitalRecorderLVR-205를 이용하여 녹음한 자료는 문서작성 프로그 램 “한글 2005”를 사용하여 연구자가 전사하였으며 전사된 내용의 정확성 을 확인하기 위하여 특수교육을 전공한 동료교사 1인이 녹음 내용을 다시 들으면서 전사한 내용을 검토하였다.전사한 자료는 글자크기 10,줄 간격 160,자간 0,장평 100으로 작성하였을 때 A4용지 78쪽에 달하였다.

이 연구에서 활용한 현상학적 방법은 연구 참여자들의 기술에 대한 분 석을 통해서 인간적으로 경험된 현상의 의미를 밝혀내고자 하는 연구방법 으로 현상을 확인하고 구조화하여 결과를 서술하는 방법은 거의 비슷하나 분석방법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김미옥,2002).

이 연구에서는 Colaizzi(1978)가 제시한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이 분석 방법은 참여자로부터 기술된 내용에서 의미있는 문장이나 구를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일반적이며 추상적인 진술을 만들어 의미를 구성하여 주제 묶음으로 범주화한 후 경험의 본질적 구조를 기술하는 것이다.그리고 경 험의 본질적 구조의 타당성을 참여자로부터 다시 확인하는데 이러한 과정 은 주제에 그 의미가 반영되어 주제를 편견없이 받아들이게 한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구체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다.

1단계에서는 참여자와의 면접을 기록한 내용을 자세히 반복해서 읽고 그 의미를 탐구하여 연구하고자 하는 현상과 직접 관련이 있는 의미있는 문장이나 구를 선택하여 의미있는 진술을 추출해 내었다.

2단계에서는 의미있는 진술들을 주의깊게 보면서 중복되는 표현은 배제 하고 일반적이고 추상적인 형태로 재진술 하였다.

3단계에서는 각 의미있는 진술에서 명확한 의미를 찾아내었다.이 단계

에서는 명확한 진술을 위해 면접 자료를 자세히 읽으면서 의미의 맥락을 파악하고 맥락 내에서 감추어진 의미를 발견하고 설명하려고 하였으나,연 구자는 원래의 자료와 관계없는 의미를 표현해서는 안 되므로 연구 참여 자가 표현한 진술 내에서 의미를 진술하려고 노력하였다.

4단계에서는 표현된 명확한 의미를 주제(theme), 주제묶음(theme clusters)으로 범주화하였다.

5단계에서는 모든 자료의 분석결과를 철저하게 서술하여 통합하고,가능 한 기본 구조를 확인하여 명료한 진술로 조사한 현상을 서술하려고 노력 하였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각 연구 참여자의 입장으로 돌아가 봄으로써 타당도 를 높이고자 하였다(신경림 외,2005).

이 연구에서 실시한 타당화 검증방법은 Padgett(2001)이 제안한 동료집 단(peersupportgroup)의 조언 및 지지였다.자료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논 리에서 벗어나는 생각을 하게 되는 오류를 범하지 않도록 동료집단으로부 터 의견을 듣는 과정을 통하여 질적 연구의 신뢰도와 전이가능성을 높이 고자 노력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으로 특수교육전공 교사 1인과 특수교육 전공 석사과정 대학원생 1인을 선정하여 분석과정에서 범할 수 있는 오류들을 견제하도 록 하고,이들의 관점과 조언을 경청하였다.또한 면접을 진행하고 전사본 을 분석하는 사이사이에 이미 면접이 끝난 연구 참여자와 계속 관계를 유 지하면서 연구의 진행상황을 알려주고,다른 면접에서 발견된 사항에 관하 여 연구 참여자와 토의하는 ‘연구 참여자 재확인’(membercheck)을 실시함 으로써 연구의 방향을 계속적으로 점검하였다.

또한 지체부자유 특수학교에서 18년째 근무하고 있는 연구자의 개인적 경험과 직업적 가치관은 자료의 범주화와 중심주제 도출 등 전체 연구과

정에 반영되었음을 밝힌다.

연구자는 대학에서 특수교육을 전공하였으며 지체부자유 특수학교 중등 부 교사로서 학교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중․고등부 학생들을 위한 직업 교육,진로지도 등 지체부자유 학생들의 장애특성에 맞는 교육과정 개발과 지도를 위해 고민하고 노력해 왔다.또한 고등부를 졸업한 학생들과 지속 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졸업 후에도 늘 그들과 가까이에서 생활해 온 경험 은 질적 연구 과정에서 중요시되는 연구자의 민감성을 증진시켜 전체 연 구의 타당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