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I. 이론적 배경

7. 선행연구 고찰

“특수교육의 제공이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가?”라는 물음은 장애 학생을 가르치는 교사뿐만 아니라 특수교육 대상자 및 부모,그리고 특수교육에 관계하는 모든 사람들의 주된 질문이다.이 질문에 대한 해답 을 찾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국내외에서는 ‘특수교육을 받고 학교를 졸업 했거나 중도에 학교를 그만두고 떠난 장애청년이 학교를 떠난 후 어떻게 성인으로서 삶을 살고 있는가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박희찬(1995)은 정신지체 특수학교 4개교에서 5년간 졸업한 454명을 대 상으로 졸업 이후 취업과 독립적인 생활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그 결 과 취업자는 136명(30.0%),미취업자는 236명(52.0%),직업훈련 등 기타는 82명(18.1%)으로 나타나 고등학교를 졸업한 장애학생들의 취업이 현실적으 로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다.또한 이 연구에서는 취업 외에도 정신지체학 교 고등부 졸업생들이 지역사회내의 시설을 어느 정도 이용하고 있는지, 일상생활에서 어느 정도 자립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도 실시하 였다.

특수학교를 졸업한 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다른 연구에서 220명의 조 사 대상자 중 전일제 취업이 44명으로 20.0%,시간제 취업이 9명으로 4.1%,미취업이 115명으로 52.3%,직업훈련이 32명으로 14.5%,그리고 계 속교육이 20명으로 9.1%이었다.(박희찬,1993)

또한 곽준기(1995)는 지체부자유학교를 졸업한 학생에 대한 추적연구를 통해 지체부자유 학교를 졸업한 졸업생의 25% 미만이 전일제 또는 시간제 로 취업하고 있음을 조사하고,학교를 졸업하는 모든 장애인이 받게 되는 질은 사회내의 재활기관에서 일하고 있는 다양한 전문가들이 얼마나 학교

체제와 협조하여 일을 하려고 하는가의 의지와 능력에 따라 달라지며,학 교체제를 떠나 성인 사회로 나아가는 장애인이 조화롭게 직업,거주,교통 등 주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최근 5년간 특수학교(급)고등부 졸업생 1,334명을 대상으로 한 국립특수 교육원의 졸업생 진로실태 조사(2005)에 의하면 특수학교(급)고등부 졸업 생의 35.2%가 직장을 가진 취업자이고,64.8%가 직장을 가지지 않은 미취 업자(가정거주,시설거주,자영업,대학진학 포함)로 조사되었으며,이중 지 체부자유학교 졸업생의 35.1%가 취업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그러나 이중 중도․중복 장애학생의 취업률만을 조사한다면 이보다 훨씬 낮을 것으로 생각되어진다.또한 지체부자유학교를 졸업한 조사대상자 208명중 미취업 상태에 있는 135명의 졸업 후 진로분포는 61.5%가 가정에 거주하고, 15.6%는 시설거주,7.4% 전공과 진학,10.4% 자영업,기타 5.2%로 나타났 다.이 연구에서 특수학교(급)고등부 졸업생 중 미취업자들은 가족과 함 께 생활하지 않은 장애 성인이 많고,학교 졸업 이후 무직상태가 지속되고 있으며,직장생활을 원하지만 특별한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는 등 전반적 인 생활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한편,취업자의 경우에는 직장생활 을 하고 있는 그 자체의 만족도를 제외하고는 고용상황 전반이 열악하고, 직장의 직무수행에 다소의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직장의 이직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적절한 지원을 받고 있지 못하며,직장의 적응․유 지를 위한 직업훈련을 받지 못한 경우가 많고,현 수준보다 높은 임금을 지급하는 안정된 직장에 대한 요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그리고 직장 생활의 직무수행 효율화를 위하여 장애인식 개선 혹은 장애인 편의시설 확충에 대한 요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를 가진 성인에 대한 보다 광범위하게 성인서비스에 있어 중요한 축

이 되는 전문가와 장애인의 가족,그리고 장애 성인의 관계에 대한 연구도 보고되었다(Ferguson,Ferguson,Jeanchild,Olson,& Lucyshn,1993).이 연구는 장애 성인을 위한 직업재활서비스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진행된 것으로서,질적 연구의 장점인 개방적인 탐색을 통한 현실 에 대한 이해와 이론적 기초의 도출을 토대로 이후의 프로그램 개발까지 연계시키고자 하였다.이들의 연구에서는 정삼각형의 세 꼭지점으로 서비 스를 제공하는 전문가,장애인의 가족,성인 장애인 세 부류의 사람들을 상 징적으로 나타내어 서로의 관계들을 관찰한 연구를 통해,성인 서비스에서 장애성인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함을 시사하였다.

장애인에 대한 종합적인 서비스의 중요성을 강조한 Amado,A.N.&

Lyon,P.J.(1992)의 연구는 각 개인의 장애특성과 요구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관련 기관의 상호 긴밀한 협조로 장애학생과 성인 장애인 의 삶을 성공적으로 이끈 과정에 대한 질적연구이다.

또한 성인 장애인의 삶을 들여다봄으로써 학령기 이후의 특수교육 및 재 활서비스 지원 방향을 살펴보는 질적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학습장애를 가 진 성인들의 생활과 이들의 성공요인을 다룬 Reiff, Ginsburg, &

Garter(1995)의 연구와 장애 성인 7명을 대상으로 이들이 지역사회에서 경 험한 내용을 관찰과 심층 면담을 통하여 분석함으로써 지역사회 구성원으 로서의 성공적인 삶에 대한 Walker(1999)의 연구를 찾아볼 수 있다.두 연 구 모두 성인기의 장애인의 삶의 모습과 회고를 통하여 특수교육과 재활 서비스에 방향을 제공하는 매우 좋은 자료라고 생각된다(박은혜,2001).

특히 Walker(1999)의 연구에서는 장애를 가진 성인들이 지역사회에서 주로 있는 장소에 대한 분석(장애인을 위한 장소와 일반 대중을 위한 장 소,공공 장소와 개인적인 장소,직업을 위한 장소와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 한 장소)과 지역사회에서의 경험을 소속감의 정도,친숙성의 정도,안전성,

장애인을 위한 배려의 정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또한 이러한 자료들을 장애인을 위한 교육 및 재활 서비스의 원칙들과 관련하여 해석하고 분석 함으로써 보다 장애 성인들이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소속감을 느끼며 살아 갈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