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자기분화의 매개효과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2-38)

B. 구조모형 검증

1. 자기분화의 매개효과

어머니의 지각된 과보호와 부정적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자기분화의 매개모형에 대한 분석결과를 <표 5>와 <그림 2>에 제시하였다. 이에 따르면, 독립변인인 어머니의 지 각된 과보호는 종속변인인 부정적 양육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 나 어머니의 지각된 과보호는 자기분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β=-.387, C.R. = -6.259, p < .01) 자기분화도 부정적 양육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β=-.220, C.R.

= -2.2.3, p < .05).

또한, 부트스트래핑을 통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제시된 신뢰구간이 0 을 포함하지 않음으로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며(Shrout & Bolger, 2002) 제 시된 수치가 .05보다 작을 때 유의한데(우종필, 2016) 어머니의 지각된 과보호에서 부 정적 양육행동에 대한 간접효과의 유의확률이 .001이므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고 할 수 있다(.001, Bias-corrected CI = .03~.245). 즉, 매개 모형을 검증한 결과 어머니의 지 각된 과보호와 부정적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자기분화 수준이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표 6>에 제시되어 있다.

경로 B β S.E. C.R. p 어머니의 지각된

과보호 → 부정적 양육행동 -.128 -.095 .083 -1.541 .123 자기분화 → 부정적 양육행동 -.117 -.220 .053 -2.203 ***

어머니의 지각된

과보호 → 자기분화 -.979 -.387 .156 -6.259 ***

구분 총효과(직접효과, 간접효과)

어머니의 지각된 과보호 자기분화 양육행동

자기분화 -.502**

(-.502**, -) -

-부정적 양육행동

-.110 (-.219*, .001)

-.361**

(-.361**, -)

-<표 5> 매개효과 경로분석

p*<0.1, p**<0.05, p***<0.01

<표 6> 매개모형 내 경로의 총효과 분해

p*<0.1, p**<0.05, p***<0.01

<그림 2> 완전매개모델

24

-2. 부모성찰의 조절효과

자기분화와 부정적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부모성찰의 조절 모형을 Ping(1995)이 제안 한 구조방정식 접근법으로 분석하고, 상호작용 효과를 그래프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또 한, 다중공선성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독립, 조절 변인의 표준화 점수를 사용하여 분 석하였다. 부정적 양육행동에 대한 자기분화와 부모성찰의 상호작용의 효과에 대한 구 조방정식 분석 결과는 <표 7>과 <그림 3>에 제시하였다. 자기분화는 부정적 양육행 동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고(β=-.207, C.R. = -5.03, p < .01) 부모성찰 또한 부정적 양육행동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β=-.825, C.R. = -16.35, p < .01). 그리고 자기분화 와 부모성찰의 상호작용 변수도 부정적 양육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 났다(β=-.131, C.R. = -3.541, p < .01). 즉, 부모성찰의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게 나타났음을 의미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조절 변인에 따른 독립변인과 매개변인의 관계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자기분화와 부모성찰의 상호작용 효과 그래프를 <그림 4>에 제시하였다. <그림 4>에서 제시한 것처럼 자기분화 수준이 낮을수록 부정적 양 육행동이 증가하는데 부모성찰 수준이 평균보다 적을 때 부정적 양육행동의 수준이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자기분화 수준이 낮을 때도 부모성찰을 평균보 다 많이 하는 어머니의 경우 부정적 양육행동은 감소한다.

<표 7> 조절효과 경로분석

경로 B S.E. β C.R. p

자기분화 → 부정적 양육행동 -.148 .029 -.207 -5.03 ***

부모성찰 → 부정적 양육행동 -.760 .046 -.825 -16.35 ***

자기분화×부모성찰 → 부정적 양육행동 -.471 .133 -.151 -3.541 ***

p*<0.1, p**<0.05, p***<0.01

<그림 3> 조절모형

<그림 4> 조절효과 그래프

26

-3. 부모성찰의 조절된 매개효과

매개효과와 조절효과의 분석으로 어머니의 지각된 과보호와 부정적 양육행동의 관계 를 자기분화가 완전매개한다는 것과 부모성찰이 자기분화가 부정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 두 효과를 통합한 조절된 매개효과는 독립변 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효과가 매개변수를 통해 나타나고, 매개효과가 조절변수에 따 라 달라지는 것이다(배병렬, 2015).

조절된 매개효과의 분석은 SPSS Macro PROCESS를 활용하였고 다중공선성 문제 를 최소화하기 위해 각 변인의 표준화 점수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표 8>에 제시하였다. <표 8>에서와 같이 자기분화와 부모성찰의 상호작용항은 부정적 양 육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β=-.115, t = -3.19, p < .01). 다시 말해서 매개변인인 자기분화가 종속변인인 부정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부모성찰 의 값에 따라 변화한다는 것이다.

또한, 조절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Hayes(2012)의 PROCESS(model 14)를 활용하여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고, 이때 표 본의 수는 5,000개로 설정하였다. 결과는 <표 9>에 제시한 바와 같다. <표 9>에서와 같이 95% 신뢰구간의 하한값과 상한값이 –1SD일 때는 0을 포함하므로 간접효과가 유의하지 않으나 부모성찰이 +1SD 이상일 때는 하한값과 상한값이 0을 포함하지 않으 므로 간접효과가 유의하다. 즉, 부모성찰이 평균보다 높을 때 조절된 매개효과가 성립 한다고 볼 수 있다. 어머니의 지각된 과보호가 자기분화를 통해 부정적 양육행동에 미 치는 매개효과가 유의미하며 이를 부모성찰의 수준에 따라 조절됨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자기분화가 어머니의 지각된 과보호와 부정적 양육행동 사이에서 매개효과 를 가지는데 이를 부모성찰이 조절할 수 있는지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조절된 매개 지수’ 값을 SPSS PROCESS를 활용하여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으로 분석하였 다. 분석 결과는 <표 10>과 같으며, 조절된 매개지수 값은 .0022이고 95%의 신뢰구간의 하한값과 상한값이 0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조절된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이 확 인되었다. 결과적으로 과보호를 받은 어머니의 경험이 부정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에서 자기분화와 부모성찰의 조절된 매개효과 모형이 검증되었다.

부모성찰 조절변인의 각 수준별 조건부 간접효과

Boot 간접효과 Boot SE Boot LLCI(b) Boot ULCI(b)

-1SD .0156 .0130 -.0086 .0434

Mean .0437 .0124 .0220 .0702

+1SD .0718 .0180 .0398 .1097

조절된 매개지수

Index Boot SE Boot LLCI(b) Boot ULCI(b) 자기분화x

부모성찰 .0022 .0008 .0009 .0039

<표 8> 부모성찰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종속변수: 자기분화

B SE t B LLCI ULCI

상수 109.80 4.49 24.44*** _ 100.9676 118.6329 어머니의

지각된 과보호 -.6607 .095 -6.97*** -.386*** -.8471 -.4743 종속변수: 부정적 양육행동

B SE t B LLCI ULCI

상수 54.69 5.16 10.59*** _ 44.5383 64.8447 어머니의

지각된 과보호 .0565 .031 1.82 .092 -.0045 .1176 자기분화 .1181 .059 2.01** -.181 .0028 .2334 부모성찰 -.3145 .092 -3.40*** -.857 -.4963 -.1328 자기분화x

부모성찰 -.0034 .001 -3.19*** -.115 -.0054 -.0013

p*<0.1, p**<0.05, p***<0.01

<표 9> 부모성찰의 조건값에 따른 조절된 매개효과의 부트스트래핑 결과

LLCI = b의 95%신뢰구간 내에서의 하한값, ULCI = 상한값.

<표 10> 부모성찰의 조절된 매개지수 검증

LLCI = b의 95%신뢰구간 내에서의 하한값, ULCI = 상한값.

28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2-3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