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일반적인 요인과 대사증후군 간의 관련성

남자 12,789 (68.9) 5,651 (31.2) <.0001 여자 11,900 (52.4) 10,821 (47.6)

연령

60-64세 8,022 (62.6) 4,797 (37.4) <.0001 65-69세 8,618 (59.7) 5,826 (40.3)

70세 이상 7,749 (57.0) 5,849 (43.0) 직역구분

지역가입자 7,874 (59.0) 5,474 (41.0) 0.0452 직장가입자 16,515 (60.0) 10,998 (40.0)

소득분위

Q1 3,566 (59.8) 2,396 (40.2) 0.5930 Q2 3,000 (59.5) 2,043 (40.5)

Q3 3,908 (59.3) 2,679 (40.7) Q4 5,472 (60.4) 3,588 (39.6) Q5 8,443 (59.4) 5,766 (40.6)

* 소득분위

Q1(1,2분위):∼144만원, Q2(3,4분위):145만원∼236만원, Q3(5,6분위):237만원∼324만원, Q4(7,8분 위):325만원∼438만원, Q5(9,10분위):439만원∼이상

표 6.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대사증후군 간의 관련성

단위 : n(%)

나. 건강행태요인과 대사증후군 간의 관련성

대사증후군과 건강행태요인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면, 흡연자에 비해, 과거흡 연자와 비흡연자의 대사증후군 분포가 높았으며, 음주자에 비해 비음주자의 대 사증후군 유병률이 높았다. 그리고 BMI가 높을수록 대사증후군 분포가 높았다.

흡연상태, 음주여부 및 BMI와 대사증후군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였다(p<0.001)<표8>.

구분 대사증후군

없음 있음 p값

흡연 상태

비흡연 17,688 (61.0) 11,323 (39.0) <.0001 과거흡연 3,989 (70.2) 1,691 (29.8)

흡연 3,682 (70.8) 1,517 (29.2) 음주 여부

비음주 16,131 (62.0) 9,893 (38.0) <.0001 음주 7,369 (69.4) 3,252 (30.6)

BMI

(㎏/㎡) <23.0 12,311 (82.1) 2,683 (17.9) <.0001 23.0~24.9 7,124 (65.1) 3,816 (34.9)

≥25.0 6,588 (44.2) 8,328 (55.8) 표 7. 건강행태요인과 대사증후군 간의 관련성

단위 : n(%)

다. 질병요인과 대사증후군 간의 관련성

대사증후군과 질병요인 간의 관련성을 비교하면, CCI 가중치 점수가 높을수 록 대사증후군의 분포가 높았으며, 연구대상자의 과거력인 심장병, 뇌졸중이 있 는 사람이 없는 사람에 비해 대사증후군의 분포가 높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표8>.

구분 대사증후군

없음 있음 p값

CCI

0 47,997 (62.3) 9,058 (37.7) <.0001 1~2 4,498 (59.7) 3,042 (40.3)

≥3 4,894 (52.8) 4,372 (47.2) 연구대상자의 과거력

심장병 없음 23,262 (60.0) 15,501 (40.0) <.0001 있음 1,127 (53.7) 971 (46.3)

뇌졸중 없음 23,936 (59.9) 16,060 (40.2) <.0001 있음 453 (52.4) 412 (47.6)

표 8. 질병 요인과 대사증후군 간의 관련성

단위 : n(%)

라. 일반적인 요인과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수 간의 관련성

(1)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수 간의 관련성

남자에 비해 여자에게서 대사증후군에 해당하는 구성요소 수가 3개, 4개, 5개 의 비율이 더 높았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대사증후군의 구성요소 수의 비율이 더 높았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표9>.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 간의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수에 따른 비율은 큰 차 이가 없었고, 소득분위별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수의 비율 또한 비슷한 수준이 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표9>.

(2) 건강행태요인과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수 간의 관련성

건강행태요인인 흡연 상태, 음주, BMI는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수와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흡연자에 비해 비흡연자, 과거흡연자에서, 음주자에 비해 비음주자에서, BMI가 높을수록 대사증후군 각 구성요소 수의 비율이 더 높았다<표10>.

(3) 질병요인과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수 간의 관련성

질병요인인 CCI 가중치가 높을수록, 연구대상자의 과거력인 심장병, 뇌졸중 질환력을 가진 사람일수록 대사증후군 각 구성요소 수의 비율이 더 높았으며, 구성요소 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표11>.

구분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수

0 1 2 3 4 5 p값

성별

남자 2,114 (11.7) 4,836 (26.7) 5,539 (30.5) 3,728 (20.6) 1,603 (8.8) 320 (1.8) <.0001 여자 1,582 (7.0) 4,107 (18.1) 6,211 (27.3) 5,927 (26.1) 3,590 (15.8) 1,304 (5.7)

연령

60-64세 1,387 (10.8) 2,962 (23.1) 3,673 (28.7) 2,900 (22.6) 1,487 (11.6) 410 (3.2) <.0001 65-69세 1,292 (8.9) 3,104 (21.5) 4,222 (29.2) 3,452 (23.9) 1,822 (12.6) 552 (3.8)

70세 이상 1,017 (7.5) 2,877 (21.2) 3,855 (28.4) 3,303 (24.3) 1,884 (13.9) 662 (4.9) 직역구분

지역가입자 1,202 (9.0) 2,897 (21.7) 3,775 (28.3) 3,250 (24.4) 1,699 (12.7) 525 (3.9) 0.2760 직장가입자 2,494 (9.1) 6,046 (22.0) 7,975 (29.0) 6,405 (23.3) 3,494 (12.7) 1,099 (4.0)

소득분위

Q1 534 (9.0) 1,338 (22.4) 1,699 (28.5) 1,419 (23.8) 722 (12.) 255 (4.3) 0.7602 Q2 467 (9.3) 1,123 (22.3) 1,410 (28.0) 1,186 (23.5) 669 (13.3) 188 (3.7)

Q3 568 (8.6) 1,411 (21.4) 1,929 (29.3) 1,595 (24.2) 818 (12.4) 266 (4.0) Q4 845 (9.3) 1,996 (22.0) 2,631 (29.0) 2,084 (23.0) 1,150 (12.7) 354 (3.9) Q5 1,282 (9.0) 3,080 (21.7) 4,081 (28.7) 3,371 (23.7) 1,834 (12.9) 561 (4.0)

* 소득분위

Q1(1,2분위):∼144만원, Q2(3,4분위):145만원∼236만원, Q3(5,6분위):237만원∼324만원, Q4(7,8분위):325만원∼438만원, Q5(9,10분위):439만원∼이상

표 9.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수 간의 관련성

단위 : n(%)

구분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수

0 1 2 3 4 5 p값

흡연상태

비흡연 2,388 (8.2) 5,863 (20.2) 8,220 (28.3) 7,255 (24.7) 4,018 (13.9) 1,367 (4.7) <.0001 과거흡연 574 (10.1) 1,452 (25.6) 1,747 (30.8) 1,207 (21.3) 584 (10.3) 116 (2.0)

흡연 639 (12.3) 1,359 (26.1) 1,500 (28.9) 1,101 (21.2) 488 (9.4) 112 (2.2) 음주여부

비음주 2,258 (8.7) 5,310 (20.4) 7,320 (28.1) 6,290 (24.2) 3,609 (13.9) 1,237 (4.8) <.0001 음주 1,052 (9.9) 2,686 (25.3) 3,256 (30.7) 2,354 (22.2) 1,043 (9.8) 230 (2.2)

BMI

(㎏/㎡) <23.0 2,591 (17.3) 4,912 (32.8) 4,421 (29.5) 2,162 (14.4) 777 (5.2) 131 (0.9) <.0001 23.0~24.9 829 (7.6) 2,458 (22.5) 3,370 (30.8) 2,663 (24.3) 1,268 (11.6) 352 (3.2)

≥25.0 275 (1.8) 1,572 (10.5) 3,953 (26.5) 4,829 (32.4) 3,147 (21.1) 1,140 (7.6) 표 10. 건강행태요인과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수 간의 관련성

단위 : n(%)

구분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수

0 1 2 3 4 5 p값

CCI

0 2,374 (9.9) 5,606 (23.3) 7,017 (29.2) 5,475 (22.8) 2,763 (11.5) 820 (3.4) <.0001 1~2 729 (9.7) 1,579 (20.9) 2,190 (29.1) 1,799 (23.9) 959 (12.7) 284 (3.8)

≥3 593 (6.4) 1,759 (19.0) 2,543 (27.4) 2,381 (25.7) 1,471 (15.9) 520 (5.6) 연구대상자의 과거력

심장병 없음 3,569 (9.2) 8,561 (22.1) 11,132 (28.7) 9,124 (23.5) 4,878 (12.6) 1,499 (3.9) <.0001 있음 127 (6.1) 382 (18.2) 618 (29.5) 531 (25.3) 315 (15.0) 125 (6.0)

뇌졸중 없음 3,657 (9.1) 8,796 (22.0) 11,483 (28.7) 9,427 (23.6) 5,058 (12.7) 1,575 (3.9) <.0001 있음 39 (4.5) 147 (17.0) 267 (30.9) 228 (26.4) 135 (15.6) 49 (5.7)

표 11 질병요인(과거력)과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수 간의 관련성

단위 : n(%)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