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인터넷 중독과 사회적응력의 관계

Ⅱ. 이론적 배경

4. 인터넷 중독과 사회적응력의 관계

Brenner(1997)는 인터넷을 통한 pc통신, 컴퓨터 게임의 중독이 인터 넷 사용자의 나이가 어릴수록 더 많은 문제를 경험하는 경향이 있다 는 보고하였다. 이처럼 아직 발달과정에 있는 청소년기에 과도한 인터 넷 사용은 많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 중 주목해야 할 것은 청소년기 특징 중 부모나 동료 집단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시기라 는 것이다. 그런 관계속에서 자아정체감이 형성되며 자신의 사회적 역 할 등을 배워나가는 기회를 갖게 된다. 그러나 가족간에 대화하고 친구 들과 어울려 지내야 할 시간에 요즘 청소년들은 집이나 pc방에서 인터 넷에 빠져 혼자 지내는 시간이 많다. 이로 인해 사회구성원으로서 지녀 야 하는 것들은 배울 기회를 잃게 되면서 사회구성원으로서 적응해나 가는 능력을 키울수가 없게 된다.

중독에 관한 이론 중 “사회 부적응 이론(social maladjistment theory)에 따르면 중독자들은 불만족스러운 대인관계로 인하여 고통을 받는다고 한다. TV 중독증과 관련한 연구에서 이에 대한 몇 가지 증

거들이 발견되었는데, 어린이들의 중독증은 부모와의 갈등과 관계가 있 으며(Schramm, Lyle & Parker, 1961: Smith, 1986 재인용), 친구를 사 귀는데 있어서의 어려움과도 관계가 있다고 한다(Smith, 1986).

그리고 Murray(1972)는 중시청자들은 사회부적응, 수동적인 대인관 계, 인내심의 결핍, 그리고 수줍음 등의 문제를 갖고 있을 가능성이 높 다는 것을 발견했다.

인터넷에 몰입하는 사람들이 모두 대인관계에 부정적이라고 말할 수 는 없지만 인터넷 중독증에 걸리는 사람들에게서는 흔하게 찾아 볼 수 있는 특징이 원만하지 못한 대인관계이다. 인터넷 중독 조사에서, 중독 자들이 연인관계, 가까운 친구관계에서부터 심지어 부부, 부모 자식간 의 관계에 이르기까지 심각하게 방해받고 있으며, 중독자들의 53%가 심각한 대인관계 문제를 보였다. 청소년에게 있어 원만하지 못한 대인 관계는 또래 집단에의 소속이나 인정을 중요시 여기는 청소년기에는 견디기 힘든 스트레스로 작용하며, 이는 또 다시 또래 집단에서의 불승 인, 거부, 소외, 고립을 통한 낮은 자존감, 자기 열등감을 조장하여 새 로운 대인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더욱 어렵게 만들어, 더욱 소외되고 고 립되어 결과적으로 부적응적인 대인관계를 형성하게 되는 악순환을 만 들게 된다(황수정, 2000; Young(1996b).

Goldberg(1996)은 인터넷 중독자가 인터넷 사용을 중지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중독자들은 자연히 사회적이거나 직업적인 사교활동 혹은 여 가나 취미활동을 줄이면서까지 인터넷사용을 계속하게 된다. 이것이 더욱 심각하게 발전될 경우 수면시간의 박탈을 경험하거나 친구를 잃 거나 또는 학교나 직장에서 배척되는 경험을 하게 된다고 보고하고 있 다.

또한 Young(1999)는 지나친 인터넷 의존의 결과, 학생들은 성적이

떨어지고, 부부관계 등 사랑하는 사람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문제가 발 생하며, 직장인은 과도한 인터넷 사용으로 상사와의 갈등을 겪는 등, 일상생활에 다양한 문제가 일어날 수 있다고 하였다.

Kraut(1998)가 2년간의 종단연구를 한 바를 따르면 우울은 인터넷의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한 사회망(social network)의 축소로 인한 결과이 며, 우울은 이후의 인터넷 사용량의 증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즉, 가상공간의 지속적인 활용은 사회망을 축소시킬 뿐 아니 라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며 부딪히는 사람들과의 접촉을 감소시키며, 그를 고립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오랫동안 가상공간을 활용해 온 사 람들은 자기보고에서도 스스로 이러한 문제점들을 느끼고 있다. 이는 적절한 가상공간의 활동과 함께 사회적인 관계, 현실생활에서의 일처리 기술이 병행되어야 할 것을 제시하였다(송원영, 1998).

인터넷 중독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서는 인터넷 중독자일수록 대학생활 능력이 떨어진 상태이고, 대학에 적응하는데 어 려움을 느끼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시험이나 과제를 하는 것에 과도 한 부담을 느끼고, 공부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며, 또한 자신 에 학점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그리고 비중독자에 비해 대학에서 친밀한 대인관계를 형성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사회 적 유대관계가 약한 편으로, 동아리 등 친목활동에도 잘 참여하지 않으 며, 이로인해 사회적인 상황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함으로써 올바른 인 간관계를 맺지 못한다. 그리고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사례연구를 통해 지나친 인터넷 사용이 직접적으로 대인관계 문제를 야기한 것은 아닐 지라도, 현실의 면대면 대인관계의 피상성은 인터넷에 중독적으로 빠져 들게 하는 원인이 될 가능성이 높음을 보고하였다(송명준 외, 2000).

이소영(2000)의 연구에서는 게임을 중독적으로 사용하는 청소년들이

더 충동적이며, 문제해결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이고, 실제 문제해결 능 력도 떨어지며, 사회적 능력을 재는 반응 유능성과 대인 협상 전략에서 중독 집단은 실제적인 갈등 상황에서 자신의 의견을 정중하고 설득력 있게 설명하지 못하거나, 자신과 상대방의 의견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를 조정하려고 노력하는 능력이 부족함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의사소통 유형에서도 산만형, 비난형, 초이성형 유형을 더 많이 사용하여 지시적이고 명령적일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결국 인터넷에 중독되면, 다른 사람과의 접촉이 약화되어 대인관계에 서 획득해야 할 사회적 기능을 학습할 수 없게 되고, 자기 통제력의 상 실, 통신을 통한 행복감의 추구, 사용량의 증가, 일상생활의 부적응, 감 정조절능력의 감소, 대인관계의 장애로 인해 사회부적응 상태로 빠지게 된다(이병국, 1999: 김옥순․홍혜영, 2000)

이상으로 살펴보면, 청소년에게 인터넷은 현실생활에서 충족되지 못 했던 점들을 충족시켜주는 매체로 작용하기도 하지만 지나친 인터넷 사용은 오히려 가족과 친구들과 같이 지낼 시간을 박탈하게 되고, 청소 년기에 인간관계를 통해 배워야 하는 사회적응 기술을 습득할 기회를 줄이게 되며 이는 결국 현실생활과의 거리감을 느끼게 하면서 사회환 경에 적응을 하지 못하는 상태로 만들어 버린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