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5 . 인지된 건강상태를 통제한 상태에서의 기능적 의료정보 이해도 와 치료순응도의 관계

표7은 기능적 의료정보 이해도가 치료순응도에 미치는 관계를 분석하기 위 해 인지된 건강상태를 통제한 후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이다.1 단계에서 인지된 건강상태를 넣은 후 회귀모형은 F=9.044,p<0.001로 통계적 으로 유의하였으며,인지된 건강상태가 치료순응도의 분산을 16.9% 설명하였 다.2단계에서 인지된 건강상태와 기능적 의료정보 이해능력을 넣은 후 회귀 모형은 F=8.044,p<0.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인지된 건강상태와 기능 적 의료정보 이해능력이 치료순응도의 분산을 21.5% 설명하여 2단계에서는 4.6% 설명력 증가를 보였다.[R2change=0.046(Fchange=5.191,p<0.05)]

또한 2단계 위계적 다중회귀분석결과에서 기능적 의료정보 이해능력의 값이 β=0.234,t=2.278(p<0.05)로 치료순응도와 유의한 양의 관계가 있었다.즉,기능 적 의료정보 이해능력의 값이 상승하면 치료순응도가 유의하게 상승하는 경향 을 나타냈다.

표 7.인지된 건강상태를 통제한 상태에서의 기능적 의료정보 이해도와

Ⅴ.논 의

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의료정보를 조직화하여 각 개인의 기본능력을 파악한

변화 순응도가 낮게 나타난 유사성이 있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 생활습관의

그 연관성에 관해 명확한 예측이 가능할 것이다.또한 향후 연구에서는 치료

치료순응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결과는 없어 다른 연구결과와 비 교할 수 없었다.또한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당뇨유병기간을 고려하지 못하 였으며,대상자가 편의추출로 제한되어 있으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여러 연령 및 질병의 유병기간 등 포괄적인 내용을 대단위로 적용한다면 기능적 의료정 보 이해능력과 치료순응도와의 관계 규명이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본 연구에서 기능적 의료정보 이해능력이 치료순응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 타내는 연구결과로 보아 기능적 이해능력을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중재와 대 상자의 기능적 의료정보 이해능력에 맞는 지속적 교육전략이 마련된다면 당뇨 병 환자들의 치료순응도 증가에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그에 따른 적절한 교육내용 및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기능적 의 료정보 이해능력이 낮은 당뇨병 환자들을 위한 특성화된 교육과 유병기간에 따른 정기적 교육 및 정보제공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는 표본의 수가 적고 편의추출로 제한되어 대표성에 취약할 수 있으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제한이 있다.

2) 치료순응도를 측정함에 있어서 그 내용의 정확성을 대상자의 보고에 의존할 수밖에 없어 타 연구들과의 비교에 제한적 의미만을 갖는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1) 본 연구에서 제시된 치료순응도의 도구를 세분화하며 객관적인 요인 들로 구체적으로 구별,대단위 대상자에게 적용하여 타당성 검증 및 특 성을 고려한 적합한 도구로 수정ㆍ보완할 것을 제언한다.

2) 당뇨병 환자의 생활습관을 총괄적으로 사정할 수 있는 보다 구체화 된 생활습관 사정 도구 개발을 제언한다.

3) 단면적 연구보다 치료순응도의 변인간의 관련성을 구체화하기 위하 여 전향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4) 치료순응도의 순응 유형에 대한 타당성 확보와 이러한 순응의 유형 들을 더욱 정렬화하기 위한 다양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심도있는 질 적 연구를 제언한다.

5) 기능적 의료정보 이해능력의 단계에 따른 적절한 교육프로그램을 개 발할 것을 제언한다.

Ⅵ.결론

을 복용할 경우,아침 7시에 처음으로 약물을 복용했을 때 다음 약물복용시간

change=0.046(F change=5.191,p<0.05)로 모형이 적합하였으며,인지된 건강상 태가 치료순응도의 분산을 16.9%설명한 것에 비해 인지된 건강상태와 기능적 의료정보 이해능력이 치료순응도의 분산을 21.5% 설명하여 4.6%의 설명력 증 가를 나타내었다.또한 인지된 건강상태만을 예측변수로 넣은 1단계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결과에서 건강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경우 β=-0.512, t=-3.920(p<.001)로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유의한 차이로 치료순응도가 낮아졌 다.인지된 건강상태와 기능적 의료정보 이해능력을 예측변수로 한 2단계 위 계적 다중회귀분석에서는 기능적 의료정보 이해능력의 값이 β=0.234, t=2.278(p<.05)로 치료순응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즉,기능적 의 료정보 이해능력의 값이 상승하면 치료순응도가 유의하게 상승하는 경향을 나 타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기능적 의료정보 이해능력이 치료순응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또한 치료순응도 중 생활습관변화 순응 도와 혈당관리 순응도가 기능적 의료정보 이해능력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따라서 대상자의 기능적 의료정보 이해능력 수준을 고려한 건강교육자료나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통하여 기능적 의료정보 이해능력을 향 상시키며,이와 관련하여 당뇨병 환자들의 생활습관변화나 혈당조절과 관련한 단계적이며 지속적인 교육으로 치료순응도 증가에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된 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