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012년 전국보육실태조사 가구조사에 포함된 대상 영유아 가구는 총 2,528가 구이다. 영아 자녀가 있는 가구가 1,595가구이고, 유아 자녀가 있는 가구가 1,601가구이다. 즉 668가구는 가구에 영아와 유아가 모두 있었다.

1) 가구 특성

농어촌의 가구는 도시지역보다 가구원 수가 평균적으로 많고 자녀 수 또한 두 자녀 이상을 양육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다. 농어촌(읍·면) 지역 영유아 자녀 를 둔 가정의 가구원 수는 평균 4.12명이다. 대도시나 중소도시가 3.81명~3.85명

인데 반해 농어촌의 가구원 수는 평균을 상회하는 수를 보인다.

이는 두 가지 이유에서 해석이 가능하다. 첫째는 도시지역에 비해 2명이상 자 녀를 둔 가정의 비율이 높다는 것이다. 중소도시 지역의 경우 영유아 자녀가 있 는 가정을 대상으로 했을 때 자녀가 2명 이상인 가정의 비율이 60%정도이나, 농 어촌은 67.4%로 한 자녀 가정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다. 둘째 이유는, <표 Ⅲ -1-1>에서 보듯이 부부와 함께 조부모가 거주하는 비율이 도시지역보다 높다는 점이다. 중소도시에서 자녀의 부모와 조부모(한 조부모 가정 포함)가 함께 거주하 는 비율은 7.9%이나 농촌은 16.8%로 2배가 넘는 비율을 보인다. 즉 한조부모 이 상의 가구원이 있음으로써 4명 이상의 가족 수가 확보되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표 Ⅲ-1-1〉 영유아 가구의 가구원 수

단위: 명, %

자료: 서문희 외(2012). 전국보육실태조사.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pp. 54-56. 재구성

2) 부모 특성

2012 보육실태조사에 나타난 농어촌 영유아 가구의 부모가 가진 인구사회적 특성을 보면, 영유아 자녀의 어머니가 도시지역에 비해 평균적으로 연령이 낮고 특히 20대의 젊은 어머니 비율이 높다는 특징을 알 수 있다. 또한 학력에서 어 머니와 아버지 모두의 학력이 도시지역보다 낮고 특히 어머니의 경우 무학이

구 분 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 전체

가구 원수

수 3.81 3.85 4.12 3.88

(표준편차) (0.87) (0.87) (0.97) (0.90)

자녀 수

아동수

1명 46.3 40.1 32.6 41.3

2명 45.2 48.0 52.0 47.5

3명 이상 8.5 12.0 15.4 11.2

가구 구성

조부모+부모+자녀 4.5 3.5 7.3 4.6

조부모+한부모+자녀 0.8 0.9 0.9 0.8

한 조부모+부모+자녀 6.4 4.4 9.5 6.1

한 조부모+한부모+자녀 0.8 0.3 0.4 0.5

부부+자녀 86.5 89.0 79.7 86.3

어머니 한부모+자녀 1.0 1.6 0.7 1.1

아버지 한부모+자녀 - 0.4 0.4 0.2

(한)조부모+자녀 0.1 - 1.1 0.2

계 100.0 100.0 100.0 100.0

(수) (1,024) (1,017) (487) (2,528)

1.7%이고 중졸 이하 학력이 총 8.1%로 중소도시 1.8%에 비해 4배 정도나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아버지의 경우도 4년제 대학 졸업자가 전체 평균 43%인데 비 해 농어촌은 32.9%에 지나지 않아 아버지 학력에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Ⅲ-1-2〉 영유아 부모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단위: %(명), 세

자료: 서문희 외(2012). 전국보육실태조사.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p. 57.

농어촌 가구의 또 다른 특징은 영유아 자녀의 어머니가 외국 출신인 다문화 가족의 비율이 높다는 것이다. 보육실태조사의 결과를 보면, 농어촌 영유아 가 정의 8.2%가 외국 출신 어머니를 둔 다문화가정임을 알 수 있다. 대도시 지역은 3.4%, 중소도시는 2.5%인데 비해 확연히 비율이 높은 것이 특징적이다.

〈표 Ⅲ-1-3〉 영유아 가구 중 이민자 가구 비율

단위: %(가구)

자료: 서문희 외(2012). 전국보육실태조사.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p. 60.

구분

대도시 중소도시 ·면 전체 대도시 중소도시 ·면 전체

연령

29세 이하 3.9 5.9 7.8 5.4 11.3 13.5 20.2 13.6 30~34세 25.0 30.7 26.6 27.5 38.4 42.7 39.3 40.2 35~39세 39.9 36.5 35.6 37.8 36.6 31.7 32.6 34.0 40~44세 22.0 23.6 22.4 22.7 12.6 10.8 6.7 10.9

45세 이상 9.1 3.2 7.6 6.6 1.2 1.2 1.2 1.2

평균(표준편차) 37.6(5.3) 36.5(4.9) 37.0(5.8) 37.1(5.3) 34.7(4.4) 34.0(4.5) 33.2(4.8) 34.2(4.6) 학력

무 - - - 1.7 0.3

초 0.5 0.7 1.0 0.7 0.7 0.5 0.2 0.6

중 1.2 0.5 3.9 1.4 2.7 1.3 6.2 2.7

고 27.6 29.9 39.3 30.4 30.6 35.9 40.1 34.2 3년제 대학 14.4 19.3 16.3 16.6 20.3 22.1 18.2 20.7 4년제 대학 46.9 42.9 32.9 43.0 39.6 37.4 30.8 37.3

대학원 이상 9.3 6.7 6.6 7.8 6.2 2.7 2.7 4.2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수) (1,030) ( 961) ( 479) (2,470) (1,050) ( 975) ( 478) (2,503)

구 분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 전체

부 0.4 - 0.2 0.2

모 3.4 2.5 8.2 3.9

(수) (1,024) (1,017) (487) (2,52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