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의약품・의료기기

문서에서 제3장 (페이지 74-82)

<표 II-3-14> 의료서비스업 활성화의 경제적 효과

(단위: 조 원, %, %p, 명)

구분 2011 2017 2020

기본 전망 부가가치 41.9 76.5 103.8

GDP 비중 3.5 5.1 6.3

규제개선 시 부가가치 41.9 99.4 131.5

GDP 비중 3.5 6.7 7.9

차이 부가가치 - 22.9 27.7

GDP 비중 - 1.6 1.6

생산유발효과 - 51.6 62.4

부가가치유발효과 - 18.9 22.8

취업유발효과 - 309,365 374,210 고용유발효과 - 256,462 310,218 자료: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2011년 연장표를 활용한 한국경제연구원 추정

년부터 사전 심사제도를 도입하였고, 제네릭 의약품의 심사과정을 따로 운영하는 등 심사 및 허가 절차의 신속한 진행을 위해 애쓰고 있다. 일 본 정부의 의약품 및 의료기기 산업에 대한 지원도 적극적이다. 일본 정부는 2012년 6월 “제2차 의료혁신 5개년 전략”

26)

, 2013년 6월 “건 강・의료전략”을 잇달아 발표하면서 미래 성장분야로 지정한 의료산업 의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림 II-3-4] 일본 Top 4 제약회사의 매출액 성장률 추이

주: 총자산을 기준으로 한 순위임. 포함 기업은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Daiichi Sankyo Company Limited, Astellas Pharma Incorporation, Eisai Company Limited임.

자료: CEIC Data Manager

다음의 [그림 II-3-4]는 일본 제약회사(의료기기 제조업체 포함) 중 총 자산 상위 4개 사의 매출액 성장률 추이이다.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의료 심사의 규제 완화가 있었던 2009년과 일본정부의 의료산업 지원

26) ‘의료혁신 5개년 전략’은 일본 의약품・의료기기의 국제경쟁력 강화와 재생의료, 개인맞춤 의료 등 차세대 의료 실현이 가능한 체제 구축을 목표로, 이를 위해 ① 규제・제도 개혁 및 통합적 예산 지원, ② 유연한 예산운영, ③ 공통 연구 기반의 집약화・대규모화, ④ 근본 적인 시스템 개혁 및 단기 성공사례 발굴 등을 정책과제로 설정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 원, ‘글로벌 보건산업동향’, 2012. 참조)

계획에 대한 발표가 있었던 2013년에 상위 4개사의 매출액은 전년 대 비 각각 2.1%, 5.4%의 성장률을 기록하였다. 이를 규제개혁의 효과라 고 가정한다면, 인・허가 및 심사의 중복규제 철폐가 시행되었을 경우 우리나라 관련 기업의 성장률도 대략 2~5%에 이를 수 있을 것이라 기 대된다.

우리나라 10대 제약업체 및 의료기기 업체의 매출액은 지난 2010~

2012년 사이 각각 평균 4.1% 및 4.7% 성장했다. 현재의 성장세를 유지

한다면 2020년에 이르면 제약 및 의료기기 부문 매출액은 각각 7.8조

원 및 2.8조 원에 달할 전망이다. 규제개선의 순효과를 구체적으로 가

정하기는 상당히 무리가 있지만, 위에서 설명한 일본의 2013년 사례처

럼 규제개선으로 인해 매출액이 연평균 5.4%씩 증가한다면 아래 <표

II-3-15>처럼 2020년에 이르면 제약 및 의료기기 부문 매출액은 각각

8.6조 원 및 2.9조 원에 달할 전망이다. 따라서 규제개선으로 인한 순

효과는 2020년 의약품 매출 8,130억 증가, 의료기기 매출 1,510억 원

증가로 나타난다. 2011년 산업연관표를 적용할 경우 규제개혁으로 인

해 2020년 예상되는 생산유발효과는 제약 부문의 경우 2.4조 원에 달하

며 부가가치유발효과 5,360억 원, 취업유발효과 6,820명 및 고용유발효

과 5,089명에 달한다. 또한, 의료기기 부문의 경우 생산유발효과는

4,750억 원에 달하며 부가가치유발효과 970억 원, 취업유발효과 1,642명

및 고용유발효과도 1,373명에 달한다.

<표 II-3-15> 의약품 및 의료기기산업 활성화의 경제적 효과

(단위: 십억 원, 명)

구분 2012 2017 2020

기본전망 제약 5,650 6,907 7,791

의료기기 1,909 2,401 2,756

일본 사례 달성

전망 제약 5,650 7,349 8,605 의료기기 1,909 2,483 2,907

차이 제약 442 813

의료기기 81 151

생산유발효과

제약 1,291 2,375

의료기기 256 475

계 1,547 2,849

부가가치유발효과

제약 291 536

의료기기 52 97

계 344 633

취업유발효과

제약 3,708 6,820

의료기기 885 1,642

계 4,593 8,461

고용유발효과

제약 2,767 5,089

의료기기   740 1,373

계 3,507 6,462

자료: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2011년 연장표를 활용한 한국경제연구원 추정

참조 우리나라 기업의 매출 증가율이 글로벌 상위기업 수준으로 증대할 경우

2013년 이후 우리나라 상위 제약업체 및 의료기기업체들의 매출액이

<표 II-3-7> 및 <표 II-3-11>의 글로벌 제약기업 및 의료기기기업들의 평균 매출액 증가율(각각 5.5% 및 4.9%)과 동일하게 증가한다고 가정 할 경우 경제적 효과는 아래 <표 II-3-15-1>과 같다. 또한 글로벌 제약 기업 및 의료기기기업들의 평균 매출액 증가율(각각 5.5% 및 4.9%)보 다 1%p 높다고 가정할 경우 경제적 효과는 <표 II-3-15-2>에 정리되어 있다.

<표 II-3-15-1> 의약품 및 의료기기산업 활성화의 경제적 효과

(단위: 십억 원, 명)

구분 2012 2017 2020

기본전망 제약 5,650 6,907 7,791 의료기기 1,909 2,401 2,756

일본 사례 달성

전망 제약 5,650 7,389 8,680 의료기기 1,909 2,427 2,803

차이 제약 482 889

의료기기 25 46

생산유발효과

제약   1,408 2,595

의료기기 79 146

계 1,488 2,741

부가가치유발효과

제약 318 586

의료기기 16 30

계 334 616

취업유발효과

제약 4,045 7,452

의료기기 274 505

계 4,319 7,957

고용유발효과

제약 3,018 5,561

의료기기 229 422

계   3,247 5,983

주: 2013년 이후 우리나라 상위 제약업체 및 의료기기업체들의 매출액이 <표 II-3-7> 및 <표 II-3-11>의 글로벌 제약기업 및 의료기기기업들의 평균 매출액 증가율(각각 5.5% 및 4.9%)과 동일하게 증가한다고 가정한 경우 자료: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2011년 연장표를 활용한 한국경제연구원 추정

<표 II-3-15-2> 의약품 및 의료기기산업 활성화의 경제적 효과

(단위: 십억 원, 명)

구분 2012 2017 2020

기본전망 제약 5,650 6,907 7,791

의료기기 1,909 2,401 2,756

일본 사례 달성

전망 제약 5,650 7,746 9,360 의료기기 1,909 2,544 3,024

차이 제약 839 1,569

의료기기 143 267

생산유발효과

제약   2,450 4,582

의료기기 450 841

계 2,900 5,422

부가가치유발효과

제약 553 1034

의료기기 92 172

계 645 1,206

취업유발효과

제약 7,037 13,157

의료기기 1,556 2,908

계 8,593 16,065

고용유발효과

제약 5,251 9,818

의료기기 1,302 2,433

계   6,552 12,250 주: 2013년 이후 우리나라 상위 제약업체 및 의료기기업체들의 매출액이 <표 II-3-7> 및 <표 II-3-11>의 글로벌

제약기업 및 의료기기기업들의 평균 매출액 증가율(각각 5.5% 및 4.9%)보다 1%p 높게 증가한다고 가정한 경우

자료: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2011년 연장표를 활용한 한국경제연구원 추정

참고문헌

대한상공회의소, 의료서비스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연구 보고서, 2013.

박정선・곽미숙・한두희・김종엽・이영희, 2012년 의료-IT 융합산업 육성 인프라 구축, 보건산업진흥원・보건복지부, 2013.

변양규 외, 일자리 창출을 위한 서비스 산업 빅뱅 방안, 정책연구 12-12.

한국경제연구원, 2013.

송용주・변양규, 새로운 시장 창조를 위한 의료서비스산업 규제개선의 경제적 효과 추정, 규제연구 제22권 특집호 pp.37-78, 2013.

신현희・김학만・황슬기, 의료기관 교통유발부담금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KIHM 2013 -01. 한국병원경영연구원, 2013.

조은, 국산 의약품 선진시장 진출을 위한 최신 규제동향분석 및 극복방 안 연구, 식약청 용역연구개발과제 최종보고서, 2011.

조재국・원종욱・윤강재・김진우・한동운, 국민생활건강관리체계 개선방안 연구, 정책보고서 2010 -89. 한국보건사회연구, 2010.

한국경제연구원, KERI 경제전망과 정책과제, 2014년 4월호, 2014.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글로벌 보건산업동향, Vol.11, 2012.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2 보건산업백서, 2012.

규제개혁 과제 연구진

김현종

_ 한국경제연구원 기업정책연구실장, 총괄

변양규

_ 한국경제연구원 거시정책연구실장

유진성

_ 한국경제연구원 공공정책연구실 연구위원

최원락

_ 한국경제연구원 기업정책연구실 연구위원

신석훈

_ 전국경제인연합회 경제본부 기업정책팀장

이진영

_ 한국경제연구원 거시정책연구실 부연구위원

정회상

_ 한국경제연구원 기업정책연구실 부연구위원

김윤경

_ 한국경제연구원 기업정책연구실 부연구위원

김미애

_ 한국경제연구원 기업정책연구실 선임연구원

정승영

_ 한국경제연구원 기업정책연구실 선임연구원

송용주

_ 한국경제연구원 기획조정실 연구원

이상영

_ 명지대학교 경영학부 부동산학과 부교수

김현아

_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건설경제연구실장

최성락

_ 동양미래대학교 경영학부 조교수

박민영

_ 인하대학교 아태물류학부 부교수

문서에서 제3장 (페이지 74-82)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