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유전자는 형질을 결정한다

과목 과학, 미술, 수학 수업

차시 8차시

단원 유전과 진화

학습목표

1. 유전 현상에 대한 과학 이론의 발달 과정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2. 같은 부모에게서 나온 자식의 모습이 다른 이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과학과 기술의 상호 관계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STEAM 단계 요소 상황 제시

∙ 미래의 내 아이의 모습을 어떻게 예측할 수 있을지, 그러한 예측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에 대한 상황을 제시한다.

∙ 2030년 개인 ID가 유전정보의 형태로 사용되는 상황을 제시한다.

창의적 설계 ∙ 같은 부모에게서 나온 자식의 모습이 다른 이유에 대해 생각해 본다.

∙ 미래의 자손 예측이 어떠한 정보를 바탕으로 만들어질지 예상해본다.

감성적 체험

∙ ‘운명의 주사위’를 만들어 미래의 ‘내 아이’의 모습을 그림으로 표현한다.

∙ 과학 발전과 기술 발달의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대하여 생각해본다.

∙ 과학자의 올바른 자세와 태도에 대하여 생각해본다.

단계 교수 학습 활동 교수 학습 자료

(■ 자료 ※유의점) 도입

(5분)

◉ 이 모든 것은 필연적 우연

• 운명의 주사위 만들기

- 주사위를 만들면서, 우성 주사위/우열 주사위의 의미에 대 해서 생각해본다.

- 내 배우자로 어떤 사람을 할지 선택한다.

■ 사면체 주사위 전개도

※ 6~8차시 전/후로 멘델 의 유전 법칙에 대한 교실 수업 진행

■ 피피티 자료

학습 과정 (15분)

◉ 이 모든 것은 필연적 우연

• 운명의 주사위를 던져라.

- ‘나’와 ‘배우자’의 표현형과 표현형의 우성/열성 여부를 형 질대조표에 작성한다.

- ‘운명의 주사위’를 던져 미래의 ‘내 아이’의 형질을 표에 표시한다.

- 내 아이 형질표를 바탕으로 미래의 내 아이 얼굴을 그린다.

- 같은 부모에게서 태어난 형제·자매의 얼굴이 각각 다른 이 유에 대하여 이야기한다.

학습 과정 (15분)

◉ 세 과학자의 이야기

• 유전 이론, 염색체설, 유전자설

- ‘세 과학자의 이야기’ 읽기 자료를 읽고, 과학자들의 사고 과정과 자신의 사고 과정을 비교한다.

- 과학 발전과 기술 발달의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대하여 생 각해본다.

- 과학자의 올바른 자세와 태도에 대하여 이야기한다.

- 과학 지식의 발전 과정에 대하여 생각해본다.

※ 과학사 자료를 통하여 학생들은 자신들의 사고가 과학자들의 사고와 유사함 을 알 수 있다.

※ 역할극 형태로 운영할 수 있다.

마무리 (10분)

◉ 유전자는 형질을 결정한다. [선택형]

• ‘가타카’ 영상

- 가타카 영상을 보면서 미래에는 피 한방울 속에 들어있는 유전 정보를 이용하여 아이의 삶을 예측하는 것이 현실이 될 수 있음을 알려준다.

• 유전자 카드

- 2030년, 개인의 유전 정보가 상용화되어 있는 가상 상황 에 대한 읽기 자료를 읽는다.

- 수학적 확률을 기반으로 ‘나’와 ‘배우자’로부터 태어날 수 있는 유전 정보가 서로 다른 아이의 경우의 수를 계산한다.

※ 선택형 프로그램로 상황 에 따라서 적용 여부를 결 정할 수 있다.

※ 정확한 숫자를 계산하기 보다 경우의 수가 매우 많 다는 것에 초점을 두어, 유 전적 정보가 같은 아이가 태어날 확률은 매우 낮다는 사실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유의

사항 ※ 시간 배분을 잘 고려하여 학습 과정에 맞는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평가 계획

평가 영역 평가내용 평가방법

창의적 설계 • 같은 부모에게서 나온 자식의 모습이 다른 이유에 대하

여 논리적으로 설명하는가? 구술평가

감성적 체험 • ‘운명의 주사위’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가?

• 다른 친구들의 발표를 주의 깊게 경청하는가?

산출물평가 관찰평가

8 . 유전자는 형질을 결정한다.

1] 이 모든 것은 필연적 우연

<운명의 주사위를 던져라 - Mendelian Dice>

내 얼굴은 둥글둥글하고, 코는 길쭉하며, 눈꼬리는 살짝 올라가 있고…

지금의 내 모습은 유전물질을 통해서 엄마와 아빠에게 반반씩 물려받았지요.

그런데 지금의 내 모습은 과연 어떻게 결정된 것일까요?

앞으로 낳게 될 내 아이의 모습은 또 어떻게 결정되는 것일까요?

이것은 우연일까요? 아니면 필연일까요?

운명의 주사위를 던져 봅시다!

<형질 대조표>

우성 열성 우성 열성

M 자형 머리 보통 머리

곱슬머리 생머리

둥근 얼굴 긴 얼굴

사각 턱 브이라인 턱

긴 눈썹 짧은 눈썹 쌍꺼풀 외꺼풀

일자 눈 사선 눈 큰 눈 얇은 눈

좁은 코 넓은 코

큰 콧구멍 작은 콧구멍

분리형 귓불 부착형 귓불 긴 귀 짧은 귀

두꺼운 입술 얇은 입술

보조개 있음 보조개 없음

1) 두 종류의 사면체 주사위를 만듭니다.

- 우성 주사위(분홍색) : 우성 형질 세 칸, 열성 형질 한 칸 - 우열 주사위(빨간색) : 우성 형질 두 칸, 열성 형질 두 칸

우성 주사위의 의미 ­ 보통 우성 형질은 동형으로 존재하기 보다는 이형으로 존 재한다. 따라서 우성의 유전자형을 이형으로 간주하고 자손에서 3:1의 비율로 나타남을 표현한 것이다.

우열 주사위의 의미 ­ 우성은 이형 열성은 동형을 가정하여 자손에서 1:1의 비 율로 형질이 나타나게 된다.

2) 형질대조표를 보며 배우자의 얼굴과 내 얼굴을 살펴봅시다.

① 두 사람의 표현형을 살펴보고, 우성인지 열성인지 확인하며 다음 표를 채워 봅시다.

배우자

운명의 주사위를

던져라!

자식

표현형 표현형 표현형

머리 (우,열) (우,열) (우,열)

(우,열) (우,열) (우,열)

얼굴 (우,열) (우,열) (우,열)

(우,열) (우,열) (우,열)

(우,열) (우,열) (우,열)

(우,열) (우,열) (우,열)

(우,열) (우,열) (우,열)

(우,열) (우,열) (우,열)

(우,열) (우,열) (우,열)

(우,열) (우,열) (우,열)

(우,열) (우,열) (우,열)

(우,열) (우,열) (우,열)

(우,열) (우,열) (우,열)

(우,열) (우,열) (우,열)

② 운명의 주사위를 굴려 내 아이의 모습에 표시해 봅시다.

▸ 나와 내 배우자가 가지고 있는 형질이 모두 우성이라면 우성 주사위를 던집니다.

▸ 한 명은 우성이고 한명이 열성이라면 우열 주사위를 던집니다.

▸ 둘 다 열성형질인 경우에는 주사위를 던지지 않고 그 형질을 그대로 사용합니다.

3) 나와 배우자 ________사이 아이의 모습은

4) 모든 것은 필연적 우연의 의미가 무엇일까요?

나와 내 배우자의 유전자들은 우연적 확률로 조합되어 내 아이의 형질을 결정한다. 하지 만 결국은 모든 것이 나와 내 배우자의 유전자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다. 내 아이의 모 습이 나와 닮은 듯, 닮지 않은 듯, 닮아 보이는 것은 “필연”인 것이다.

5) 같은 부모에게서 태어난 형제자매의 얼굴, 심지어 쌍둥이의 얼굴도 각각 다른 이 유에 대해 생각해봅시다.

형질을 결정하는 것은 유전자의 영향이 큰 편이긴 하지만 환경적인 영향도 있다. 또 형 질이 이분법적으로 결정되기보단 여러 가지 유전 인자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결정된다.

피피티 자료를 활용한다.

2] 세 과학자의 이야기

역할극의 형태로 수업을 진행하도록 한다.

기자 : 안녕하세요. 유전학 산책입니다. 오늘은 멘델, 서튼, 모건 세 분의 과학자님들을 모시고, 유전 이론, 염색체설, 유전자설의 대통합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멘 델 선생님. 먼저 선생님 연구에 대해서 설명 좀 부탁드립니다.

멘델 : 나는 수도원에서 완두콩을 기르며, 콩의 형질을 관찰하였네. 콩들을 잘 살펴보면 노란콩과 초록콩, 쭈글 쭈글한 콩과 매끈한 콩, 키가 큰 완두와 작은 완두처럼 둘 중 하나의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지.

우리의 몸의 형질도 이처럼 이분법적으로 결정되고, 따 라서 이를 결정하는 ‘유전물질’이 우리 몸에 한 쌍씩 있 을 것이라고 생각했지.

기자 : 그런데 노란콩과 초록콩의 유전물질이 한 개체 속에 함께 있다면 어떻게 되는 것 인가요? 초록과 노란 색이 섞여 있는 완두콩은 본 적이 없는데요.

멘델 : 그렇지! 그래서 나는 두 유전물질 중 우월한 것이 있지 않을까 생각했었네. 우월한 물질이 둘 중 하나의 형질이 나타나게 하는 것이지. 실험 결과 난 노란 콩이 초록 콩보다 우월하다는 결론 을 얻었다네.

기자 : 그렇다면 그 ‘유전물질’은 어디서 전해오는 것일까요? 실제로 관찰은 하셨나요?

멘델 : 아주 쉽게 상상할 수 있지 않은가? 바로 부모에게서 하나씩 물려받으면 되겠지! 하지만 난 그것이 무엇인지 내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없었다네. 내가 살던 시대에는 현미경이 없었거든…

서튼 : 제가 살던 시기는 현미경이 개발되었고, 염색법이 발달하면서 세포 안을 들여다 볼 수 있었 습니다. 기술의 발전은 우리가 상상하기만 했던 것들, 상상조차 하지 못하던 것들을 눈앞에 펼쳐놔 주었지요. 저는 세포 속에 애벌레처럼 염색되어 있는 “염색체”에 관심을 가졌습니다. 그리고 세포 속의 염색체가 쌍을 이루어 결합되었다가 곧 분리되는 것을 관찰하였지요. 멘델 선생님이 볼 수 없 었던 그 실체가 바로 이것이 아닐까요?

모건 : 저는 멘델 선생님의 이론을 받아들일 수 없었습니다. 왜냐하면 사실에 기반하지 않은 상상은 의미가 없다고 생각했었기 때문이죠. 또 실제로 많은 부분들은 이분법적인 형질보다 훨씬 복잡하게 구성되어있기도 했었고요. 이분법적인 형태 로 나타나지도 않았습니다. 그래서 저는 서 튼 선생님께서 말씀하신 염색체설도 믿지 못하였고, 성염색체가 발견되었음에도 불구 하고 저는 이 모든 것을 믿지 못하겠다는 제 주장을 굽힐 수 없었습니다. 왜냐하면 저는 오직 실험에 의해서 발견된 증거만을 추구하였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저는 실험 에 실험을 거듭하였고, 그러던 어느 날 제 가 연구하고 있는 ‘파리방’에서 저는 기적 과 같은 돌연변이를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그것은 바로 흰 눈 초파리였지요.

기자 : 부모가 모두 정상 초파리, 그러니까 붉은 눈 초파리인데 갑자기 흰 눈 초파리가 나왔다는 말씀이신가요?

모건 : 네, 그렇습니다. 저는 사실 이 돌연변이가 진화 현상을 설명해줄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더프 리스라는 선생님은 돌연변이에 의해서 진화가 이루어졌다고 말씀하셨고, 저는 그것을 증명하고 싶 었지요. 하지만 눈 색의 변화는 진화가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을만큼 큰 변화는 아니었습니다.

기자 : 아 그럼 새로운 돌연변이의 발견의 기쁨보다는 실망이 크셨겠어요.

서튼이 관찰한 염색체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