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웰니스 관광에 관한 연구 동향

웰니스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초기 신체·육체적 표현에서 점차 정신적, 심리적, 사회 적, 지적 등 내면적인 치유 및 균형적 개념으로 변화하고 있다.

<표 2-12> 웰니스(Wellness)의 관한 연구 동향

구분 내용

Dunn(1961) 신체적, 육체적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개인의 잠재력을 극대화하는 과정.

Travis(1978) 자신에 대한 인식과 지식을 통해 높은 상식의 삶을 유지하는 것.

Ardell(1986) 자신의 능력 안에서 최고 수준의 건강을 추구하기 위한 생활방식

Conrad(1994) 자신의 생활방식을 건강증진 행동으로 변화시키는 것

O’Donnel & Garner

& Woodruff(1998)

신체적, 정신적, 심리적, 사회적, 정서적, 지적 측면에서 일관되고 균형 있는 성장을 가능케 하는 생활방식

Corbin & Pangrazi

(2001) 한 사람이 삶에 어떻게 느끼는가에 대한 개임의 긍정적인 건강 상태 Payne & Hahn

(2002)

삶의 과정을 통해 지속적 웰빙을 느끼는 것을 목표로 성장과 발전을 가져오는 활동에 완전히 참여하기 위해 건강의 각 차원 안에서 내적, 외적 자원을 사용하는 능력 Harari, Waehler

& Rogers(2005) 개인들의 신체적, 심리적, 정신적 웰빙의 균형과 통합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

National Wellness Institute(2007)

건강과 웰빙에 대한 자기 책임을 기반으로 하여 궁극적으로 바람직한 삶을 만들고 인식하는 적극적인 과정으로 자신의 잠재력을 발휘하여 끊임없이 자각하는 삶.

김상국·이광욱

(2005) 몸과 마음을 최적의 웰빙(optimal well-being) 상태로 만드는 것.

최문종 외(2015) 건강의 개념에 신체적, 정신적, 영적 건강이 서로 유기적으로 통합된 웰빙(well-being)과 최적의 건강을 향한 삶의 방식

유숙희(2018) 건강에 대한 자기 책임을 중심으로 하는 잠재력을 실현하는 과정으로 건강과 정신 모든 요소을 통합하여 최상의 웰니스

자료: 연구자 선행연구 활용하여 내용 정리

Mehran(2020)은 최근 유럽의 관광산업에서 널리 쓰이는 웰니스 용어 및 웰니스 관광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건강 관광의 하위 범주인 웰니스 관광에 대한 시장분석을 통해 호텔산 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Smith와 Puczko(2008)는 『웰니스(wellness) 혁명』이 라는 저서에서 건강 관광산업에서 웰니스 요법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웰니스와 의료 산업에 서의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포스트모더니즘 사회 특히 서구의 선진국에서 사람들의 실존적 소외감, 공동체와 전통의 붕괴로 고립감, 우울, 스트레스 등의 감정이 악화하였으며 많은 사람이 일상에서 거의 해결할 수 없는 방식으로 여행을 도피나 신체, 마음, 정신을 회복 시키는 수단으로 영성 관광에 대한 욕구를 가지게 되었다고 하였다. Kunwar와 Sharma(2020)는 웰니스 관광의 틈새시장에서 요가 관광이 안녕감을 느끼려는 여행 추세와 함께 나타나고 성장해 왔다고 하였다. 미국의 인디아나 중부에 있는 요가센터 방문객을 대상 으로 한 인터뷰와 설문을 통해 요가에 대한 개인의 몰입수준과 정신적 웰니스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 연구결과 요가 관광의 동기는 신체적 상태와 정신적 웰빙을 향상하고 영성을 추구하 며 부정적인 감정을 조절하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Vigt et al.(2010)는 연구를 통하여 웰니스 관광이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 웰빙을 가능하게 하며, 향상할 수 있도록 특 별하게 준비된 장소에서 적어도 하루 이상 머물며 그들의 건강과 웰빙을 유지, 증진하는 목적 의 여행” 으로 정의하였다. Kelly(2012)는 명상 센터 방문객의 동기와 경험을 통해 웰니스 관광의 전문적인 하위영역으로 명상관광(retreat tourism)을 연구하였다. Koncul(2012) 은 급성장하고 있는 오늘날의 관광산업 분야에서 혁신적인 시각으로 관광객의 다양한 동기의 범위와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한 관광 개발 및 다양한 국제 웰니스관광 사례연구를 통해 스파숍, 의료 웰니스, 명상, 순례 및 요가 휴양지를 웰니스 관광지로 제시하였다.

Kucukusta와 Heung(2012)은 웰니스관광 산업의 공급자 관점에서 중국에서의 웰니스 관광의 문제점에 대해 지적하였다. 연구결과 숙련된 직원, 미흡한 협력관계, 부족한 시설, 매 력물 등이 주요한 장애물로 추출되었다. Huang과 Xu(2014)는 중국에서 건강과 웰니스 관 광에 대한 문화적 관점에 관해 연구하였다. 연구에서 중국인 웰니스 관광객의 행동은 전통적 인 중국 웰니스 문화에 의해 매우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Voigt, Brown, and Howat(2010)는 뷰티스파, 라이프스타일 리조트, 명상 등 세 가지 유형의 웰니스 관광객이 추구하는 편익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들은 반 구조화된 인터뷰를 통해서 초월 (transcendence), 신체적 건강과 외모, 도피와 휴식, 중요한 사람들, 신기성 등 여섯 가지 의 추구 편익을 추출하였다. Medina-Muñoz와 Medina-Muñoz(2013)는 스페인의 그란카

나리아에 있는 웰니스센터를 방문한 웰니스 관광객에 관한 탐색적 연구를 통해 건강과 웰니 스 관광목적지에 대한 선택속성을 제시하였다. 조사결과 웰니스 관광지를 방문한 방문객들은 조용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호텔, 일조량이나 기온 등 웰니스와 휴식에 적합한 기후조건, 자 신에 대한 개별적인 관심, 균형 잡힌 건강식 제공, 휴식을 위한 마사지, 아로마, 얼굴 및 전신 피부미용 등을 주요한 웰니스 관광지 선택속성으로 응답하였다. Choi, Kim, Lee, and Hickerson(2015)은 진안홍삼스파를 방문한 방문객의 스파경험에 대하여 지각된 기능적, 웰니스 가치 평가를 통해 스파솝 관광객의 향후 의사결정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스파 솝 관광객은 스파숍 경험을 통해 삶의 질을 개선하고 건강증진, 삶의 활력을 부여하고 긴장감 을 완화하는 웰니스 가치를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oodarzi, Haghtalab, and Shamshiry(2016)는 이란의 세 레인에서의 웰니스 관광에 대한 SWOT 분석을 통해 아직 초기 단계에 있는 이란에서 건강과 관련된 관광에 대한 전망을 분석하였다.

Noland(2020)는 웰니스를 질병의 반대 개념뿐만 아니라, 인간이 건강을 추구하는 최적의 상태로 도달하기 위한 행위 및 노력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Pauer와 O’Donnell(2020)은 웰니스 리조트에서 제공하는 웰니스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 구에 따르면 힐리언스선마을에서 힐링 다이어트 캠프에 참가한 참가자들의 프로그램 전후를 비교한 결과 건강 웰니스 지표인 참여자의 감정, 정서, 에너지 상태가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 었으며 신체적 지표인 체중 및 체지방량도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Jones, Carlton, Hyun, Kanters, and Bocarro(2020)는 레저스포츠 관광 활동 유형 에 따른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와 여가 만족, 웰니스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연구에 의하면 레크 리에이션 전문화는 웰니스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여가 만족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Belova와 Fedina-Zhurbina(2020)는 웰니스 리조트 개발에 대한 탐색 을 목적으로 잠재관광객의 시설 선호도 및 대안 선택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웰니스 시 설 중 문화 활동과 휴식을 취하는 자연형 휴양리조트가 가장 선호도가 높았으며, 그 다음은 체험 및 자연 휴양형, 친환경 건강테마파크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Milhausen et al.

(2020)은 국내 여행자를 대상으로 여행 활동에서 건강에 이바지하는 요인을 탐색하고 요인 들이 여행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에 따르면 여행 활동을 통해 긍정적인 기분 제공, 사회적 관계 및 지지, 신체활동 증가, 자신감 및 자아존중감 증대, 영양, 입맛, 소화, 활기 향상 등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여행 만족과는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와 함께 Sheldon(2020)은 힐링 관광과 관련된 관광자원개발 사례분석을 통해 건강 관광,

의료관광, 웰니스 관광 간의 개념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힐링이나 힐링 관광은 학문적인 용어이기 보다 산업을 중심으로 형성된 마케팅 용어에 가 까우며, 학문적으로는 웰니스 관광이라는 용어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Buzinde(2020)는 힐링 관광은 개념적으로 크게는 건강 관광에 속하면서 건강 관광의 하위 범주인 웰니스 관광의 하나의 유형으로 분류되며 명상, 요가, 트레킹, 스파숍, 치료 음식 등 이 핵심 콘텐츠인 것으로 나타나고, 건강과 웰빙에 중요한 요소인 영적 안녕이 관광객의 정신 적 건강과 사회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여행 활동에서 체 험하는 영적인 안녕감은 정신적 사회적 건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ark, Bonn, & Cho(2020)는 음식 관광 동기 세분화를 통해서 음식관광의 세계화 전략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연구결과 음식 관광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는 흥미, 이미지, 영양 지식, 경험, 휴식 순으로 나타났다. 최근 웰니스 관광에 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농어촌 지역의 웰니스(wellness) 관광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농어촌 지역의 체류형 관광 상품을 중 심으로 한 웰니스 클러스터 구축을 제안하는 연구결과도 있었다(Matthew et al., 2019).

Zheng et al.(2019)는 미술품 전시 및 공연을 관람한 예술관광자의 웰니스를 중심으로 삶의 질과 행복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Chi와 Ouyang(2019)은 호텔 고객의 웰 니스 지각이 물리적 환경에 대한 평가와 호텔 레스토랑에 대한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 석하였다. 연구에 따르면, 고객의 지적, 감정적, 사회적 웰니스는 물리적 환경에 대한 평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평가는 레스토랑 이용 의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Zheng et al.(2019)는 미술품 전시 및 공연을 관람한 예술관광자의 웰니스를 중심으로 삶의 질과 행복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Chi와 Ouyang(2019)은 호텔 고객의 웰 니스 지각이 물리적 환경에 대한 평가와 호텔 레스토랑에 대한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 석하였다. 연구에 따르면, 고객의 지적, 감정적, 사회적 웰니스는 물리적 환경에 대한 평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평가는 레스토랑 이용 의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