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Ⅰ. 서론

4. 용어정의

1) 하지 골관절염

이론적 정의: 하지 골관절염은 관절염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점진적인 관절연골의 소실로 인해 통증, 강직, 붓기를 유발하며 주로 무릎, 고관절에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한다(Centers for Disease Control [CDC], 2019).

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 하지 골관절염은 무릎이나 고관절 등에 골관절 염으로 진단받고 6 개월 이상 통증, 강직, 붓기를 느끼는 경 우를 의미한다.

2) 낙상예방프로그램

이론적 정의: 낙상예방프로그램은 낙상 위험요소인 생물학적 특성, 행동 특성, 환경적 특성을 고려하여 낙상을 감소시키고 건강과 자립을 유지하도록 돕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CDC, 2019).

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 낙상예방프로그램은 재가 골관절염 노인의 낙 상예방을 위해 King (1981)의 목표달성이론을 기반으로 상 호작용을 통한 교육, 운동, 정서지지, 목표설정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3) 신체적 영역 (1) 관절염 지표

이론적 정의: 관절염 지표는 골관절염 환자의 기능 상태와 특정 과제의 제한정도를 의미한다(Oh & Yi, 2014).

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 관절염 지표는 Bellamy, Buchanan, Goldsmith, Campbell과 Stitt (1988)에 의해 개발된 Westario Ontaria and McMaster Universities Index [WOMAC]를 Bae 등 (2001)이 번안 및 수정 보완한 K-WOMAC을 사용한 도구 로 관절통증, 강직 및 일상생활의 어려움 정도를 측정한 점 수를 의미한다.

(2) 근력

이론적 정의: 근력은 하나의 근육 또는 근육 군이 부하에 저항하여 발생 하는 힘을 의미한다(Moreland, Richardson, Goldsmith, &

Clase, 2004).

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 근력은 의자에 앉았다 일어서기 검사로, 하지 근력측정을 위해 가능한 한 빨리 의자에서 앉았다 일어서 는 동작을 5회 반복하여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한 값을 의 미한다(Medina-Mirapeix et al., 2018).

(3) 보행능력

이론적 정의: 보행능력은 협응, 균형, 운동감각, 관절 및 근육의 통합작용 이 요구되는 고도의 조화를 이루는 복잡한 운동을 의미한 다(박미애, 2009).

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 보행능력은 Mathias, Nayak와 Issacs (1986)가 개발한 3m 돌아와 앉기 검사로, 팔걸이가 없는 의자에 앉 은 상태에서 팔을 사용하지 않고 일어나 3m를 걸어갔다가 다시 돌아와서 의자에 앉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2회 측정한 평균값을 의미한다.

(4) 균형감

이론적 정의: 균형감은 주위와의 상대적 신체의 위치로 몸의 움직임을 제 어하기 위해 운동반응을 이용하는 능력을 의미한다(Tander et al., 2016).

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 균형감은 Kirkendal, Gruber와 Johnson (1987) 의 눈 뜨고 한 발로 서는 시간을 측정한 값으로, 양 다리를 각 2회 초시계로 측정한 평균값을 의미한다.

4) 심리적 영역 (1) 낙상두려움

이론적 정의: 낙상두려움은 낙상과 관련하여 일상생활 활동을 제한하는 지속적인 우려를 의미한다(Delbaere, Smith, & Lord, 2011).

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 낙상두려움은 Tideiksaar (1997)가 개발한 낙 상두려움 척도(Fear of Falling Questionnaire [FOFQ])를 최정현, 문정순과 송경애(2003)가 번역하여 사용한 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의미한다.

(2) 낙상효능감

이론적 정의: 낙상효능감은 일상생활을 수행하는 동안 낙상하지 않을 자 기 확신의 정도를 의미한다(O'Halloran et al., 2011).

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 낙상효능감은 Tinetti, Richman와 Powell (1990)이 개발한 낙상효능감 척도(Fall Efficacy Scale [FES])를 최정현 등(2003)이 번역하여 사용한 도구로 측정 한 점수를 의미한다.

5) 환경적 영역 (1) 가정환경 위험

이론적 정의: 가정환경 위험은 가정에서 미끄러운 바닥, 불충분한 조명,

느슨한 깔개, 불안정한 가구배치로 낙상발생 가능한 잠재적 인 위험을 의미한다(Lord, Menz, & Sherrington, 2006).

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 가정환경 위험은 Tideiksaar (1997)가 개발한 가정환경조사지(Home Environmental Checklist [HEC])를 바탕으로 김종민(2009)이 한국노인의 가정환경에 적합하게 수정한 가정환경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의미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