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Ⅲ. 연구방법

3. 연구도구

연구도구는 일반적 특성, 신체적 영역(낙상횟수, 관절염 지표, 근력, 보행

능력, 균형감, 체질량 지수), 심리적 영역(낙상두려움, 낙상효능감), 환경적 영역(가정환경 위험)으로 구성하였다. 낙상두려움, 낙상효능감, 가정환경 위 험 측정도구는 개발자의 사용 승인을 받은 후 사용하였다.

1) 일반적 특성

일반적 특성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구성 내용은 인 구학적 특성으로 성별, 연령, 결혼상태, 동거가족, 종교이며, 건강 관련 특성 으로 건강행동, 약물종류, 보조도구 사용, 어지러움, 골관절염 진단시기이고, 낙상관련 특성으로 낙상교육 경험, 낙상경험으로 총 12문항이다.

2) 신체적 영역 (1) 낙상 횟수

낙상 횟수는 최근 2개월 이내에 발생한 낙상 횟수를 측정하였다. 실험군 의 경우 프로그램 참여 전 낙상일지가 포함된 낙상예방 책자를 배부 받고, 낙상일지에 낙상횟수를 작성한다. 낙상일지는 프로그램 종료 8주 후 수거하 여 낙상 횟수를 합산 측정하였다. 대조군의 경우 사후 조사 설문지 작성 시 최근 2개월 동안의 낙상 횟수를 작성한다.

(2) 관절염 지표

관절염 지표는 Bellamy 등(1988)에 의해 개발된 도구(WOMAC)를 Bae 등(2001)이 번안 및 수정 보완한 K-WOMAC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K-WOMAC은 통증 5문항, 강직 2문항, 일상생활 어려움 17문항으로 총 24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5점 Likert 척도에서 0점(없음)부터 4점(매우 심함)까 지 가능하고, 통증은 0-20점, 강직은 0-8점, 일상생활 어려움은 0-68점 범 위에서 점수화된다. 점수가 높을수록 통증, 강직, 일상생활 어려움이 심한 상태를 의미한다. 본 도구의 개발당시 Cronbach’s α=.85 (통증, Cronbach’s α=.86; 강직, Cronbach’s α=.86; 일상생활 어려움, Cronbach’s α=.91)였고, Bae 등(2001)의 연구에서 Cronbach’s α=.97 (통증, Cronbach’s α=.89; 강직, Cronbach’s α=.81; 일상생활 어려움, Cronbach’s α=.96)이었다.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96 (통증, Cronbach’s α=.84; 강직, Cronbach’s α=.86; 일상생 활 어려움, Cronbach’s α=.96)이었다.

(3) 근력

근력은 의자에 앉았다 일어서기 검사로 측정하였다(Medina-Mirapeix et al., 2018). 측정방법은 가슴위로 양팔을 팔장 낀 상태로 가능한 빨리 의자 에서 앉았다 일어서는 동작을 5회 반복하도록 하여 5회 완료하는데 걸리는 시간(초)을 측정하였다. 측정값이 낮을수록 근력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4) 보행능력

보행능력은 Mathias 등(1986)이 개발한 3m 돌아와 앉기 검사로 측정하였 다. 측정방법은 팔걸이가 없는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팔을 사용하지 않고, 스스로 의자에서 일어나 평상시 보행 속도로 3m를 걸어갔다가 다시 돌아 와서 의자에 앉기까지 걸리는 시간(초)이다. 초시계를 이용하여 2회 반복 측정 하고 평균값을 기록하며. 대상자가 평소 사용하던 보조기나 지팡이 등 의 보행도구를 허용하지만 다른 사람의 신체적 도움은 제한하였다. 측정값 이 낮을수록 보행능력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5) 균형감

균형감은 Kirkendal 등(1987)이 개발한 외발서기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눈을 감은 상태에서 한 발은 바닥을 집고 다른 발은 5cm정도 올린 다음 공중의 다리가 바닥에 닿거나 균형을 잃을 때까지의 시간(초)을 초시계로 2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기록하였다. 오른발로 균형을 잡고 서있을 때는 오른쪽 균형감, 왼발로 균형을 잡고 서있을 때는 왼쪽 균형감을 측정 하였다. 측정값이 높을수록 균형감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6) 체질량 지수

체질량 지수(BMI)는 신장과 체중을 측정하여 체중(kg)/신장(m)²의 식으

로 산출하여 측정하였다. 체중은 디지털 체중계(HE-G2, CAS, Korea)를 사 용하여 측정했으며, 신장은 정수리부터 발뒤꿈치까지 미터(meter) 단위의 줄자로 측정하였다(대한비만학회, 2018). 측정값이 높을수록 체질량 지수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3) 심리적 영역 (1) 낙상두려움

낙상두려움은 Tideiksaar (1997)가 개발한 낙상두려움 도구(FOFQ)를 최 정현 등(2002)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11가지 일상생활 활동 에 대한 두려움의 정도를 전혀 피하지 않음 1점, 거의 피하지 않음 2점, 종 종 피함 3점, 항상 피함 4점 척도로 되어 11점에서 44점으로 점수가 높을수 록 낙상두려움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도구의 신뢰도는 개발당시 Chronbach’s α=.94였고, 최정현 등(2002)의 연구에서는 Chronbach’s α=.92 였다. 본 연구에서 Chronbach’s α=.91이었다.

(2) 낙상효능감

낙상효능감은 Tinetti 등(1990)이 개발한 낙상효능감 척도(FES)를 최정현 등(2002)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낙상방지와 관련된 자신감 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총 10문항으로 구성되며, 최저 10점에서 최고 100 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낙상효능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도구의 신뢰도 는 개발당시 Cronbach‘s α=.96이었고, 최정현 등(2002)의 연구에서 Cronbach‘s α=.81이었다. 본 연구에서 Chronbach’s α=.93이었다.

4) 환경적 영역 (1) 가정환경 위험

가정환경 위험은 Tideiksaar (1997)가 개발한 가정환경 조사지(HEC)를 바탕으로 김종민(2009)이 한국노인의 가정환경에 적합하게 수정 보완한 도 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도구는 집 전체, 주방, 화장실과 욕실, 계단 과 복도의 4개 장소에 대해 14개 항목과 화장실 형태에 대한 1문항으로 총

1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 항목에 대하여 안전은 0점, 위험은 1점으로 최 저 0점에서 최고 15점까지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위험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도구의 신뢰도는 김종민(2009)의 연구에서 Cronbach‘s α=.73이었고,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71이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