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Ⅱ. 문헌고찰

3. 연구의 개념적 기틀

본 연구의 개념적 기틀은 King (1981)의 목표달성이론(theory of goal attainment)을 바탕으로 구성되었다. 목표달성이론은 간호사와 대상자가 지 각(perception), 판단(judgment), 행위(action), 반응(reaction)을 통해 상호작 용(interaction)과 교류작용(transaction)에 근거를 두고 목표달성(goal attained)을 이루어가는 일련의 과정이다(King, 1981)(그림 1). 목표달성이론 의 간호목표는 간호사와 대상자가 의도적으로 상호작용하여 개인(personal systems: individuals), 대인관계인 집단(interpersonal systems: groups), 사 회관계인 지역사회(social systems: society)의 건강을 도모하는 것이다 (King, 1981).

피드백 Perception

(지각) Judgment

(판단)

Nurse Action (행위)

Goal Attainment

(목표달성) Reaction Interaction Transaction

(반응) (상호작용) (교류작용) Patient Action

(행위) Judgment

(판단) Perception

(지각)

피드백

그림 1. King (1981)의 목표달성이론

King (2007)의 21세기 목표달성이론은 집단적으로 수행하는 대인관계 기 술을 강조하였으며, 다양한 개인적 특성을 고려한 진실성(honesty),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 다문화적 이해(multicultural understanding)가 필요 하다고 하였다. 또한 21세기 기술 발전과 지식의 변화로 의사소통과 상호작 용하는 방식이 변화하였다(King, 2007).

목표달성이론의 개념을 살펴보면, 첫째, 지각은 개인이 환경이나 환경자 극으로 부터의 경험으로 개인이 가지는 과거의 경험과 현재 세계에 대한 개인적인 이미지와 목표에 대한 기대이다. 둘째, 행위와 반응은 개인의 지 각과 판단이 상호작용 안에서 행위로 나타나며, 간호사는 대상자에게 반응 하고 대상자는 간호사에게 반응하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 개인의 지각, 판 단, 행위, 반응은 직접적으로 관찰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호작용 내에서 추 론된다. 셋째, 상호작용은 생각과 감정을 교환하고 타인을 위해 무엇가를 하는 것으로 간호사와 대상자가 설정한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능동

적으로 활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교류작용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인간이 환경과 의사소통하는 의도적인 상호작용이다(Draaistra, Singh, Ireland, & Harper, 2012; Killeen & King, 2007).

King (1981)의 목표달성이론은 목표달성을 가능하게 하는 필수 요소가 있다. 이는 교류작용으로 유도하기 위한 상호작용 과정이며, 행위(action), 반응(reaction), 장애 및 문제 사정(disturbance or problem), 상호 목표 설 정(mutual goal setting), 목표달성을 위한 방법모색(explore means to achieve the goal), 합의(agree on means to achieve the goal), 교류작용 (transaction: implement means)이다.

King (1981)의 목표달성이론을 기반으로 골관절염 노인에게 적용된 연 구는 없으나 간호 실무에서 급성질환, 만성질환, 지역사회, 병원 등에서 적 용되고 있으며, 대상자는 영유아에서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대상자 에게 적용되었다(Frey, Sieloff, & Norris, 2002)(부록 3-2). 간호사와 대상자 상호작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공동으로 설정한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교 류작용이며(Killeen & King, 2007), 상호작용과 교류작용이 두드러진 King 의 목표달성이론을 적용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강미정 (2015)의 연구에서는 정신질환자에게 상황에 따른 역할극, 가족의 참여로 이루어진 에니어그램 집단상담 프로그램으로 자아 존중감, 대인관계 변화, 전반적인 기능이 향상되었다. 집단 상담프로그램은 각 회기마다 목표 를 정하여 프로그램이 끝난 뒤 목표를 중심으로 평가하는 시간을 가졌다.

Park, Song과 Jeong (2017)의 연구에서는 심근경색환자에게 목표달성이론 기반 교육프로그램으로 심혈관 위험을 확인하고 상호 합의된 위험관리 목 표를 세워 계약서를 작성하고 행동수정 단계에 맞춰 체크리스트를 제공하 였다. 교육프로그램으로 심혈관 위험도가 낮아지고 건강행동과 삶의 질이 향상되었다.

King의 목표달성이론을 적용하여 지역사회 대상자에게 프로그램의 효과 를 검증한 연구로는 박경임과 오상은(2012)의 연구로 학령기 아동 어머니에 게 역할 훈련과 부모역할 경험 공유로 이루어진 적극적 부모역할 훈련프로 그램으로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 부모역할 만족도가 향상되었다. 부모역할

경험 공유는 한주 동안 가정에서 경험한 양육스트레스와 부정적인 양육행 동에 대한 긴장감을 해소하고 긍정적인 양육행동을 공유함으로 상호교류 하는 시간을 가지는 것이다. Scobbie, McLean, Dixon, Duncan과 Wyke (2013)의 연구에서는 재활팀에 의해 뇌졸중환자에게 목표달성이론을 바탕으 로 목표설정 및 행동계획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목표설정 행동계획의 인 지된 이익, 실행, 수용성이 향상되었다. 정인주와 김수진(2017)의 연구에서 는 정서·행동문제를 가진 중학생에게 강의, 그룹토의, 그룹활동, 경험나누 기, 전화상담으로 이루어진 집단 상담 프로그램으로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학교 적응력이 향상되었다. 나송숙(2018)의 연구에서는 학사학위과정 간호 사에게 목표달성이론을 적용한 집단상담으로 자기효능감, 회복력이 향상되 었다. 집단상담은 강의, 조별토론, 시연, 발표로 구성하였고, 개별상담은 전 화와 문자를 이용하였다. Araujo 등(2018)의 연구에서는 목표달성이론에 근 거한 가정간호상담으로 당뇨환자의 전반적인 건강생활과 인식을 확인하였 다.

요양병원에 입원한 낙상 고위험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목표달성이론을 적용한 박봄미 등(2019)의 연구에서는 낙상예방을 위해 집단 교육과 개별 교육 및 시범을 통해 상호교류하고 개인적, 대인 관계적, 사회적 시스템을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간호사, 환자, 돌봄자에게 개별 맞춤형 낙상예방프로 그램으로 낙상건수 감소율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낙상은 병원에 비 해 재가 노인에게 심각한 문제임에도(Suman et al., 2011) 요양병원이라는 제한된 공간에서 수행하였고,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 가능한데 반해(Burton, Lewin, O'Connell, & Hill, 2018) 낙상건수 감소율의 효과만 검증한 제한점 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King (1981)의 목표달성이론을 근거로 연구자와 골관절염 노인의 상호작용을 통해 현재의 장애 및 문제를 사정하고 상호목 표를 설정하며 목표달성 방법을 모색하고 합의하여 집단교류(교육과 운동) 와 개별교류(정서지지, 목표설정)를 통해 낙상예방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재가 하지 골관절염 노인을 대상으로 낙상예방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King의 목표달성이론의 주요 개념들을 토대로 개념

적 기틀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와 대상자인 골관절염 노인이 King의 대인관계 체계 안에 존재하며, 연구자와 골관절염 노인 간에 행위, 반응, 상호작용, 교류작용을 내포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행위는 간호사와 대상자가 행위를 시작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골관 절염 노인에게 낙상예방프로그램을 제의하고 골관절염 노인은 낙상예방프 로그램 참석에 대한 의사를 표출하는 것이다. 반응은 행위에 대해 반응하거 나 질문에 대답하여 의견을 교환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낙상예방프로 그램 참석에 동의하는 것이다.

장애 및 문제사정은 간호사가 대상자의 상태, 관심사, 건강상의 장애, 문 제 등을 사정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골관절염 노인에게 환경 속에서 낙상이 발생하는 문제를 사정하는 것이다. 목표설정은 달성해야 할 목표의 중요성에 대한 설명, 부정적인 자기지각, 역할인식의 교정 및 이해 등을 통 해 목표를 상호 설정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낙상예방을 위한 신체적, 심리적, 환경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호간의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다. 목표달성 방법의 모색과 합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생활에 대한 고 려, 적용 가능성, 자기 역할을 이해하고 구체적인 방법과 대상자에게 이익 을 이해하여 적극적으로 수행하도록 동의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골관 절염 노인 개인 수준에 맞는 구체적인 목표달성 방법을 모색 및 합의하는 것이다.

교류작용은 간호사와 대상자가 합의한 방법을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하여 수행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골관절염 노인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 육, 운동, 정서지지, 목표설정을 포함한 낙상예방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 여하여 집단교류와 개별교류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목표 달성은 간호사와 대상자가 상호목표를 설정한 후 대상자에게 기대된 결과 가 나타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낙상예방을 위한 신체적, 심리적, 환경 적 영역의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개념적 기틀은 다음과 같다 (그림 2).

사전조사 실험처치 사후조사

실험군 E1 Xe E2

대조군 C1 C2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