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Ⅰ. 서 론

4. 용어의 정의

가. 가정폭력 피해여성

가정폭력은 가족구성원 중의 한 사람이 다른 가족구성원에게 의도적으로 신체적, 정신적, 성적, 정서적, 경제적으로 고통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 가정폭력 피해여성은 가정폭력에 따른 심리적 외상으로 인하여 자기-자비가 낮고 우울이 높은 여성을 의미한다.

나. 우울

우울(depression)은 슬픔, 비관, 실패감, 불쾌함, 죄책감, 자기처벌, 자기혐오, 자기 비난, 자살에 대한 소망 등을 포함하는 현재의 정서적 측면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 우울은 Beck, Steer와 Brown(1996)이 개발한 것을 임선영 외(2011)가 한국어로 번안하여 타당화한 BDI-Ⅱ(Beck Depression Inventory-Ⅱ) 단축형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된 결과를 의미한다.

다. 자기-자비

자기-자비(self-compassion)는 자신이 겪은 고통과 실패에 대해서 자기-비판이나 부정적인 감정에 몰입하지 않고 명확한 자기 인식으로 심리적 갈등과 부정적인 감정을 해소하여 정서적 안정과 자기 성장을 촉진하도록 온정적인 자기 이해와 자기 수용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 자기-자비는 Neff(2003a, 2003b)가 개발하고 김경의 외(2008)가 한국어로 번안하여 타당화한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Korean version of the Self-Compassion Scale: SCS)의 6개 요인 중 에서 ‘자기-친절’과 ‘자기-비판’ 2개 요인 10문항으로 측정된 점수를 의미한다.

라. 길 그림

길 그림(road drawings)은 길을 연상한 후 8절 크기의 화지에 길을 표현한 그 림을 의미하며, 길 그림에는 참여자의 삶의 근원, 인생 여정, 현재까지의 경험, 미래에 대한 의도까지 반영되어 표현되므로 풍부한 투사적 은유와 상징적 의미로 무의식의 다양한 정보를 알아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길 그림이 한 개인의 삶의 과정에서 억압된 무의식을 투사적 은유로 의식화할 수 있다고 보아서 연구자의 의도로 길 그림의 회화적 반응특성을 4개 영역 20개 요소로 평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참여자에게 과거에 일어났던 사건의 명료화, 현재의 감정 및 삶의 태도 인식, 미래에 대한 의지 확립 등을 도와주기 위하여 길 그림 프로그램으로 치료적 개 입을 하였다.

마. 투사적 은유

투사적 은유(projective metaphor)는 자발적인 미술표현 과정에서 색채와 형태의 구성을 통하여 무의식에 억압되어 있던 개인의 정서, 신체적 고통이나 문제점, 다양한 욕구 등이 은유적으로 상징화되어 표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길 그림의 회화적 반응특성을 통하여 가정폭력 피해로 억압되었던 무의식이 투 사적 은유로 표출되는 것을 4개 영역 20개 요소로 구체화 또는 객관화 시키고자 하였으며, 참여자로 하여금 무의식이 투사적 은유로 의식화되는 과정을 통찰하여 자신의 내면세계를 이해하고 수용하여 자기-자비 조절과 원활한 의사소통의 효 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