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는 경향을 보였다. 배최장근단면적은 2018년에 유의적으로 높았고, 2004년에 유 의적으로 낮았으나 다른 해에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등지방두께는 2001년 이 전에 유의적으로 얇았으며, 2004년과 2005년을 제외하고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근내지방도는 2002년에 가장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육량 지수는 2001년 이전에 가장 높았고, 2017년에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거세우 의 도체중은 2014년에 유의적으로 높았고, 2006년에 가장 낮았으나 다른 해에는 뚜렷한 경향이 보이지는 않았다. 배최장근단면적은 2007년에 유의적으로 높았으 며, 2006년에 가장 낮았고, 등지방두께는 2009년에 유의적으로 얇았으며, 근내지 방도는 2008년에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육량지수는 2007년에 유의적으로 높았 으나, 대부분의 형질에서 출생년도에 따른 뚜렷한 추세가 나타나지 않았다.

출생계절에 따른 도체형질은 암소의 도체중, 배최장근단면적 및 근내지방도는 봄이 가장 높았으나 다른 계절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등지방두께는 여 름이 가장 얇았으며, 봄은 유의적으로 두꺼웠고, 육량지수는 여름이 봄보다 유의 적으로 높았다. 거세우의 도체중과 근내지방도는 여름이 가을보다 유의적으로 높 았으나 다른 계절과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등지방두께는 봄이 가장 두꺼웠으 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배최장근단면적은 봄이 가을보다 유의적으로 높았 고, 육량지수는 가을이 다소 높았으나 다른 계절과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도축년도에 따른 도체형질은 암소의 도체중과 배최장근단면적 및 근내지방도 는 2013년에 높게 나타났으며, 등지방두께는 2011년에 다소 낮았으며, 육량지수 는 2011년에 유의적으로 높았다. 거세우의 도체중과 등지방두께는 2017년에 유의 적으로 높았으며, 배최장근단면적은 2011년에 가장 높았고, 근내지방도는 2009년 에 유의적으로 높았다. 육량지수는 2010년에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대부분의 형 질에서 도축년도에 따른 뚜렷한 경향성이 없었다.

도축월령에 따른 도체형질은 암소의 도체중, 배최장근단면적 및 근내지방도는 71개월령에서 80개월령 사이에 높게 나타났으며, 도체중과 근내지방도는 30개월 령 이하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141개월령에서 150개월령 사이에 배최장근단면 적과 등지방두께가 유의적으로 낮았고, 육량지수는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거세우의 도체중, 배최장근단면적은 51개월령 이상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도 체중과 근내지방도는 29개월령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50개월령에서 등지방두께

와 근내지방도가 다소 높았고, 육량지수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등록구분에 따른 도체형질은 암소의 도체중과 등지방두께는 혈통등록우가 다 소 높았고, 배최장근단면적, 근내지방도 및 육량지수는 기초등록우가 다소 높았 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거세우의 도체중, 배최장근단면적, 근내지방도 및 육량지수는 기초등록우가 다소 높았고, 등지방두께는 기초등록우가 얇았으나, 유 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도체형질 간 표현형 상관은 암소의 도체중과 배최장근단면적, 등지방두께, 근 내지방도, 육량지수의 상관은 각각 0.759, 0.586, 0.206, -0.538, 배최장근단면적과 등지방두께, 근내지방도, 육량지수의 상관은 각각 0.402, 0.281, -0.250, 등지방두 께와 근내지방도, 육량지수의 상관은 0.191, -0.895, 근내지방도와 육량지수는 -0.135로 나타났다. 거세우의 도체중과 배최장근단면적, 등지방두께, 근내지방도, 육량지수의 상관은 각각 0.575, 0.455, 0.084, -0.487, 배최장근단면적과 등지방두 께, 근내지방도, 육량지수의 상관은 각각 0.121, 0.291, 0.014, 등지방두께와 근내 지방도, 육량지수의 상관은 각각 0.013, -0.936, 근내지방도와 육량지수의 상관은 0.079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제주흑우 주요 도체형질의 일반성적과 도체의 최종 판정등급에서 육질 및 육량등급의 상위 비율이 전반적으로 낮았다. 일부 도 체형질에서 성, 출생계절의 환경요인에 따른 유의적인 효과가 일부 나타났지만, 그 외 환경요인의 효과에서는 뚜렷한 경향과 방향성이 없었다. 다만, 이번 연구 의 분석에 이용된 자료가 너무 적었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지 속적인 자료 축적과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현재 제주흑우는 집단의 크 기가 현저히 작아 우수한 종축 선발에 한계가 있고, 한 세대가 길어 단시간에 모 든 형질을 개량한다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에 향후 한우 개량 초기 단계 의 다양한 연구 결과를 분석하여 제주흑우와 비교하는 연구가 수행될 필요성이 있으며, 제주흑우의 품질향상과 농가소득 증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도록 우선적으로 개량해야 하는 도체형질을 선택하고, 각 형질의 목표 개량량을 설정 하는 한편, 개량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적이고 계획적인 방안을 시급히 마련해야 할 것이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