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Ⅴ. 결론 및 제언

1. 요약 및 결론

이 연구는 남녀 간 중, 고등학생 간의 부모와의 갈등과 사회심리적 웰빙과의 관계가 어떠한지에 대해 밝혀보고자 하였다. 지각된 부모와의 갈등 및 하위요인 과 사회심리적 웰빙 및 하위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지각된 부모와의 갈 등이 사회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유의한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연구결 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와의 갈등과 성별, 학교 급별에 따른 사회심리적 웰 빙의 차이를 보면 다음과 같다.

성별에 따라 부모와의 갈등은 남학생(3.56점)이 여학생(3.29점)보다 높은 것으 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학생 이 여학생보다 부모와의 갈등을 더 높게 지각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결과이다. 사 회심리적 웰빙은 여학생(3.60점)이 남학생(3.48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모나 자신에 대한 이미지를 중요시하기 때문에 가족관계, 교사관계, 친구관계, 긍정적 자기인식, 자기 주장성이 더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알려진 남녀의 성차가 청소년의 사회심리적 웰빙의 관계에서도 적용된 것으로 생각 할 수 있다. 특히, 성별에 의한 차이가 주로 정서적 민감성이나 순응 및 의 존성과 관련된 성격 특성에서 야기된다(Berk, 2006)는 측면에서 적용 가능성을 찾을 수 있다. 즉, 여성이 남성보다 정서적으로 더 민감하고 어른들과 또래의 요 구에 더 잘 순응하는 특성으로 여자 청소년이 가족관계나 자기 긍정적 인식 등 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하였기 때문이다(오혜경, 2007).

학교 급에 따라서는 부모와의 갈등은 고등학생(3.56점)이 중학생(3.29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는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진로 및 성적, 미디어사용, 일상생활, 가족관계에서 갈 등이 더 높다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즉, 중학생에 비해 고등학생은 자율성 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는 시기로 행동에 대한 제약을 간섭으로 여길 수 있다. 또 한, 갈등 요인 중에서 진로 및 성적 갈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아 입시, 성적 위주의 학교생활에서 오는 학생들의 중압감과 스트레스가 부모와의 갈등을 야기 시키는 요인이 된다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사회심리적 웰빙은 학교 급별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등학생과 중학생이 가족관계, 교사관 계, 친구관계, 긍정적 자기인식, 자기 주장성에서는 동일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의 미한다.

둘째, 지각된 부모와의 갈등과 사회심리적 웰빙의 일반적 경향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와의 갈등은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일상생활 갈등이 가 장 높았고, 진로 및 성적 갈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사회심리적웰빙에서 긍정 적 자기 인식이 가장 높고 자기 주장성, 가족관계, 교사관계는 비슷한 정도로 나 타났으며, 친구관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청소년의 부모간 일상 생활 갈등이 큰 이유는 아동기의 보호와 의존 관계에서 벗어나 독립적 역할을 하려는 청소년 기의 특징과 연관이 있다. 이는 부모가 자녀의 독립적 역할을 견제하며, 권위를 행사하려는 과정에서 독립하려는 청소년의 힘의 불균형에서 일상생활 갈등이 지 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이영나(2000)의 중·고등학교 청소년들이 가정 내에서 겪는 갈등을 조사한 결과를 용돈, 부모의 불이해, 컴퓨터·핸드폰 사용 등의 순서 로 일상 생활 갈등이 학업, 진로 문제, 대인관계 보다 크다는 것과 일치한다.

셋째, 지각된 부모와의 갈등 및 하위요인과 사회심리적 웰빙 및 하위요인 간의 상관관계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각된 부모와의 갈등과 사회심리적 웰빙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

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각된 부모와의 갈등이 높을수록 사회심리적 웰빙

3.6%를 추가로 설명하였으며, 진로 및 성적 갈등이 높을수록 사회심리적 웰빙이

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사회적, 심리적으로 건강한 상태를 유지 할 수 있도록 자녀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적극적인 갈등해결방안,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시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