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6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K에서

문서에서 2020 개념원리 기하 답지 정답 (페이지 42-51)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43

212

ABÓ=2ACÓ에서 ABÓ Û`=4ACÓ Û`이므로 (2k)Û`+(-1-1)Û`+(0-2)Û`

=4{(-1)Û`+(2-1)Û`+(k-1)Û`}

4kÛ`+8=4kÛ`-8k+12

8k=4 ∴ k=;2!; ;2!;

213

좌표공간에서 원점을 O라 하고 xy평면 위의 직선 y=x 위의 점 Q의 좌표를 (t, t, 0)`(t+0)이라 하면 삼각형 POQ는 ∠PQO=90ù인 직각삼각형이므로 OPÓ Û`=OQÓ Û`+PQÓ Û`에서

2Û`+3Û`+1Û`=tÛ`+tÛ`+(t-2)Û`+(t-3)Û`+(-1)Û`

2tÛ`-5t=0, t(2t-5)=0

∴ t=;2%; (∵ t+0)

∴ PQÓ=¾¨{;2%;-2}Û`+{;2%;-3}Û`+(-1)Û`= '6 2

'6 2

214

A(1, 1, -1), B(-1, 1, 1), C(1, -1, 1)이므로 ABÓ="Ã(-1-1)Û`+(1-1)Û`+(1+1)Û`=2'2 BCÓ="Ã(1+1)Û`+(-1-1)Û`+(1-1)Û`=2'2 ACÓ="Ã(1-1)Û`+(-1-1)Û`+(1+1)Û`=2'2 따라서 삼각형 ABC는 한 변의 길이가 2'2인 정삼각 형이므로

ABC= '3

4 _(2'2 )Û`=2'3 2'3

215

점 P가 z축에 위에 있으므로 P(0, 0, z)라 하자.

APÓ=BPÓ에서 APÓ Û`=BPÓ Û`이므로

(-3)Û`+4Û`+(z-1)Û`=2Û`+(-5)Û`+(z-3)Û`

zÛ`-2z+26=zÛ`-6z+38, 4z=12 ∴ z=3

∴ P(0, 0, 3) (0, 0, 3)

216

점 P(a, b, c)가 yz평면 위에 있으므로 a=0 APÓ=BPÓ=OPÓ이므로 APÓ Û`=BPÓ Û`=OPÓ Û`

APÓ Û`=BPÓ Û`에서

(-1)Û`+(b-2)Û`+(c-1)Û`=1Û`+bÛ`+(c-1)Û`

-4b+4=0 ∴ b=1 BPÓ Û`=OPÓ Û`에서

1Û`+bÛ`+(c-1)Û`=bÛ`+cÛ`

-2c+2=0 ∴ c=1

∴ a+b+c=0+1+1=2 2

217

점 C가 zx평면 위에 있으므로 C(x, 0, z)라 하자.

이때 삼각형 ABC가 정삼각형이므로

ABÓ=BCÓ=ACÓ, 즉 ABÓ Û`=BCÓ Û`=ACÓ Û`이어야 한다.

ABÓ Û`=BCÓ Û`에서

(2-1)Û`+(-1-1)Û`+(3-2)Û`

=(x-2)Û`+1Û`+(z-3)Û`

∴ xÛ`+zÛ`-4x-6z+8=0 yy`㉠

또, BCÓ Û`=ACÓ Û`에서 (x-2)Û`+1Û`+(z-3)Û`

=(x-1)Û`+(-1)Û`+(z-2)Û`

∴ z=-x+4 yy`㉡

㉡을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xÛ`-3x=0, x(x-3)=0

∴ x=0 또는 x=3

㉡에서 x=0일 때 z=4, x=3일 때 z=1

∴ C(0, 0, 4), C(3, 0, 1)

(0, 0, 4), (3, 0, 1)

218

점 A(3, 2, -1)의 xy평면, yz평면, zx평면 위로의 정사영을 각각 A', A", A'''이라 하면

A'(3, 2, 0), A"(0, 2, -1), A'''(3, 0, -1) 또, 점 B(5, -4, 2)의 xy평면, yz평면, zx평면 위로 의 정사영을 각각 B', B", B'''이라 하면

B'(5, -4, 0), B"(0, -4, 2), B'''(5, 0, 2)

기본서(기하)해설001~050_확인.indd 43 19. 6. 4. 오후 1:53

이때 선분 AB의 xy평면 위로의 정사영은 선분 A'B' 이므로 xy평면 위로의 정사영의 길이는

AÕ'B'Ó="Ã(5-3)Û`+(-4-2)Û`+0Û`=2'1Œ0

선분 AB의 yz평면 위로의 정사영은 선분 A"B"이므 로 yz평면 위로의 정사영의 길이는

AÕ"B"Ó="Ã0Û`+(-4-2)Û`+(2+1)Û`=3'5

선분 AB의 zx평면 위로의 정사영은 선분 A'''B'''이므 로 zx평면 위로의 정사영의 길이는

A'''ÓB'''Ó="Ã(5-3)Û`+0Û`+(2+1)Û`='1Œ3

xy평면: 2'1Œ0, yz평면: 3'5, zx평면: '1Œ3

219

두 점 A, B의 yz평면 위로의 정사영을 각각 A', B'이 라 하면 A'(0, -1, 2), B'(0, 2, 5)이고

ABÓ ="Ã(3-6)Û`+(2+1)Û`+(5-2)Û`=3'3 AÕ'B'Ó="Ã0Û`+(2+1)Û`+(5-2)Û`=3'2

이때 직선 AB와 yz평면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가 h이므 로 AÕ'B'Ó=ABÓ`cos`h에서

3'2=3'3`cos`h

∴ cos`h=3'2 3'3= '6

3 '6

3

220

두 점 A, B의 zx평면 위로의 정사영을 각각 A', B'이 라 하면 A'('2, 0, 3), B'(0, 0, k)이고

ABÓ =¿¹(-'2 )Û`+(4-1)Û`+(k-3)Û`

="ÃkÛ`-6k+20

AÕ'B'Ó =¿¹(-'2 )Û`+0Û`+(k-3)Û`

="ÃkÛ`-6k+11

이때 직선 AB와 zx평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가 60ù이 므로 AÕ'B'Ó=ABÓ`cos`60ù에서

"ÃkÛ`-6k+11="ÃkÛ`-6k+20_;2!;

2"ÃkÛ`-6k+11="ÃkÛ`-6k+20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kÛ`-6k+8=0, (k-2)(k-4)=0

∴ k=2 또는 k=4 2, 4

221

두 점 A, B의 x좌표의 부

A(2,2,4) B(4,5,-3)

P

B'(-4,5,-3) yz평면

호가 같으므로 두 점은 좌표 공간에서 yz평면을 기준으 로 같은 쪽에 있다.

이때 점 B와 yz평면에 대하 여 대칭인 점을 B'이라 하면 B'(-4, 5, -3)

즉, BPÓ=BÕ'PÓ이므로

APÓ+BPÓ =APÓ+BÕ'PÓ

¾AÕB'Ó

="Ã(-4-2)Û`+(5-2)Û`+(-3-4)Û`

='9Œ4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9Œ4 이다. '9Œ4

222

두 점 A, B의 y좌표가 0이 A(3,0,4) B(-3,0,2)

A'(3,0,-4)

P x

z좌표의 부호가 같으므 로 두 점은 zx평면 위의 점 이고, x축을 기준으로 같은 쪽에 있다.

이때 점 A와 x축에 대하여 대칭인 점을 A'이라 하면 A'(3, 0, -4)

즉, APÓ=AÕ'PÓ이므로 APÓ+BPÓ =AÕ'PÓ+BPÓ

¾AÕ'BÓ

="Ã(-3-3)Û`+0Û`+(2+4)Û`

=6'2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6'2이다. 6'2

223

ABÓ를 3`:`1로 내분하는 점 P의 좌표는 {3_(-3)+1_1

3+1 , 3_1+1_13+1 ,

3_5+1_(-3)

3+1 }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45

∴ (-2, 1, 3)

또, ABÓ를 3`:`1로 외분하는 점 Q의 좌표는 {3_(-3)-1_1

3-1 , 3_1-1_13-1 ,

3_5-1_(-3)

3-1 }

∴ (-5, 1, 9) 따라서 PQÓ의 길이는

"Ã(-5+2)Û`+0Û`+(9-3)Û`=3'5

3'5

224

ABÓ를 k:1로 내분하는 점이 yz평면 위에 있으므로 내분점의 x좌표는 0이다.

즉, -3k+3k+1 =0에서 -3k+3=0

∴ k=1 1

225

ABÓ를 3:2로 내분하는 점이 zx평면 위에 있으므로 내분점의 y좌표는 0이다.

즉, 3b+63+2 =0에서 3b+6=0 ∴ b=-2

또, ABÓ를 2:1로 외분하는 점이 y축 위에 있으므로 외분점의 x좌표와 z좌표는 모두 0이다.

즉, 2a-42-1 =0, 2c+1

2-1 =0에서 2a-4=0, 2c+1=0

∴ a=2, c=-;2!;

∴ a+b+c=2+(-2)+{-;2!;}

=-;2!; -;2!;

226

사각형 ABCD가 평행사변형이므로 두 대각선 AC, BD의 중점이 일치한다.

227

점 A의 좌표를 (a, b, c)라 하면 ACÓ의 중점의 좌표는 { a+12 , b-3

2 , c+4 2 }

이때 ACÓ의 중점은 두 대각선의 교점과 일치하므로 a+12 =0, b-3

2 =4, c+4 2 =3

∴ a=-1, b=11, c=2

따라서 점 A의 좌표는 (-1, 11, 2)이므로 선분 AB 의 길이는

"Ã(-3+1)Û`+(2-11)Û`+(-4-2)Û`=11

11

228

사각형 ABCD가 마름모이므로 ACÓ의 중점과 BDÓ의 중점이 일치한다.

ACÓ의 중점의 좌표는 { 1+b2 , -5+6

2 , -2+32 }

{ 1+b2 , ;2!;, ;2!;}

ACÓ의 중점의 좌표는 { -1+22 , 2+42 , 3+5

2 }

{;2!;, 3, 4}

점 D의 좌표를 (a, b, c)라 하면 BDÓ의 중점의 좌표는 { a-32 , b+1

2 , c+5 2 } 따라서 a-32 =;2!;, b+1

2 =3, c+5

2 =4이므로 a=4, b=5, c=3

∴ D(4, 5, 3) (4, 5, 3)

평행사변형의 두 대각선은 서로 다 른 것을 이등분한다.

⇨ 평행사변형의 두 대각선의 중점 은 일치한다.

KEY Point

B

A D

C

기본서(기하)해설001~050_확인.indd 45 19. 6. 4. 오후 1:53

BDÓ의 중점의 좌표는 {;2A;, -1+22 , 3-22 }

{;2A;, ;2!;, ;2!;}

즉, 1+b2 =;2A;에서 b=a-1 yy`㉠

또, 마름모는 네 변의 길이가 모두 같으므로 ABÓ=ADÓ, 즉 ABÓ Û`=ADÓ Û`에서

(a-1)Û`+(-1+5)Û`+(3+2)Û`

=(-1)Û`+(2+5)Û`+0Û`

aÛ`-2a-8=0, (a+2)(a-4)=0

∴ a=-2 (∵ a<0) 이것을 ㉠에 대입하면 b=-2-1=-3

∴ ab=(-2)_(-3)=6 6

229

점 C의 좌표를 (a, b, c)라 하면 삼각형 ABC의 무게 중심의 좌표는

{ 2+4+a3 , -3-1+b3 , 1+2+c3 }

{ 6+a3 , -4+b

3 , 3+c3 }

이 점이 점 G(3, -2, -1)과 일치하므로 6+a3 =3, -4+b

3 =-2, 3+c3 =-1

∴ a=3, b=-2, c=-6

∴ C(3, -2, -6) (3, -2, -6)

230

점 P(1, 2, 3)과

xy평면에 대하여 대칭인 점은 A(1, 2, -3) yz평면에 대하여 대칭인 점은 B(-1, 2, 3) zx평면에 대하여 대칭인 점은 C(1, -2, 3) 따라서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 1-1+13 , 2+2-23 , -3+3+33 }

{;3!;, ;3@;, 1} {;3!;, ;3@;, 1}

232

⑴ 중심의 좌표: (3, -2, 0) 반지름의 길이: 3

⑵ 중심의 좌표: (-2, -5, 3) 반지름의 길이: 4

233

⑶ 구의 반지름의 길이는 두 점 (0, 3, -2), (0, 0, 0) 사이의 거리이므로

"Ã0Û`+(-3)Û`+2Û`='1Œ3

231

ABÓ를 2`:`1로 내분하는 점 P의 좌표는 {2_3+1_(-2)

2+1 , 2_(-4)+1_1 2+1 ,

2_2+1_1

2+1 }

{;3$;, -;3&;, ;3%;}

BCÓ를 2`:`1로 내분하는 점 Q의 좌표는 { 2_5+1_32+1 , 2_3+1_(-4)

2+1 ,

2_(-6)+1_2

2+1 }

{:Á3£:, ;3@;, -:Á3¼:}

CAÓ를 2`:`1로 내분하는 점 R의 좌표는 {2_(-2)+1_5

2+1 , 2_1+1_32+1 ,

2_1+1_(-6)

2+1 }

{;3!;, ;3%;, -;3$;}

따라서 삼각형 PQR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

;3$;+:Á3£:+;3!;

3 , -;3&;+;3@;+;3%;

3 ,;3%;-:Á3¼:-;3$;

3

¥

∴ (2, 0, -1) (2, 0, -1)

삼각형의 세 변을 각각 m`:`n`(m>0, n>0)으로 내분하 는 점을 연결한 삼각형의 무게중심은 원래 삼각형의 무게중 심과 일치한다.

KEY Point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47

234

⑴ xÛ`+yÛ`+zÛ`-2x-4y+6z+2=0에서 (x-1)Û`+(y-2)Û`+(z+3)Û`=12 ∴ 중심의 좌표: (1, 2, -3)

반지름의 길이: 2'3

⑵ xÛ`+yÛ`+zÛ`+6x-4y+9=0에서 (x+3)Û`+(y-2)Û`+zÛ`=4 ∴ 중심의 좌표: (-3, 2, 0)

반지름의 길이: 2

⑴ 중심의 좌표: (1, 2, -3) 반지름의 길이: 2'3

⑵ 중심의 좌표: (-3, 2, 0) 반지름의 길이: 2

236

구의 반지름의 길이는 두 점 (2, -1, 2), (1, 1, 0) 사이의 거리이므로

"Ã(1-2)Û`+(1+1)Û`+(-2)Û`=3 따라서 구하는 구의 방정식은 (x-2)Û`+(y+1)Û`+(z-2)Û`=9

(x-2)Û`+(y+1)Û`+(z-2)Û`=9 다른풀이 구하는 구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구의 방정식은

237

구의 중심을 C라 하면 점 C는 ABÓ의 중점이므로 C{ -3+12 , 1+32 , -1-3

2 }

∴ C(-1, 2, -2) 또, 구의 반지름의 길이는

CAÓ ="Ã(-3+1)Û`+(1-2)Û`+(-1+2)Û`

='6

따라서 구하는 구의 방정식은 (x+1)Û`+(y-2)Û`+(z+2)Û`=6

(x+1)Û`+(y-2)Û`+(z+2)Û`=6

235

⑴ (반지름의 길이)=|중심의 z좌표|=5 ∴ (x-2)Û`+(y+3)Û`+(z-5)Û`=25

⑵ (반지름의 길이)="Ã(-3)Û`+2Û`='1Œ3 ∴ (x+3)Û`+(y-2)Û`+(z-1)Û`=13

⑴ (x-2)Û`+(y+3)Û`+(z-5)Û`=25

⑵ (x+3)Û`+(y-2)Û`+(z-1)Û`=13

238

ABÓ를 2`:`1로 내분하는 점을 P라 하면 P{ 2_4+1_12+1 , 2_(-1)+1_2

2+1 ,

2_3+1_(-3)

2+1 }

∴ P(3, 0, 1)

ABÓ를 2`:`1로 외분하는 점을 Q라 하면 Q{ 2_4-1_12-1 , 2_(-1)-1_2

2-1 ,

2_3-1_(-3)

2-1 }

∴ Q(7, -4, 9)

이때 구의 중심을 C라 하면 점 C는 PQÓ의 중점이므로 C{ 3+72 , 0-4

2 , 1+9 2 }

∴ C(5, -2, 5) 또, 구의 반지름의 길이는

CPÓ ="Ã(3-5)Û`+2Û`+(1-5)Û`

=2'6 따라서 구하는 구의 방정식은

xÛ`+(y-3)Û`+(z+2)Û`=13

⑴ (x-2)Û`+(y+1)Û`+(z-5)Û`=9

⑵ xÛ`+yÛ`+zÛ`=25

⑶ xÛ`+(y-3)Û`+(z+2)Û`=13

(x-2)Û`+(y+1)Û`+(z-2)Û`=rÛ`

이 구가 점 (1, 1, 0)을 지나므로 (-1)Û`+2Û`+(-2)Û`=rÛ`

rÛ`=9 ∴ r=3 (∵ r>0)

∴ (x-2)Û`+(y+1)Û`+(z-2)Û`=9

기본서(기하)해설001~050_확인.indd 47 19. 6. 4. 오후 1:53

240

구의 반지름의 길이는 두 점 (-2, 1, 4), (2, 3, 2) 사이의 거리이므로

"Ã(2+2)Û`+(3-1)Û`+(2-4)Û`=2'6 즉, 구하는 구의 방정식은

(x+2)Û`+(y-1)Û`+(z-4)Û`=24

∴ xÛ`+yÛ`+zÛ`+4x-2y-8z-3=0

따라서 a=4, b=-2, c=-8, d=-3이므로

a+b+c+d=-9 -9

241

xÛ`+yÛ`+zÛ`-6x+4y+2z-k=0에서 (x-3)Û`+(y+2)Û`+(z+1)Û`=k+14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이 구를 나타내려면 k+14>0이어야 하므로

k>-14

따라서 정수 k의 최솟값은 -13이다. -13

242

중심의 좌표가 (4, k, 5)이고 z축에 접하는 구의 방정 식은

(x-4)Û`+(y-k)Û`+(z-5)Û`=16+kÛ`

이 구의 반지름의 길이가 5이므로

"Ã16+kÛ`=5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kÛ`=9 ∴ k=3 (∵ k>0) 3

243

구가 xy평면, yz평면, zx평면에 동시에 접하고 점 (-3, 2, 5)를 지나므로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구의 중심의 좌표는 (-r, r, r)

즉, 구의 방정식은

(x+r)Û`+(y-r)Û`+(z-r)Û`=rÛ`

이 구가 점 (-3, 2, 5)를 지나므로 (-3+r)Û`+(2-r)Û`+(5-r)Û`=rÛ`

∴ rÛ`-10r+19=0 yy`㉠

이때 두 구의 반지름의 길이를 각각 rÁ, rª라 하면 그 곱은 이차방정식 ㉠의 두 근의 곱과 같으므로 이차방 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rÁ rª=19 19

244

구가 x축, y축, z축에 동시에 접하므로 구의 중심에서 x축, y축, z축에 이르는 거리가 모두 같다.

즉, 구의 중심을 C(a, b, c)라 하면

|a|=|b|=|c|

∴ aÛ`=bÛ`=cÛ` yy`㉠

한편, 구의 중심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P라 하면 P(a, 0, 0)

이때 CPÓ의 길이는 구의 반지름의 길이와 같으므로

"Ã(a-a)Û`+(-b)Û`+(-c)Û`=4

"2aÛ`=4 (∵ ㉠)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aÛ`=8 ∴ a=Ñ2'2 따라서 구하는 구의 방정식은

(x-5)Û`+(y+2)Û`+(z-5)Û`=24

(x-5)Û`+(y+2)Û`+(z-5)Û`=24

239

구하는 구의 방정식을

xÛ`+yÛ`+zÛ`+Ax+By+Cz+D=0이라 하면 이 구가 두 점 (0, 0, 0), (4, 0, 0)을 지나므로 D=0, 16+4A+D=0 ∴ A=-4 즉, 구의 방정식은

xÛ`+yÛ`+zÛ`-4x+By+Cz=0

또, 이 구가 두 점 (-1, -1, 1), (2, -2, -3)을 지나므로

7-B+C=0, 9-2B-3C=0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B=6, C=-1

따라서 구하는 구의 방정식은 xÛ`+yÛ`+zÛ`-4x+6y-z=0

xÛ`+yÛ`+zÛ`-4x+6y-z=0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49

245

주어진 구의 방정식에 x=0을 대입하면 구와 yz평면 의 교선의 방정식은

yÛ`+zÛ`-4y+6z+k=0

∴ (y-2)Û`+(z+3)Û`=13-k 이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3이므로 'Ä13-k=3

양변을 제곱하면

13-k=9 ∴ k=4 4

다른풀이 xÛ`+yÛ`+zÛ`+2x-4y+6z+k=0에서 (x+1)Û`+(y-2)Û`+(z+3)Û`=14-k

오른쪽 그림과 같이 구의 중

C 1 1314-k

P

H yz평면

심을 C라 하고 점 C에서 yz평면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구와 yz평면의 교선 위 의 점을 P라 하면

C(-1, 2, -3), H(0, 2, -3) 이므로

CPÓ='Ä14-k, CHÓ=1 이때 직각삼각형 CPH에서 PHÓ =¿¹('Ä14-k )Û`-1Û`

='Ä13-k

따라서 'Ä13-k=3이므로 양변을 제곱하면 13-k=9 ∴ k=4

246

중심이 점 (3, 6, 5)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10인 구의 방정식은

(x-3)Û`+(y-6)Û`+(z-5)Û`=100

이 구의 방정식에 y=0을 대입하면 이 구와 zx평면의 교선의 방정식은

(x-3)Û`+(-6)Û`+(z-5)Û`=100

∴ (x-3)Û`+(z-5)Û`=64

247

구의 중심은 두 점 (-2, -5, 5), (6, -1, -3)을 이은 선분의 중점이므로

{ -2+62 , -5-12 , 5-32 }

∴ (2, -3, 1)

또, 반지름의 길이는 두 점 (-2, -5, 5), (2, -3, 1) 사이의 거리이므로

"Ã(2+2)Û`+(-3+5)Û`+(1-5)Û`=6 즉, 구의 방정식은

(x-2)Û`+(y+3)Û`+(z-1)Û`=36

이 구의 방정식에 z=0을 대입하면 이 구와 xy평면의 교선의 방정식은

(x-2)Û`+(y+3)Û`+(-1)Û`=36

∴ (x-2)Û`+(y+3)Û`=35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3Œ5이므로 그 넓 이는

p_('3Œ5)Û`=35p 35p

248

xÛ`+yÛ`+zÛ`-8x-10y+37=0에서 (x-4)Û`+(y-5)Û`+zÛ`=4

이므로 이 구의 중심의 좌표는 (4, 5, 0)이고 반지름 의 길이는 2이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구

C(4,5,0) P(1,3,-'12) T

의 중심을 C, 구 밖의 2

한 점 P에서 구에 그은 접선의 접점을 T라 하 면

PCÓ ="Ã(4-1)Û`+(5-3)Û`+('2 )Û`

='1Œ5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길이는 PTÓ =¿¹ PCÓ Û`-CTÓ Û`

=¿¹('1Œ5)Û`-2Û`='1Œ1 '1Œ1 따라서 구의 중심과 원점 사이의 거리는

"ÃaÛ`+bÛ`+cÛ` ="3aÛ` (∵ ㉠)

='Ä3_8=2'6 2'6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8이므로 그 둘레 의 길이는

2p_8=16p 16p

기본서(기하)해설001~050_확인.indd 49 19. 6. 4. 오후 1:53

249

xÛ`+yÛ`+zÛ`+6x+4y+k=0에서 (x+3)Û`+(y+2)Û`+zÛ`=13-k

이므로 이 구의 중심의 좌표는 (-3, -2, 0)이고 반 지름의 길이는 'Ä13-k이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구

C(-3,-2,0) A(1,2,-1) P

1313-k 5

의 중심을 C, 구 밖의 한 점 A에서 구에 그 은 접선의 접점을 P라 하면

ACÓ ="Ã(-3-1)Û`+(-2-2)Û`+1Û`

='3Œ3

이때 접선의 길이는 5이므로 PCÓ =¿¹CAÓ Û`-PAÓ Û`

=¿¹('3Œ3)Û`-5Û`=2'2

따라서 'Ä13-k=2'2이므로 양변을 제곱하면

13-k=8 ∴ k=5 5

250

xÛ`+yÛ`+zÛ`+4x+2y-6z-2=0에서 (x+2)Û`+(y+1)Û`+(z-3)Û`=16

이므로 이 구의 중심의 좌표는 (-2, -1, 3)이고 반 지름의 길이는 4이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구의

A(-1,2,0)

C(-2,-1,3) 4 Q

4 P

중심을 C, 직선 AC가 구

와 만나는 두 점을 각각 P, Q라 하면

ACÓ

="Ã(-2+1)Û`+(-1-2)Û`+3Û`

='1Œ9

이때 선분의 길이의 최댓값은 AQÓ=ACÓ+CQÓ='1Œ9+4 또, 선분의 길이의 최솟값은 APÓ=ACÓ-CPÓ='1Œ9-4 따라서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1Œ9+4)+('1Œ9-4)=2'1Œ9 2'1Œ9

문서에서 2020 개념원리 기하 답지 정답 (페이지 42-5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