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예비(선별)급여 재평가 제도의 추진 방향

문서에서 예비급여 재평가 개선방안 연구 (페이지 164-173)

Ⅷ. 결 론

3. 예비(선별)급여 재평가 제도의 추진 방향

○ 예비(선별)급여가 보장성 강화라는 목표와 함께 의료 정책의 기본 목적이 되는 의료 자원의 효율적 배분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사회적으로 보편타당한 보장성의 개념을 정립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예비(선별)급여의 당위성을 확보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예비(선 별)급여의 합리적 기준을 마련해야 함. 기준의 적용을 위한 제도를 정비하기 위해서는 다음 의 원칙을 지향할 필요가 있음

1) 기본 원칙

○ 기존의 비급여 이용 시 본인부담비용보다 예비(선별)급여 전환 이후 본인부담비용이 감소 해야 함

○ 대체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예비(선별)급여에 대한 급여액보다 기존 대체가능 급여항목에 대한 급여액이 높아야 함

○ 건강보험 재정 총 지출이 지나치게 증가하지 않기 위해, 사용량을 고려하여 예비(선별)급여 결정 및 본인부담비율 조정이 이루어져야 함

○ 공급자 유인 수요가 일어나지 않도록 예비(선별)급여는 신중하게 결정되야 하며 재평가 시 이러한 사항을 반영해야함

○ 예비(선별)급여의 재평가는 실행가능성을 최우선 가치로 하며, 따라서 결정사유 별 재평가 주안점을 다르게 두고 근거생산가능 여부에 따라 평가군을 구분함

2) 가격 결정 원칙

○ 기존 수가 산정 방식, 즉 상대가치점수 산정의 기본 원칙을 준용하고 재평가 결과를 합리적 으로 반영할 수 있는 가격 결정 및 조정을 추구함

○ 기존에는 선별급여 등재 시 비급여 제품 당시의 관행가(유통가)를 모두 인정하고 있으나 재 평가시점에는 원가자료를 확인하고 신재료 등장에 따른 가치의 감가상각을 적용하여 기존가 인정비율을 결정하고, 물가상승분과 재평가 결과에 따른 가치 가산, 감산을 적용하도록 함

136

예비급여 재평가 개선방안 연구

참고문헌

137

참고문헌

1. Jansson S. Implementing accountability for reasonableness–the case of pharma-ceutical reimbursement in Sweden. Health Economics, Policy and Law 2.2 (2007):

153-171.

2. Stolk EA, Brouwer WBF, Busschbach JJV. Rationalising rationing: economic and other considerations in the debate about funding of Viagra. Health Policy 59.1 (2002): 53-63.

3. Stolk EA, Pickee SJ, Ament AH, Busschbach JJ. Equity in health care prioritisation:

an empirical inquiry into social value. Health Policy 74.3 (2005): 343-355.

4. Baltussen R, Niessen L. Priority setting of health interventions: the need for multi-cri-teria decision analysis. Cost effectiveness and resource allocation 4.1 (2006): 14.

5. 배은영, 이지연, 이혜재. 보건의료의사결정에 다기준결정분석의 활용가능성에 대한 탐색. 보건 경제와 정책연구 20.3 (2014): 1-24.

6. Hutton J, Trueman P, Henshall C. Coverage with evidence development: an exami-nation of conceptual and policy issues. Interexami-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assess-ment in health care 23.4 (2007): 425-432.

7. Trueman P, Grainger DL, Downs KE. Coverage with evidence development: appli-cations and issues.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assessment in health care 26.1 (2010): 79-85.

8. Claxton K, Palmer S, Longworth L, Bojke L, Griffin S, Mckenna C, Soares M, Speckman E, Youn J. Uncertainty, evidence and irrecoverable costs: Informing ap-proval, pricing and research decisions for health technologies. Center for Health Economics, 2011.

9. Carbonneil C, Quentin F, Lee-Robin SH. A common policy framework for evidence generation on promising health technologies.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assessment in health care 25.S2 (2009): 56-67.

10. Levin L, Goeree R, Sikich N, Jorgensen B, Brouwers WC, Easty T, et al. Establishing

138

예비급여 재평가 개선방안 연구

a comprehensive continuum from an evidentiary base to policy development for health technologies: the Ontario experience. Int J Technol Assess Health Care ASSESSMENT AND HEALTH POLICY-MAKING IN EUROPE, Observatory Studies Series No 14, 2010

14. Leggett, Laura, et al. Health technology reassessment of non-drug technologies:

current practices.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assessment in health care 28.3 (2012): 220-227.

15. Elshaug, Adam G., et al. Challenges in Australian policy processes for disinvest-ment from existing, ineffective health care practices. Australia and New Zealand health policy 4.1 (2007).

16. Henshall C, Schuller T, Mardhani-Bayne L. Using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to support optimal use of technologies in current practice: the challenge of disinvest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assessment in health care 28.3 (2012): 203-210.

17. Camps-Walsh G, Aivas I, Barratt H. How can Value-based Pricing improve access and adoption of new treatments?. 2020health. 2009. 1-105.

18. Rovira J.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Hta) and the Incentives to Innovation in the life Cycle of a Health technology.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and Health Policy Today: A Multifaceted View of their Unstable Crossroads. Adis, Cham, 2015.

15-35.

19. Lakdawalla, Darius N., et al. Defining elements of value in health care—a health economics approach: an ISPOR Special Task Force report. Value in health 21.2 (2018): 131-139.

참고문헌

139

20. Garrison LP, Towse A. Value-based pricing and reimbursement in personalised healthcare: introduction to the basic health economics. Journal of personalized medicine 7.3 (2017): 10.

21. 박동아, 설아람, 정유진, 최미영, 윤지영, 김윤정 등. 조건부선별급여 재평가 연구. 한국: 건강 보험심사평가원․한국보건의료연구원; 2018.

부 록

143

1. 2 01 9년 6 월3 0일 실시 된 선진 의료 실적 보고( 20 18 .7 .1 .~ 20 19 .6 .3 0. )

선진 의료 A선진 의료 B총 선진 의료 기술 수 (2019년 6 월 30 일 현재)29종류59종류88종류 실시 의료 기관 수 (2019년 6 월 30 일 현재)1,042시설※1244시설※11,184시설※2 전체 환자 수38,271명906명39,177명 총 금액 (⑤ + ⑥)약337.7억엔약13.9억엔약351.6억엔 보험 외 병용 요양비의 총액 (보험 진료분)약47.2억엔약6.9억엔약54.1억엔 선진 의료 비용의 총액약290.5억엔약7.0억엔약297.5억엔 전체 의료비 중 선진 의료 분의 비율 (⑥ / ④)86.0%50.5%84.6% 1개 시설에서 여러 선진 의료 기술을 실시하는 경우에도 1 시설로 계상. 1개 시설에서 선진 의료 A와 선진 의료 B 모두를 실시하고있는 경우에도 1 시설로 계상.

144

문서에서 예비급여 재평가 개선방안 연구 (페이지 164-17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