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4.1.1 영어 듣기 능력

영어듣기 능력은 연구기간 중 수업시간에 이루어진 수행평가와 연구기간 마지막에 한 학기말 평가로 나누어 검사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영어 듣기능력 평가는 학생들의 그 수업에 대한 듣기 이해 정도를 확인하는 것으로 듣기평가 학습지를 사용하여 각 단원 3차시에 전시학습을 상기할 때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표 4-1 듣기 수행평가의 Z-검증결과

실험집단 비교집단 유의도(p) 0.05 표본크기 41 41 검정통계량(Z) 2.0634039 표본평균 28.9 27.2 임계치(Z0.025) 1.95996108 표본분산 11.02 16.81 Error 0.03907414

표 4-2.듣기 학기말 평가의 Z-검정결과

실험집단 비교집단 유의도(p) 0.05 표본크기 41 41 검정통계량(Z) 3.50567671 표본평균 92.1 85.9 임계치(Z0.025) 1.95996108 표본분산 60.84 67.4 Error 0.00045554

표본집단의 크기가 비교적 크므로 (> 30) 표준정규분포(Z분포)를 사용하였다.집단 의 평균에 차이가 없다는 가정을 귀무가설로 채택하였으며 5% 유의 수준에서 검정 을 수행하였다.결과에 의하면 > Z0.025 이므로 귀무가설은 기각되며 따라서 영 어 듣기능력 평가 결과가 5% 유의수준에서 서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있다.

학기말 평가의 경우 100점 만점에 총 20문항으로 실험집단은 평균 92.1점이며 비 교집단은 85.9점으로 단측 Z-검정결과 5% 유의수준에서 실험 집단에는 3점이상의 점수향상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듣기능력에 있어 총체적 언어 접근법에 의한 수업결과가 음성언어 위주의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보다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4-3.듣기 학기말 평가의 단측 Z-검정결과

실험집단 비교집단 유의도(p) 0.05 표본크기 41 41 검정통계량(Z) 1.80938153 표본평균 92.1 85.9 임계치(Z0.05) 1.644853 표본분산 60.84 67.4 Error 0.07039164

귀무가설 추정평균차이 d 3

이와 같은 결과는 이완기(1997) 등이 영어를 소리만으로 듣는 것보다 문자를 보고 듣는 것이 인지하는 데 있어 더욱 효과적이라고 한 것과 같은 맥락으로 총체적 언 어 접근법에 의한 교수학습법은 읽기 자료를 다양한 방법으로 반복해서 읽으므로 결합된 소리와 문자가 듣기 활동으로 연계되어 단순히 듣기 말하기 활동에 의한 것 보다 듣기 능력이 오래 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1.2 영어 말하기 능력

영어 말하기 능력은 연구기간 중 수업시간에 이루어진 수행평가와 연구기간 마지 막에 한 학기말 평가로 나누어 검사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영어 말하기 능력 평가는 수행평가의 경우 학생들이 그 수 업 도중 소그룹 활동이나 개별 활동에서 보여준 영어로 의사 소통하는 장면을 관찰 하여 3단계로 평정을 하였고 각 단원마다 수행 평가한 것을 합산하였으므로 총 30 점 만점이다.학기말 평가의 경우는 면접법으로 실시하였는데 학생들은 교사의 질

문에 대답을 하며 5점 만점에 총 6개의 문항을 사용하였다.(부록 7, 8참조)

표 4-4.말하기 수행평가의 Z-검정 결과

실험집단 비교집단 유의도(p) 0.05 표본크기 41 41 검정통계량(Z) 2.139125 표본평균 28.1 25.7 임계치(Z0.025) 1.959961 표본분산 26.41 25.2 Error 0.032425

표 4-5.말하기 학기말 평가의 Z-검정결과

실험집단 비교집단 유의도(p) 0.05 표본크기 41 41 검정통계량(Z) 3.6189 표본평균 27.8 24.4 임계치(Z0.025) 1.959961 표본분산 14.59 21.6 Error 0.000296

두 집단의 평균에 차이가 없다는 가정을 귀무 가설로 채택하였으며 5% 유의 수 준에서 검정을 수행하였다.결과에 의하면 > Z0.025 이므로 귀무 가설은 기각되며 영어 말하기 평가의 경우, 수행평가 결과와 학기말 평가결과는 5% 유의수준에서 실 험집단과 비교집단사이에 서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기말 평가의 경우 실험 집단은 평균 27.8점이며 비교 집단은 24.4점으로 단측 Z-검정결과 5% 유의수준에서 실험 집단에는 1.8점이상의 점수향상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다시 말해 말하기 능력에 있어 총체적 언어 접근법에 의한 수업결과가 음 성언어 위주의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보다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4-6.말하기 학기말 평가의 단측 Z-검정결과

실험집단 비교집단 유의도(p) 0.05 표본크기 41 41 검정통계량(Z) 1.7030117 표본평균 27.8 24.4 임계치(Z0.05) 1.644853 표본분산 14.59 21.6 Error 0.0885658

귀무가설 추정평균차이 d 1.8

이처럼 총체적 언어 접근법에 기초한 수업은 학습자에게 친숙한 실제적인 자료를

사용하여 학습자의 경험 및 생각과 관련된 내용을 읽기 자료,노래,챈트,역할극 등으로 재구성하고,표현해 보도록 함으로써 학습자로 하여금 실제적인 언어 상황 에 노출시키고 의사소통 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말하기를 용 이하게 하였다고 본다.

따라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 언어의 네 기능을 통합하여 지도하는 총체적 언어 접근법은 다른 기능으로의 전이를 용이하게 하며 영어 듣기와 말하기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