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12 - 4. 연구 분석

대상자의 일반적특성에 대해서는 기술통계(평균, 오차)를 산출하고, 치아우식증 특성에 대해서는 요인(인구사회경제적요인, 비만요인, 건강행태요인, 구강보건행 태요인)별로 t검정, 𝑥2검정, 단순/다중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성별 에 따라서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성별을 층화하여, 각 연령에 대해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Model Ⅰ은 각 연령에 따라 비만과 치아우식증 간의 관련성을 분석 하였다. Model Ⅱ는 각 연령에 따라 가구소득과 치아우식증 간의 관련성을 분석 하였다. Model Ⅲ는 각 연령에 따라 음주와 치아우식증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 다. Model Ⅳ은 각 연령에 따라 흡연과 치아우식증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통계분석 방법은 SAS 9.4(statistical analysis system version 9.4)프로그램 패키지를 이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0.05로 정의하였다. 제5기(2010- 2012) 3개년도 자료를 통합시 조사구 수가 2010년 192개, 2011년 192개, 2012년 192개로, 가중치는 2010 년 1/3, 2011년 1/3, 2012년 1/3로 계산한다. 통계 분석은 전체 군에 각각의 가중치 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Ⅳ. 연구결과

‘하’120명(12.11%), ‘중하’282명(27.8%), ‘중상’355명(28.62%), ‘상’426명(31.47%)이며

‘상’으로 응답한 대상자가 가장 많았다. 지역은 중소도시 659명(54.43%), 대도시

- 14 -

185명(48.82%)이었으며 흡연은 무경험자 323명(68.39%), 유경험자 115명(21.61%) 이었다. 구강검진은 무경험자 306명(72.22%), 유경험자 134명(27.78%)이었으며 칫 솔질 횟수는 3회 미만 288명(67.9%), 3회 이상 148명(32.1%)으로 응답하였다. 성별 은 남자 256명(58.49%), 여자 185명(41.51%)로 남자의 비율이 높았다.

Table 2. Dental cari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Unit : Mean ± SE†, N (%§)

Permanent tooth decay patient No Yes

N (unweighted) 1,205 441

N (weighted)* 2,797,147 1,204,965

Characteristic variables

* : estimated size of population and its standard error using sampling weight for complex example.

§ : estimated frequency and its standard error using sampling weight for complex sample.

† : estimated mean and its standard error using sampling weight for complex sample.

- 16 - 2. 대상자의 비만에 따른 치아우식증

대상자의 정상군 중 비만이 아닌 대상자 1051명(86.93%), 비만 대상자 154명 (13.07%)으로 응답하였다. 영구치우식유병자군 중 비만이 아닌 대상자 372명 (83.28%), 비만 대상자 69명(16.72%)로 응답하였다(Table3).

Table 3. Dental caries according to the study subject’s obesity

Unit : N(%§)

Permanent tooth decay patient No Yes

N (unweighted) 1,205 441

N (weighted)* 2,797,147 1,204,965

Obesity

Non-obesity 1051 (86.93) 372 (83.28)

Obesity 154 (13.07) 69 (16.72)

* : estimated size of population and its standard error using sampling weight for complex example.

§ : estimated frequency and its standard error using sampling weight for complex sample.

3. 남자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아우식증

대상자는 879명으로, 정상군 623명, 영구치우식유병자군 256명이다. 표준인구 대비가중치를 부여하면 정상군 1,445.913 명, 영구치우식유병자군 704,797명이며 전체 모집단 추정 인원은 2,15 0,710 명으로 분석되었다.

대상자 중 정상군의 평균연령은 15.47세, 표준오차는 0.08이다. 가구소득은

‘하’6명(10.79%), ‘중하’140명(27.01%), ‘중상’179명(28.71%), 상’236명(33.49%)이며

‘상’으로 응답한 대상자가 가장 많았다. 지역은 중소도시 336명(51.99%), 대도시

- 18 -

Table 4. Dental cari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male)

Unit : Mean ± SE†, N(%§)

Permanent tooth decay patient No Yes

N (unweighted) 623 256

N (weighted)* 1,445,913 704,797

Characteristic variables

* : estimated size of population and its standard error using sampling weight for complex example.

§ : estimated frequency and its standard error using sampling weight for complex sample.

† : estimated mean and its standard error using sampling weight for complex sample.

4. 여자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아우식증

- 20 -

Table 5. Dental cari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female)

Unit : Mean ± SE†, N(%§)

Permanent tooth decay patient No Yes

N (unweighted) 581 185

N (weighted)* 1,351,233 500,168

Characteristic variables

* : estimated size of population and its standard error using sampling weight for complex example.

§ : estimated frequency and its standard error using sampling weight for complex sample.

† : estimated mean and its standard error using sampling weight for complex sample.

5. 성별에 따라 분류한 대상자의 비만에 따른 치아우식증

Table 6. Dental caries according to the subject’s gender and obesity

Unit : N(%§)

Male Female

Permanent tooth decay patient No Yes No Yes

N (unweighted) 623 256 581 185

N (weighted)* 1,445,913 704,797 1,351,233 500,168

Obesity

Non-obesity 528 (84.79) 212 (82.55) 523 (89.21) 160 (84.31)

Obesity 95 (15.21) 44 (17.45) 59 (10.79) 25 (15.69)

* : estimated size of population and its standard error using sampling weight for complex example.

§ : estimated frequency and its standard error using sampling weight for complex sample.

6.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아우식증 관련성

일반적 특성과 치아우식증 관련성을 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령, 가구 소득, 음주, 흡연, 구강검진, 칫솔질 횟수, 성별이 치아우식증과 통계적으로 관련 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Table 7).

- 22 -

Table 7. Dental cari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Unit : Mean ± SE†, N(%§)

Smoking experience <.0001

No 1013 (81.83) 323 (68.39)

† : estimated mean and its standard error using sampling weight for complex sample.

§ : estimated frequency and its standard error using sampling weight for complex sample.

‡ : using t-test of coefficient of estimates complex sample general linear model

∥: calculated by Pearson x²-test with Rao-Scott correction using F statistic.

7. 대상자의 비만에 따른 치아우식증 관련성

비만과 치아우식증은 통계적으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Table 8).

Table 8. Dental caries according to obesity of study subjects

Unit : N (%§)

Permanent tooth decay patient No Yes p∥

N (unweighted) 1,205 441

N (weighted)* 2,797,147 1,204,965

Obesity 0.0985

Non-obesity 1051 (86.93) 372 (83.28)

Obesity 154 (13.07) 69 (16.72)

§ : estimated frequency and its standard error using sampling weight for complex sample.

∥: calculated by Pearson x²-test with Rao-Scott correction using F statistic.

8. 성별에 따라 분류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아우식증 관련성

남자대상자와 여자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치아우식증 관련성을 분석한 결 과는 다음과 같다. 남자는 연령, 가구소득, 음주, 흡연, 구강검진, 칫솔질 횟수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여자는 가구소득, 흡연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Table 9).

- 24 -

Table 9. The relevance of dental carie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classified according to gender

9. 성별에 따라 분류한 대상자의 비만에 따른 치아우식증 관련성

남녀 대상자 모두 비만과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Table 10).

Table 10. Dental caries according to obesity of subjects classified according to gender

10. 대상자의 치아우식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단순 로지스틱회귀분석)

대상자의 치아우식증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단순 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는 다음과 같다(Table 11). 연령이 1세 증가함에 따라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1.09배 높게 분석되었다. 가구소득에서는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중하’는 ‘하’에 비해 0.53 배 낮게, ‘중상’은 0.42배 낮게, ‘상’은 0.29배 낮게 분석되었다. 음주는 유경험자가 무경험자에 비해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1.47배 높았으며, 흡연은 유경험자가 무경 험자에 비해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2.08배 높게 분석되었다. 구강검진은 유경험자 가 무경험자에 비해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0.6배 낮았으며, 칫솔질 횟수는 3회 이 상이 3회 미만에 비해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0.69배 낮게 분석되었다. 성별은 남 성은 여성에 비해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1.32배 높게 분석 되었다. 그 외 비만, 지 역은 유의하지 않은 예측요인으로 분석되었다.

- 26 -

Table 11. Dental caries according to 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Variable OR (95% CI) p-value

11. 성별에 따른 대상자의 치아우식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단순 로지스틱회귀 분석)

성별에 따른 대상자의 치아우식증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단순 로지스틱 회귀분석 실시하였다(Table12, 13).

남자는 연령이 1세 증가함에 따라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1.14배 높게 분석되었 다. 가구소득에서는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중하’는 ‘하’에 비해 0.45배, ‘중상’은 0.4배, ‘상’은 0.28배 각각 낮게 분석되었다. 음주는 유경험자가 무경험자에 비해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1.58배 높게 분석되었으며, 흡연은 유경험자가 무경험자에 비해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1.74배 높게 분석되었다. 구강검진은 유경험자가 무 경험자에 비해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0.54배 낮게 분석되었으며, 칫솔질 횟수는 3회 이상이 3회 미만에 비해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0.64배 낮게 분석되었다. 비 만과 지역은 유의하지 않은 예측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여자는 가구소득에서는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중하’는 ‘하’에 비해 0.64배, ‘중상’

은 0.44배, ‘상’은 0.27배 각각 낮게 분석되었다. 또한 흡연은 유경험자가 무 경험 자에 비해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2.66배 높게 분석되었다. 연령, 비만, 지역, 음주, 구강검진, 칫솔질 횟수은 유의하지 않은 예측요인으로 분석되었다.

- 28 -

Table 12. Dental caries according to 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male)

Table 13. Dental caries according to 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emale)

- 30 -

12. 대상자의 치아우식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다중 로지스틱회귀분석)

대상자의 치아우식증과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비만의 유의확률은 경계선상에 위치해 있으므로, 이는 통계적으로 관련성이 있 다고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비만은 비만인 대상자가 비만이 아닌 대상자에 비 해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1.18배 높게 분석되었다. 가구소득에서는 치아우식증 승 산비가 ‘중하’는 ‘하’에 비해 0.53배, ‘중상’은 0.45배, ‘상’은 0.3배 각각 낮게 분석 되었다. 흡연은 유경험자가 무경험자에 비해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1.82배 높게 분석되었으며, 구강검진은 유경험자가 무경험자에 비해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0.69배 낮게 분석되었다. 연령, 지역, 음주, 칫솔질 횟수, 성별은 유의하지 않은 예측요인으로 분석되었다(Table 14).

Table 14. Dental caries according to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 32 -

13. 성별에 따른 대상자의 치아우식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다중 로지스틱회귀 분석)

성별에 따른 대상자의 치아우식증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 로지스 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남자는 가구소득에서는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중하’는 ‘하’에 비해 0.43배, ‘중 상’은 0.41배, ‘상’은 0.28배 각각 낮게 분석되었다. 흡연은 유경험자가 무경험자 에 비해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1.54배 높게 분석되었으며, 구강검진은 유경험자 가 무경험자에 비해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0.67배 낮게 분석되었다. 칫솔질 횟수 는 3회 이상이 3회 미만에 비해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0.63배 낮게 분석되었다.

연령, 체질량 지수, 지역, 음주, 성별은 유의하지 않은 예측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여자는 가구소득에서는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중하’는 ‘하’에 비해 0.68배, ‘중상’

은 0.47배 낮게, ‘상’은 0.13배로 각각 낮게 분석되었다. 흡연은 유경험자가 무경험 자에 비해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2.5배 높게 분석되었다. 연령, 비만, 지역, 음주, 흡연, 구강검진, 성별은 유의하지 않은 예측요인으로 분석되었다(Table 15).

Table 15. Dental caries according to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by gender

- 34 -

14. 각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주요 변수와 치아우식증의 로지스틱회귀분석

연령, 성별에 따라 청소년을 분류한 후 비만, 가구소득, 음주, 흡연과 치아우식증 간의 관련성을 비교하였다(Figure 3).

Model Ⅰ에서 남자는 15세에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높게 분석되었다. 여자는 18 세에서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높게 분석되었으며, 15세에서 가장 낮게 분석되었다.

Model Ⅱ에서 남자는 ‘중하’는 13세, 15세, 17세, ‘중상’은 13세, 17세, ‘상’은 13세, 15세, 17세에서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각각 낮게 분석되었다, 여자는 ‘중하’는 17세, ‘중상’은 17세, 18 세, ‘상’은 16세, 17세, 18세에서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각각

Model Ⅱ에서 남자는 ‘중하’는 13세, 15세, 17세, ‘중상’은 13세, 17세, ‘상’은 13세, 15세, 17세에서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각각 낮게 분석되었다, 여자는 ‘중하’는 17세, ‘중상’은 17세, 18 세, ‘상’은 16세, 17세, 18세에서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각각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