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Obesity and Dental Caries -Using the Fif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Obesity and Dental Caries -Using the Fif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opied!
6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보건학 석사학위 논문

청소년기 비만과 치아우식증의 관련성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2010-2012년) 자료를

이용하여-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서 윤 희

(3)

청소년기 비만과 치아우식증의 관련성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2010-2012년) 자료를

이용하여-지도교수 강 대 용

이 논문을 보건학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16년 12월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서 윤 희

(4)
(5)

감사의 글

배움에 대한 열망이 가득한 채로, 대학원에 입학하였습니다. 시간을 돌이켜보 니 지식 뿐만 아니라 많은 것을 배웠던 시기였던 것 같습니다. 입학한지 엊그제 같은데 벌써 졸업이 다가왔다는게 실감이 나지 않습니다. 처음 작성하는 논문이기에 부족한 부분이 많이 있었습니다. 때론 포기하고 싶 은 순간도 있었지만 그때마다 저를 다독여주고 격려해주신 강대용 교수님 덕분 에 논문을 완성할 수 있었습니다. 교수님이 아니었더라면 저는 아마 논문을 완성 하지 못하였을 것입니다. 교수님께서 지도해 주신 덕분에 석사 논문이 완성되었 습니다. 다시 한 번 감사의 말씀를 드립니다. 또한 저에게 아낌없는 조언과 격려 를 해주신 송승일 교수님, 이혜선 교수님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그리고 저를 언제나 이해해주시고 든든한 울타리가 되어주신 부모님과 아낌없 는 조언을 해준 언니와 형부께도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또한 대학원 생활동안 서로 의지하며 힘이 되어준 대학원 동기들에게도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저에게 있어 대학원 생활은 학문에 대한 즐거움을 깨닫게 된 시기였던 것 같 습니다. 이를 토대로 더욱 학문에 정진하는 사람이 되어, 보다 나은 인재가 되도 록 노력하겠습니다. 2016년 12월 서 윤 희

(6)

- 국문요약 -

청소년기 비만과 치아우식증의 관련성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2010-2012년) 자료를 이용하여-

본 연구는 청소년의 비만과 치아우식증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도된 관찰연구이다. 비만 외에도 치아우식증에 영향을 주는 관련요인을 규명하고 직접 적인 예측요인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2010-2012년) 자 료를 이용하여, 만 13세 이상 18세 이하 청소년 1,64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 하였다. 자료 분석은 SAS 9.4(statistical analysis system version 9.4) 프로그램 패키지 를 이용하여 t검정, 𝑥2검정, 단순/다중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국민건강 영양조사 제5기(2010-2012년) 자료를 통합하는 경우, 통합가중치는 2010년 1/3, 2011년 1/3, 2012년 1/3로 계산하였으며 본 연구는 전체군에 각각의 가중치를 적 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비만, 가구소득, 흡연, 구강검진은 치아우식증 관련요인으로 확 인되었으나 음주는 확인되지 않았다. 성별에 따른 특이성은 가구소득, 흡연, 구강 검진에서 확인되었다. 비만 여부에 따라 치아우식증의 비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가구소득 수준에 따라 치아우식증의 비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흡연 여부 및 구강검진 여부에 따라 치아우식증의 비율은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관련요인들을 고려하여 국가와 지역 사회는 치아우식증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예방 정책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또 한 향후 청소년을 대상으로 비만, 흡연, 구강검진의 중요성에 관한 교육 및 예방

(7)

ii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실시한다면 청소년 치아우식증 유병률이 감소될 것으로 사료된다.

핵심어 : 청소년, 비만, 치아우식증,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

(8)

국문요약 ··· ⅰ 차례 ··· ⅱ 그림 차례 ··· Ⅲ 표 차례 ··· v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1 2. 목적 및 가설 ··· 3 3. 용어 정리 ··· 4 Ⅱ. 문헌고찰 1. 청소년 치아우식증 ··· 6 2. 청소년 비만 ··· 7 3. 청소년 비만과 치아우식증 ··· 8 Ⅲ.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 설계 ··· 9 2. 연구대상 및 자료 ··· 10 3. 연구 변수 ··· 11 4. 연구 분석 ··· 12

(9)

iv Ⅳ.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아우식증 ··· 13 2. 대상자의 비만에 따른 치아우식증 ··· 16 3. 남자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아우식증 ··· 17 4. 여자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아우식증 ··· 19 5. 성별에 따라 분류한 대상자의 비만에 따른 치아우식증 ··· 21 6.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아우식증 관련성 ··· 21 7. 대상자의 비만에 따른 치아우식증 관련성 ··· 23 8. 성별에 따라 분류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아우식증 관련성 ··· 23 9. 성별에 따라 분류한 대상자의 비만에 따른 치아우식증 관련성 ··· 25 10. 대상자의 치아우식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단순 로지스틱회귀분석) ··· 25 11. 성별에 따른 대상자의 치아우식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단순 로지스 틱회귀분석) ··· 27 12. 대상자의 치아우식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다중 로지스틱회귀분석) ··· 30 13. 성별에 따른 대상자의 치아우식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다중 로지스 틱회귀분석) ··· 32 14. 각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주요 변수와 치아우식증의 로지스틱회귀분석 ··· 34

(10)

Ⅴ. 고찰 1. 연구 결과에 관한 고찰 ··· 37 2. 연구의 제한점 및 장점 ··· 40 Ⅵ. 결론 ··· 41 참고문헌 ··· 42 부록 ··· 50 ABSTRACT ··· 54

(11)

vi

그림 차례

Figure. 1. Research plan ··· 9 Figure. 2. Selection of study sample from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 10 Figure. 3.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major variables and dental caries according to age

(12)

표 차례

Table 1. Child and adolescent obesity of indication standard ··· 5

Table 2. Dental cari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 15

Table 3. Dental caries according to the study subject’s obesity ··· 16

Table 4. Dental cari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male) ··· 18

Table 5. Dental cari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female) ··· 20

Table 6. Dental caries according to the subject’s gender and obesity ··· 21

Table 7. Dental cari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 22

Table 8. Dental caries according to obesity of study subjects··· 23

Table 9. The relevance of dental carie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classified according to gender ··· 24

Table 10. Dental caries according to obesity of subjects classified according to gender ··· 25

Table 11. Dental caries according to 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 26

Table 12. Dental caries according to 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male) ··· 28

Table 13. Dental caries according to 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emale) ··· 29

Table 14. Dental caries according to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 31

Table 15. Dental caries according to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by gender ··· 33

(13)

viii

Appendix table 1. Dental caries according to 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 50 Appendix table 2.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major variables and dental caries

according to age and gender ··· 51 Appendix table 3. Confirmation of exemption from IRB ··· 52

(14)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현대 사회의 급속한 발전과 소득수준의 향상은 사람의 건강을 해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현대 사회에서 비만은 인류를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로 부 각되고 있으며, 비만 인구 또한 점차 증가하고 있다(Ogden et al., 2002). 우리나라 역시 비만이 사회적 문제로 거론되고 있으며, 비만 인구가 2005년에 비해 2배 넘 게 증가하였다(국민건강보험공단, 2015). 특히 청소년 비만은 지난 30년 동안 꾸준 히 증가하였고, 이는 성인 비만에 비해 심각성이 더욱 크다(Bhatia et al., 2015). 청소년 비만은 고지혈증, 지방간과 같은 합병증이 발병할 위험률이 높고 심리 적인 측면에서도 악영향을 미친다. 뿐만 아니라 차후 성인 비만으로 이행될 가능 성이 매우 높다(보건복지부, 2016; 이기형, 2004). 또한 청소년의 심각한 구강보건 문제 중 하나로 치아우식증을 들 수 있다. 치 아우식증이란 산에 의하여 무기질이 탈회되고 치아 내부와 유기질이 파괴되는 치아조직의 결손현상을 말하며, 이는 통증야기 및 치아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대 표적인 구강보건질환이다(국민보험심사평가원, 2014). 현재 우리나라 청소년의 치 아우식증 유병률은 38%, 평균 우식경험치 지수1는 7.91개로 매우 높은 수치에 해

당한다(Kwon et al., 2014; Lee et al., 2015). 특히, 치아우식증 진료인원 3명 중 1명 이 상은 소아‧청소년으로, 이는 청소년 치아우식증이 심각한 구강보건질환임을 알 수 있다(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4).

(15)

- 2 -

이처럼 청소년기의 심각한 구강보건 문제인 비만과 치아우식증의 상관성에 관 한 연구는 과거에서부터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왔다. 국내,외 많은 연구에서 비만 과 치아우식증 간의 관련성이 있음을 발표하였다(이선미, 2002; Levy et al., 2008; Hooley et al., 2012). 하지만 이와는 달리 일부 연구에서는 비만과 치아우식증 간의 관련성이 없음을 발표하였다(Kopycka-Kedzierawski et al., 2008; Trapathi et al., 2010; 이혜진, 2011). 국내의 비만과 치아우식증 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들은 대부분 아동을 대상으로 한 반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수준 이다. 특정 요인에 한정되어 있거나(박정건, 2002), 적은 표본수를 대상으로 실시 하였다(백혜진, 2009). 따라서 이를 보완한 비만과 치아우식증 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가 매우 중요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를 대표할 수 있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만 13세 이상 18세 이하 청소년의 비만과 치아우식증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치아우식증 예방정책을 수립함에 있어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6)

2. 목적 및 가설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2010-2012년) 자료를 이용하여 성별에 따른 청소년기 비만과 치아우식증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치아우식증 예방을 위한 기 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주목적은 청소년기 비만과 영구치 치아우식증 간의 관련성 분석이다. 부목적은 청소년기 가구소득, 음주경험, 흡연경험 등과 영구치 치아우식증 간 의 관련성 분석이다. 그리고 성별에 따른 청소년기 비만과 치아우식증 간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검정하고자 한다. 첫째, 청소년의 체질량지수가 높을수록 치아우식증 유병률이 높을 것이다. 즉, 비만일수록 치아우식증이 발병할 위험도가 높을 것이다. 둘째, 평균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치아우식증 유병률이 높을 것이다. 셋째, 음주경험 청소년이 무경험 청소년에 비해 치아우식증 유병률이 높을 것 이다. 넷째, 흡연경험 청소년이 무경험 청소년에 비해 치아우식증 유병률이 높을 것 이다.

(17)

- 4 - 3. 용어 정리 1) 치아우식증 이론적 정의 치아가 산에 의해 치아 표면의 무기질이 빠져나가고 그 속에서 유기질이 용해 되어 치아가 삭아버리는 현상을 말한다(김종배, 2004). 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의 치아우식증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2010-2012년) 구강검사 자료의 영구치우식유병자를 의미한다. 2) 비만 이론적 정의 에너지 섭취량과 에너지 소비량 간의 불균형이 장기화되어 체내 지방의 양이 필요 이상으로 과다하게 축적되어 있는 현상을 말한다(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9). 조작적 정의 비만을 판정하기 위하여 체질량지수(BMI)를 산출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청소 년 비만 실태 및 정책방안 연구(2009)’를 판정 기준으로 활용하였다. 체질량지수 백분위수 도표의 95 이상 혹은 성인 비만 기준인 체질량지수 25㎏/㎡ 이상을 비 만으로 정의하고 있다(질병관리본부, 2014).

(18)

Table 1. Child‧adolescent obesity of indication standard 측정법 판정기준 체질량지수 (BMI, Body Mass Index: ㎏/㎡) 1) 체질량지수 백분위수 도표의 85이상 95미만 경우: "과체중" 2) 체질량지수 백분위수 도표의 95이상인 경우: "비만" 3) 성인 비만기준인 체질량지수 25㎏/㎡ 이상인 경우는 백분위수와 무관하게 "비만" 4) 체질량지수 백분위수 도표의 5미만인 경우: "저체중" 5) 1)부터 4)까지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정상"

(19)

- 6 -

. 문헌고찰

1. 청소년 치아우식증 (Adolescent dental caries)

치아우식증은 우리나라의 양대 구강병 중 하나로 비가역적 만성질환이다. 또한 숙주, 식이, 세균, 시간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되는 다인성 및 범 발성 질환이다(Selwitz et al., 2007). 보건복지부(2015)에서 건강보험인구 대비 치아 우식증 환자 수 비율이 19세 이하는 16.5%, 20세 이상은 8.9%인 것으로 발표하였 다. 이는 성인에 비해 소아 및 청소년에서 유병률이 더 높은 것을 의미한다. 청 소년기에 치아우식증이 발병하는 치아는 대부분 영구치로써, 이는 유치와는 다르 게 평생 사용하는 치아로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또한 치아우식증은 초기 치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치주염, 발치 등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조기 진단 및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보건복지부, 2015).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는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치아우식증 예방 및 구 강건강증진에 기여하고자 치아홈메우기를 건강보험 적용하고 있다(Park et al., 2016). 하지만 실시율은 10% 미만에 그치고 있으며, 치아우식증 유병률 또한 크 게 감소하지 않는 상황이다(보건복지부, 2015). 따라서, 치아우식증 예방에 많은 노력과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20)

2. 청소년 비만 (Adolescent obesity) 비만이란 지방 조직이 체내에 과축적되어 건강에 위험을 초래하는 상태로, 각 종 질병 및 사망의 위험요인일 뿐만 아니라 개인의 행동양식 및 사회∙심리적인 면에도 영향을 미치는 건강위험요인이다(WHO, 2014). 이는 세계 각국에서 중요한 공중보건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매우 심각한 보건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우리 나라 또한 산업화로 인해 식생활 습관이 서구화로 변화하였으며, 경제성장 및 정 보기술 또한 발전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신체 활동 부족 및 과도한 에너지섭취를 초래하였고, 결과적으로 비만을 증가시켰다(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우리나라 또한 청소년 비만율이 2006년 11.6%에서 2013년 15.3%로 증가하였으며, 이는 점 차 증가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청소년 비만 예방이 필요하다(통계청, 2014). 이러한 청소년 비만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비만을 진단하는 것이 매 우 중요하다. 비만 진단기준으로는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체질량지수 기준은 주로 서양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 로 이를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WHO 서태평 양 지역회의에서는 아시아인을 대상으로 체질량지수를 새롭게 규정하였다(Selwitz et a.l, 2007). 그러나 이 또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비만기준으로, 소아∙청소년에 적 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이를 대체하고자 우리나라 질병관리본부에서는 연령 별 체질량지수 기준 95 백분위수 이상 또는 백분위수와 무관한 성인 비만기준인 체질량지수 25kg/m²이상을 소아∙청소년비만으로 정의하였다(질병관리본부, 2014). 소아∙청소년 비만기준은 나라 각 국 마다 다르며, 우리나라의 경우 질병관리본부 에서 정의한 기준을 사용하고 있다(이혜진, 2011; 질병관리본부, 2014).

(21)

- 8 -

3. 청소년 비만과 치아우식증 (Adolescent obesity and dental caries)

비만과 치아우식증 간의 관련성에 관한 주제는 현재까지 끊임없이 연구 중에 있다. 이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는 소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Marshall et al., 2007; Chen et al., 1998; Hong et al., 2008; Hayden et al., 2013; Granville-Garcia et al., 2008; Vazquez-Nava et al., 2010; Reifsnider et al., 2014; Warner et al., 2012). 그에 비하여 청소 년 비만과 치아우식증 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수준이다.

Bailleul-Forestieri(2007)는 고도비만 청소년이 정상체중 청소년에 비해 치아우식 경험률이 높은 것으로 보고하였으며, Sakeenabi(2012)는 비만 청소년과 치아우식증 유병률이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또한, Hooley(2012)와 Levy(2008), Modéer(2010), Honne(2012), Thippeswamy(2011), Alm(2011)의 연구에서도 체질량지수 와 치아우식증 간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발표되었다. 반면에 Hernandez(2016)와 Tripathi(2010), Lempert(2014)의 연구에서는 비만과 치아우식증 간의 관련성이 없 는 것으로 발표되었다. 국내에서도 이와 같은 주제로 지속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있다. 이선미 (2002)는 체중신장지수(WLI2)에 따라 우식경험 영구치지수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발표하였으나, 백혜진(2008), 이혜진(2011)은 비만과 치아우식증 간의 관련성이 없 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2 WLI = A B × 100 (A = 실제체중(kg) 실제신장(cm), B = 연령별표준체중(kg)50percentile 연령별표준신장(cm)50percentile)

(22)

Ⅲ.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청소년을 비만 대상자와 비만이 아닌 대상자로 구분한 후 치아우식 증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국가기반(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관찰연구이다.

Figure 1. Research plan Population society economic variable Age Gender Home income Region Obesity variable Obesity Health behavior variable Drinking Smoking Oral health behavior variable Dental inspection Tooth brushing According to gender t - test x2- test 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Permanent tooth decay patient

(23)

- 10 - 2. 연구대상 및 자료 국민건강영양조사는 1995년에 공표된 국민건강증진법 제 16조에 근거하여 실시 하는 국민의 건강행태, 만성질환 유병현황, 식품 및 영양섭취 실태에 대한 법정 조사이다. 본 연구는 제5기(2010-2012년) 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총 3,800개 표본 가구를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만 13세 이상 18세 이하 청소 년 1,64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Figure 2. Selection of study sample from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N=25,534

N=1,829

N=1,646

age<13 and age>18 (n=23,705)

Missing data on permanent tooth decay patients (n=183)

(24)

3. 연구 변수 1) 인구사회경제적요인 인구사회경제적요인으로 연령, 성별, 가구소득, 지역을 선정하였다. 국민건강영 양조사 자료의 코드를 이용하여, 연령은 만 13세 이상 18세 이하로 분류하였다. 소득수준은 사분위수(가구)로 ‘하’, ‘중하’, ‘중상’, ‘상’으로 분류하였다. 지역은 ‘16 개 시‧도’를 ‘중소도시’, ‘대도시’로 분류하였다. 2) 비만요인 비만을 분류하기 위하여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의해 측정된 신장과 체중으로 체 질량지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 비만기준을 연령별 체질량지수 기준 95백분위수 이상 또는 성인 비만기준인 체질량지수 25kg/m²이상으로 정의하였다. 3) 건강행태요인 건강행태는 흡연, 음주를 선정하였다. 흡연은 무경험자와 과거 흡연경험이 있 거나 현재 흡연하는 흡연자는 유경험자로 분류하였다. 음주는 무경험자와 과거 음주경험이 있거나 현재 음주하는 음주자는 유경험자로 분류하였다. 4) 구강보건행태요인 구강보건행태요인은 구강검진, 칫솔질 횟수를 선정하였으며, 국민건강영양조사 의 구강검사자료를 이용하였다. 구강검진은 1년간 구강검진 경험이 없는 무경험 자와 구강검진 경험이 있는 유경험자로 분류하였다. 칫솔질 횟수는 하루 칫솔질 빈도를 3회 미만, 3회 이상으로 분류하였다.

(25)

- 12 - 4. 연구 분석 대상자의 일반적특성에 대해서는 기술통계(평균, 오차)를 산출하고, 치아우식증 특성에 대해서는 요인(인구사회경제적요인, 비만요인, 건강행태요인, 구강보건행 태요인)별로 t검정, 𝑥2검정, 단순/다중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성별 에 따라서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성별을 층화하여, 각 연령에 대해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Model Ⅰ은 각 연령에 따라 비만과 치아우식증 간의 관련성을 분석 하였다. Model Ⅱ는 각 연령에 따라 가구소득과 치아우식증 간의 관련성을 분석 하였다. Model Ⅲ는 각 연령에 따라 음주와 치아우식증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 다. Model Ⅳ은 각 연령에 따라 흡연과 치아우식증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통계분석 방법은 SAS 9.4(statistical analysis system version 9.4)프로그램 패키지를 이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0.05로 정의하였다. 제5기(2010- 2012) 3개년도 자료를 통합시 조사구 수가 2010년 192개, 2011년 192개, 2012년 192개로, 가중치는 2010 년 1/3, 2011년 1/3, 2012년 1/3로 계산한다. 통계 분석은 전체 군에 각각의 가중치 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26)

.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아우식증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인구사회경제적요인(연령, 성별, 가구소득, 지역), 건강 행태요인(흡연, 음주), 구강건강행태요인(구강검진, 칫솔질 횟수)으로 선정하였다 (Table 2). 대상자는 1,646명으로, 정상군 1,205명, 영구치유식유병자군 441명이다. 표준인 구대비 가중치를 부여하면 정상군 2,797,147명, 영구치우식유병자군 1,204,965명이 며 전체 모집단 추정 인원은 4,002,112명으로 분석되었다. 대상자 중 정상군의 평균 연령은 15.49세, 표준오차는 0.06이다. 가구소득은 ‘하’120명(12.11%), ‘중하’282명(27.8%), ‘중상’355명(28.62%), ‘상’426명(31.47%)이며 ‘상’으로 응답한 대상자가 가장 많았다. 지역은 중소도시 659명(54.43%), 대도시 546명(45.57%)이었다. 음주는 무경험자 791명(61.17%), 유경험자 402명(38.83%)이 었으며 흡연은 무경험자 1013명(81.83%), 유경험자 180명(18.17%)이었다. 구강검 진은 무경험자 721명(60.93%), 유경험자 477명(30.07%)이었으며 칫솔질 횟수는 3 회 미만 711명(59.36%), 3회 이상 476명(40.64%)으로 응답하였다. 성별은 남자 623(51.69%), 여자 582명(48.31%)로 남자의 비율이 높았다. 대상자 중 영구치우식유병자군의 평균연령은 15.72세 표준오차는 0.09이다. 가 구소득은 ‘하’89명(18.72%), ‘중하’125명(30.95%), ‘중상’124명(25.23%), ‘상’97명 (25.1%)이며 ‘중하’로 응답한 대상자가 가장 많았다. 지역은 중소도시 240명 (56.41%), 대도시 201명(43.39%)이었다. 음주는 무경험자 254명(51.82%), 유경험자

(27)

- 14 -

185명(48.82%)이었으며 흡연은 무경험자 323명(68.39%), 유경험자 115명(21.61%) 이었다. 구강검진은 무경험자 306명(72.22%), 유경험자 134명(27.78%)이었으며 칫 솔질 횟수는 3회 미만 288명(67.9%), 3회 이상 148명(32.1%)으로 응답하였다. 성별 은 남자 256명(58.49%), 여자 185명(41.51%)로 남자의 비율이 높았다.

(28)

Table 2. Dental cari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Unit : Mean ± SE†, N (%§)

Permanent tooth decay patient No Yes

N (unweighted) 1,205 441

N (weighted)* 2,797,147 1,204,965

Characteristic variables

Age (y) 15.49 ± 0.06 15.72 ± 0.09

Home income, million

Low 120 (12.11) 89 (18.72)

Low - Middle 282 (27.80) 125 (30.95)

Middle - High 355 (28.62) 124 (25.23)

High 426 (31.47) 97 (25.10)

Regio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659 (54.43) 240 (56.41)

Metropolis 546 (45.57) 201 (43.59) Drinking experience No 791 (61.17) 254 (51.82) Yes 402 (38.83) 185 (48.18) Smoking experience No 1013 (81.83) 323 (68.39) Yes 180 (18.17) 115 (31.61)

Dental inspections (y)

No 721 (60.93) 306 (72.22)

Yes 477 (39.07) 134 (27.78)

Tooth Brushing Count

<3 711 (59.36) 288 (67.90)

≥3 476 (40.64) 148 (32.10)

Gender

Female 582 (48.31) 185 (41.51)

Male 623 (51.69) 256 (58.49)

* : estimated size of population and its standard error using sampling weight for complex example. § : estimated frequency and its standard error using sampling weight for complex sample. † : estimated mean and its standard error using sampling weight for complex sample.

(29)

- 16 - 2. 대상자의 비만에 따른 치아우식증

대상자의 정상군 중 비만이 아닌 대상자 1051명(86.93%), 비만 대상자 154명 (13.07%)으로 응답하였다. 영구치우식유병자군 중 비만이 아닌 대상자 372명 (83.28%), 비만 대상자 69명(16.72%)로 응답하였다(Table3).

Table 3. Dental caries according to the study subject’s obesity

Unit : N(%§)

Permanent tooth decay patient No Yes

N (unweighted) 1,205 441

N (weighted)* 2,797,147 1,204,965

Obesity

Non-obesity 1051 (86.93) 372 (83.28)

Obesity 154 (13.07) 69 (16.72)

* : estimated size of population and its standard error using sampling weight for complex example. § : estimated frequency and its standard error using sampling weight for complex sample.

(30)

3. 남자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아우식증 대상자는 879명으로, 정상군 623명, 영구치우식유병자군 256명이다. 표준인구 대비가중치를 부여하면 정상군 1,445.913 명, 영구치우식유병자군 704,797명이며 전체 모집단 추정 인원은 2,15 0,710 명으로 분석되었다. 대상자 중 정상군의 평균연령은 15.47세, 표준오차는 0.08이다. 가구소득은 ‘하’6명(10.79%), ‘중하’140명(27.01%), ‘중상’179명(28.71%), 상’236명(33.49%)이며 ‘상’으로 응답한 대상자가 가장 많았다. 지역은 중소도시 336명(51.99%), 대도시 287명(48.01%)이었다. 음주는 무경험자 403명(60.2%), 유경험자 214명(39.8%)이었 으며 흡연은 무경험자 489명(74.72%), 유경험자 128명(25.28%)이었다. 구강검진 은 무경험자 400명(65.31%), 유경험자 219명(34.69%)이었으며, 칫솔질 횟수는 3 회 미만 430명(70.62%), 3회 이상 181명(29.38%)으로 응답하였다. 대상자 중 영구치우식유병자군의 평균연령은 15.81세, 표준오차는 0.11이다. 가 구소득은 ‘하’49명(21.38%), ‘중하’67명(25.99%), ‘중상’74명(27.87%), ‘상’62명 (24.76%)이며 ‘중상’으로 응답한 대상자가 가장 많았다. 지역은 중소도시 135명 (54.78%), 대도시 121명(45.22%)이었다. 음주는 무경험자 141명(51.01%), 유경험 자 114명(48.99%)이었으며, 흡연은 무경험자 170명(62.95%), 유경험자 84명 (37.05%)이었다. 구강검진은 무경험자 187명(77.57%), 유경험자 219명(22.43%)이 었으며, 칫솔질 횟수는 3회 미만 194명(79%), 3회 이상 58명(21%)으로 응답하였 다(Table 4).

(31)

- 18 -

Table 4. Dental cari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male)

Unit : Mean ± SE†, N(%§)

Permanent tooth decay patient No Yes

N (unweighted) 623 256

N (weighted)* 1,445,913 704,797

Characteristic variables

Age (y) 15.47 ± 0.08 15.81 ± 0.11

Home income, million

Low 56 (10.79) 49 (21.38)

Low - Middle 140 (27.01) 67 (25.99)

Middle - High 179 (28.71) 74 (27.87)

High 236 (33.49) 62 (24.76)

Regio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336 (51.99) 135 (54.78)

Metropolis 287 (48.01) 121 (45.22) Drinking experience No 403 (60.20) 141 (51.01) Yes 214 (39.80) 114 (48.99) Smoking experience No 489 (74.72) 170 (62.95) Yes 128 (25.28) 84 (37.05)

Dental inspections (y)

No 400 (65.31) 187 (77.57)

Yes 219 (34.68%) 68 (22.43)

Tooth Brushing Count

<3 430 (70.62) 194 (79.00)

≥3 181 (58.00) 58 (21.00)

* : estimated size of population and its standard error using sampling weight for complex example. § : estimated frequency and its standard error using sampling weight for complex sample. † : estimated mean and its standard error using sampling weight for complex sample.

(32)

4. 여자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아우식증 대상자는 766명으로, 정상군 581명, 영구치우식유병자군 185명이다. 표준인구 대비가중치를 부여하면 정상군 1,351,233명, 영구치우식유병자군 500,168명이며 전체 모집단 추정 인원은 1,851,402명으로 분석되었다. 대상자 중 정상군의 평균연령은 15.5세, 표준오차는 0.08이다. 가구소득은 ‘하’63명(13.52%), ‘중하’142명(28.54%), ‘중상’176명(28.65%), ‘상’190명(29.29%)이며 ‘상’으로 응답한 대상자가 가장 많았다. 지역은 중소도시 323명(57.04%), 대도시 259명(42.96%)이었다. 음주는 무경험자 388명(62.2%), 유경험자 188명(37.8%)이었 으며 흡연은 무경험자 524명(89.42%), 유경험자 52명(10.58%)이었다. 구강검진은 무경험자 321명(56.23%), 유경험자 258명(43.77%)이었으며 칫솔질 횟수는 3회 미 만 281명(47.71%), 3회 이상 295명(52.59%)으로 응답하였다. 대상자 중 영구치우식유병자군의 평균연령은 15.59세, 표준오차는 0.14이다. 가구소득은 ‘하’40명(23.84%), ‘중하’58명(35.31%), ‘중상’50명(25.89%), ‘상’35명 (14.96%)이며 ‘중하’로 응답한 대상자가 가장 많았다. 지역은 중소도시 105명 (58.69%), 대도시 80명(41.31%)이었다. 음주는 무경험자 113명(55.82%), 유경험자 71명(47.18%)이었으며 흡연은 무경험자 153명(76.07%), 유경험자 31명(23.93%)이 었다. 구강검진은 무경험자 119명(64.74%), 유경험자 66명(35.26%)이었으며, 칫솔 질 횟수는 3회 미만 94명(52.47%), 3회 이상 90명(47.53%)으로 응답하였다(Table 5).

(33)

- 20 -

Table 5. Dental cari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female)

Unit : Mean ± SE†, N(%§)

Permanent tooth decay patient No Yes

N (unweighted) 581 185

N (weighted)* 1,351,233 500,168

Characteristic variables

Age, (y) 15.50 ± 0.08 15.59 ± 014

Home income, million

Low 64 (13.52) 40 (23.84)

Low - Middle 142 (28.54) 58 (35.31)

Middle - High 176 (28.65) 50 (25.89)

High 190 (29.29) 35 (14.96)

Regio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323 (57.04) 105 (58.69)

Metropolis 259 (42.96) 80 (41.31) Drinking experience No 388 (62.20) 113 (55.82) Yes 188 (37.80) 71 (47.18) Smoking experience No 524 (89.42) 153 (76.07) Yes 52 (10.58) 31 (23.93)

Dental inspections (y)

No 321 (56.23) 119 (64.74)

Yes 258 (43.77) 66 (35.26)

Tooth Brushing Count

<3 281 (47.41) 94 (52.47)

≥3 295 (52.59) 90 (47.53)

* : estimated size of population and its standard error using sampling weight for complex example. § : estimated frequency and its standard error using sampling weight for complex sample. † : estimated mean and its standard error using sampling weight for complex sample.

(34)

5. 성별에 따라 분류한 대상자의 비만에 따른 치아우식증 남자 대상자 중 정상군은 비만이 아닌 대상자 528명(84.79%), 비만 대상자 95 명(15.21%)으로 응답하였다. 영구치유병자군은 비만이 아닌 대상자 212명 (82.55%), 비만 대상자 44명(17.45%)로 응답하였다. 여자 대상자 중 정상군은 비 만이 아닌 대상자 523명(89.21%), 비만 대상자 59명(10.79%)으로 응답하였다. 영 구치우식유병자군 중 비만이 아닌 대상자 160명(84.31%), 비만 대상자 25명 (15.69%)로 응답하였다(Table 6).

Table 6. Dental caries according to the subject’s gender and obesity

Unit : N(%§)

Male Female

Permanent tooth decay patient No Yes No Yes

N (unweighted) 623 256 581 185

N (weighted)* 1,445,913 704,797 1,351,233 500,168

Obesity

Non-obesity 528 (84.79) 212 (82.55) 523 (89.21) 160 (84.31) Obesity 95 (15.21) 44 (17.45) 59 (10.79) 25 (15.69) * : estimated size of population and its standard error using sampling weight for complex example. § : estimated frequency and its standard error using sampling weight for complex sample.

6.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아우식증 관련성

일반적 특성과 치아우식증 관련성을 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령, 가구 소득, 음주, 흡연, 구강검진, 칫솔질 횟수, 성별이 치아우식증과 통계적으로 관련 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Table 7).

(35)

- 22 -

Table 7. Dental cari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Unit : Mean ± SE†, N(%§)

Permanent tooth decay patient No Yes p∥

Characteristic variables

Age (y) 15.49 ± 0.06 15.72 ± 0.09 0.0276‡

Home income, million <.0001

Low 120 (12.11) 89 (18.72)

Low - Middle 282 (27.80) 125 (30.95)

Middle - High 355 (28.62) 124 (25.23)

High 426 (31.47) 97 (25.10)

Region 0.5804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659 (54.43) 240 (56.41)

Metropolis 546 (45.57) 201 (43.59) Drinking experience 0.0059 No 791 (61.17) 254 (51.82) Yes 402 (38.83) 185 (48.18) Smoking experience <.0001 No 1013 (81.83) 323 (68.39) Yes 180 (18.17) 115 (31.61)

Dental inspections (y) 0.0005

No 721 (60.93) 306 (72.22)

Yes 477 (39.07) 134 (27.78)

Tooth Brushing Count 0.0082

<3 711 (59.36) 288 (67.90)

≥3 476 (40.64) 148 (32.10)

Gender 0.0334

Female 582 (48.31) 185 (41.51)

Male 623 (51.69) 256 (58.49)

† : estimated mean and its standard error using sampling weight for complex sample. § : estimated frequency and its standard error using sampling weight for complex sample. ‡ : using t-test of coefficient of estimates complex sample general linear model

(36)

7. 대상자의 비만에 따른 치아우식증 관련성

비만과 치아우식증은 통계적으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Table 8).

Table 8. Dental caries according to obesity of study subjects

Unit : N (%§)

Permanent tooth decay patient No Yes p∥

N (unweighted) 1,205 441

N (weighted)* 2,797,147 1,204,965

Obesity 0.0985

Non-obesity 1051 (86.93) 372 (83.28)

Obesity 154 (13.07) 69 (16.72)

§ : estimated frequency and its standard error using sampling weight for complex sample. ∥: calculated by Pearson x²-test with Rao-Scott correction using F statistic.

8. 성별에 따라 분류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아우식증 관련성

남자대상자와 여자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치아우식증 관련성을 분석한 결 과는 다음과 같다. 남자는 연령, 가구소득, 음주, 흡연, 구강검진, 칫솔질 횟수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여자는 가구소득, 흡연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Table 9).

(37)

- 24 -

Table 9. The relevance of dental carie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38)

9. 성별에 따라 분류한 대상자의 비만에 따른 치아우식증 관련성

남녀 대상자 모두 비만과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Table 10).

Table 10. Dental caries according to obesity of subjects classified according to gender

10. 대상자의 치아우식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단순 로지스틱회귀분석) 대상자의 치아우식증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단순 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는 다음과 같다(Table 11). 연령이 1세 증가함에 따라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1.09배 높게 분석되었다. 가구소득에서는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중하’는 ‘하’에 비해 0.53 배 낮게, ‘중상’은 0.42배 낮게, ‘상’은 0.29배 낮게 분석되었다. 음주는 유경험자가 무경험자에 비해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1.47배 높았으며, 흡연은 유경험자가 무경 험자에 비해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2.08배 높게 분석되었다. 구강검진은 유경험자 가 무경험자에 비해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0.6배 낮았으며, 칫솔질 횟수는 3회 이 상이 3회 미만에 비해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0.69배 낮게 분석되었다. 성별은 남 성은 여성에 비해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1.32배 높게 분석 되었다. 그 외 비만, 지 역은 유의하지 않은 예측요인으로 분석되었다.

(39)

- 26 -

Table 11. Dental caries according to 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Variable OR (95% CI) p-value

Age (y) 1.09 (1.01 - 1.18) 0.0283

Obesity

Non-obesity 1.00 -

Obesity 1.34 (0.95 - 1.89) 0.1003

Home income, million

Low 1.00 -

Low – Middle 0.53 (0.34 - 0.83) 0.0052

Middle – High 0.42 (0.28 - 0.65) 0.0001

High 0.29 (0.18 - 0.46) <.0001

Regio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1.00 -

Metropolis 0.92 (0.69 - 1.23) 0.5820 Drinking experience No 1.00 - Yes 1.47 (1.11 - 1.93) 0.0067 Smoking experience No 1.00 - Yes 2.08 (1.55 - 2.80) <.0001

Dental inspections (y)

No 1.00 -

Yes 0.60 (0.45 - 0.81) 0.0007

Tooth Brushing Count

<3 1.00 -

≥3 0.69 (0.52 - 0.91) 0.0092

Gender

Female 1.00 -

Male 1.32 (1.02 - 1.70) 0.0337

(40)

11. 성별에 따른 대상자의 치아우식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단순 로지스틱회귀 분석) 성별에 따른 대상자의 치아우식증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단순 로지스틱 회귀분석 실시하였다(Table12, 13). 남자는 연령이 1세 증가함에 따라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1.14배 높게 분석되었 다. 가구소득에서는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중하’는 ‘하’에 비해 0.45배, ‘중상’은 0.4배, ‘상’은 0.28배 각각 낮게 분석되었다. 음주는 유경험자가 무경험자에 비해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1.58배 높게 분석되었으며, 흡연은 유경험자가 무경험자에 비해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1.74배 높게 분석되었다. 구강검진은 유경험자가 무 경험자에 비해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0.54배 낮게 분석되었으며, 칫솔질 횟수는 3회 이상이 3회 미만에 비해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0.64배 낮게 분석되었다. 비 만과 지역은 유의하지 않은 예측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여자는 가구소득에서는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중하’는 ‘하’에 비해 0.64배, ‘중상’ 은 0.44배, ‘상’은 0.27배 각각 낮게 분석되었다. 또한 흡연은 유경험자가 무 경험 자에 비해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2.66배 높게 분석되었다. 연령, 비만, 지역, 음주, 구강검진, 칫솔질 횟수은 유의하지 않은 예측요인으로 분석되었다.

(41)

- 28 -

(42)
(43)

- 30 - 12. 대상자의 치아우식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다중 로지스틱회귀분석) 대상자의 치아우식증과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비만의 유의확률은 경계선상에 위치해 있으므로, 이는 통계적으로 관련성이 있 다고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비만은 비만인 대상자가 비만이 아닌 대상자에 비 해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1.18배 높게 분석되었다. 가구소득에서는 치아우식증 승 산비가 ‘중하’는 ‘하’에 비해 0.53배, ‘중상’은 0.45배, ‘상’은 0.3배 각각 낮게 분석 되었다. 흡연은 유경험자가 무경험자에 비해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1.82배 높게 분석되었으며, 구강검진은 유경험자가 무경험자에 비해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0.69배 낮게 분석되었다. 연령, 지역, 음주, 칫솔질 횟수, 성별은 유의하지 않은 예측요인으로 분석되었다(Table 14).

(44)

Table 14. Dental caries according to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Variable OR (95% CI) p-value

Age (y) 1.03 (0.94 - 1.14) 0.5131

Obesity

Non-obesity 1.00 -

Obesity 1.42 (0.98 - 2.04) 0.0616

Home income, million

Low 1.00 -

Low - Middle 0.53 (0.33 - 0.84) 0.0070

Middle - High 0.45 (0.29 - 0.70) 0.0005

High 0.30 (0.18 - 0.49) <.0001

Regio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1.00 -

Metropolis 0.91 (0.69 - 1.23) 0.5430 Drinking experience No 1.00 - Yes 1.05 (0.72 - 1.52) 0.7987 Smoking experience No 1.00 - Yes 1.82 (1.28 - 2.59) 0.0009

Dental inspections (y)

No 1.00 -

Yes 0.69 (0.51- 0.92) 0.0130

Tooth Brushing Count

<3 1.00 -

≥3 0.78 (0.58 - 1.04) 0.0897

Gender

Female 1.00 -

Male 1.14 (0.85 - 1.52) 0.3841

(45)

- 32 - 13. 성별에 따른 대상자의 치아우식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다중 로지스틱회귀 분석) 성별에 따른 대상자의 치아우식증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 로지스 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남자는 가구소득에서는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중하’는 ‘하’에 비해 0.43배, ‘중 상’은 0.41배, ‘상’은 0.28배 각각 낮게 분석되었다. 흡연은 유경험자가 무경험자 에 비해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1.54배 높게 분석되었으며, 구강검진은 유경험자 가 무경험자에 비해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0.67배 낮게 분석되었다. 칫솔질 횟수 는 3회 이상이 3회 미만에 비해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0.63배 낮게 분석되었다. 연령, 체질량 지수, 지역, 음주, 성별은 유의하지 않은 예측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여자는 가구소득에서는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중하’는 ‘하’에 비해 0.68배, ‘중상’ 은 0.47배 낮게, ‘상’은 0.13배로 각각 낮게 분석되었다. 흡연은 유경험자가 무경험 자에 비해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2.5배 높게 분석되었다. 연령, 비만, 지역, 음주, 흡연, 구강검진, 성별은 유의하지 않은 예측요인으로 분석되었다(Table 15).

(46)

Table 15. Dental caries according to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by gender

Variable Male p-value Female p-value

OR (95% CI) OR (95% CI)

Age (y) 1.09 (0.95 - 1.24) 0.2157 0.97 (0.84 - 1.12) 0.6410 Obesity

Non-obesity 1.00 - 1.00 -

Obesity 1.37 (0.83 - 2.28) 0.2217 1.52 (0.82 - 2.80) 0.1799 Home income, million

Low 1.00 - 1.00 -

Low - Middle 0.43 (0.24 - 0.76) 0.0038 0.68 (0.37 - 1.27) 0.2298 Middle - High 0.41 (0.24 - 0.70) 0.0012 0.47 (0.25 - 0.90) 0.0228 High 0.28 (0.16 - 0.49) <.0010 0.31 (0.15 - 0.62) 0.0012 Regio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1.00 - 1.00 -

Metropolis 0.77 (0.53 - 1.13) 0.1831 1.12 (0.72 - 1.73) 0.6241 Drinking experience No 1.00 - 1.00 - Yes 1.14 (0.71 - 1.83) 0.5773 0.97 (0.57 - 1.62) 0.8925 Smoking experience No 1.00 - 1.00 - Yes 1.54 (0.97 - 2.44) 0.0659 2.50 (1.36 - 4.58) 0.0032 Dental inspections (y)

No 1.00 - 1.00 -

Yes 0.67 (0.44 - 1.01) 0.0551 0.67 (0.43 - 1.04) 0.075 Tooth Brushing Count

<3 1.00 - 1.00 -

≥3 0.63 (0.41 - 0.96) 0.0331 0.98 (0.65 - 1.47) 0.9216 OR : Odds ratio, CI : Confidence interval

(47)

- 34 - 14. 각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주요 변수와 치아우식증의 로지스틱회귀분석 연령, 성별에 따라 청소년을 분류한 후 비만, 가구소득, 음주, 흡연과 치아우식증 간의 관련성을 비교하였다(Figure 3). Model Ⅰ에서 남자는 15세에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높게 분석되었다. 여자는 18 세에서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높게 분석되었으며, 15세에서 가장 낮게 분석되었다. Model Ⅱ에서 남자는 ‘중하’는 13세, 15세, 17세, ‘중상’은 13세, 17세, ‘상’은 13세, 15세, 17세에서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각각 낮게 분석되었다, 여자는 ‘중하’는 17세, ‘중상’은 17세, 18 세, ‘상’은 16세, 17세, 18세에서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각각 낮게 분석되었다. Model Ⅲ에서 남자는 13세, 14세에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높게 분석되었으며, 여자는 13세, 14세에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높게 분석되었다. Model Ⅳ에서 남자는 치아우식증 승산비 차이가 크지 않은 반면에, 여자는 14세와 16세에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높게 분석되었다.

(48)

Model Ⅰ

Model Ⅱ

(49)

- 36 -

Model Ⅳ

Figure 3.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major variables and dental caries

(50)

. 고찰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2010-2012년) 자료를 이용하여 만 13세 이 상 18세 이하 청소년을 대상으로, 비만과 치아우식증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비만, 가구소득, 흡연, 구강검진은 치아우식증 관련요인으로 확인되었으나 음주는 확인되지 않았다. 성별에 따른 특이성은 가구소득, 흡연, 구강검진에서 확인되었다. 따라서 국가와 지역사회는 치아우식증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예방 정책을 수 립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향후 청소년을 대상으로 비만, 흡연, 구강검진의 중요 성에 관한 교육 및 예방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실시한다면 청소년 치아우식증 유병률이 감소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1. 연구 결과에 관한 고찰 1) 청소년의 비만에 따른 치아우식증 위험 비만과 치아우식증 간의 관련성 여부는 아직까지 논쟁 중으로써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오고있다. 일부 연구에서는 비만과 치아우식증 간의 관련성이 있다고 보고하였으나(이기형, 2004; Bailleul-Forestier, 2007; Sakeenabia, 2012; Hooley, 2012), 일부 연구에서는 관련성이 없다고 보고하였다(이혜진, 2011; Kopycka-Kedzierawski, 2008). 이에 본 연구는 관련성 및 성별에 따른 특이성을 분석하였다.

(51)

- 38 - 이혜진(2011)의 연구에서는 성별에 따른 청소년 체질량지수와 치아우식증 관련 성을 분석한 결과, 특이성이 분석되지 않았다. 반면 본 연구에서는 단순 회귀분 석 결과 남자(승산비=1.18)에 비해 여자(승산비=1.54)에서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컸다. 다중 회귀분석 결과 또한 남자(승산비=1.37)에 비해 여자(승산비 =1.52)에서 승산비가 더 컸다. 이처럼, 본 연구는 이혜진의 논문과는 다른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N=1646)와 이혜진(N=900)연구의 표본 수 차이로 인하여 통계적 분석시 편 의(bias)에 의해 다른 결과가 도출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이에 대한 확인 방 안으로 광범위한 연구 대상자를 대상으로 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2) 청소년의 흡연에 따른 치아우식증 위험 본 연구는 청소년 흡연과 치아우식증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로지스 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단순회귀분석에서는 2.08배, 다중 회귀분석에서는 1.82배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분석되었다. 일부 연구에서는 청 소년 흡연과 치아우식증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Bruno-Ambrosius, 2005; Hirsch et al, 1991; 신선행, 2009), 이는 본 연구의 결과와 동일하다. 하지만, 해 외에 비해 국내 청소년 흡연과 치아우식증에 관한 연구는 생각보다 미미한 실정 으로, 차후 이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52)

3) 청소년의 음주에 따른 치아우식증 위험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음주와 치아우식증 간의 관련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단순/다중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치아우식증 승산비가 단순회귀분석에서는 1.47배, 다중회귀분석에서는 1.05배로 분석되었으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anner(2015)의 연구에서도 음주 와 치아우식증은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발표되었다. 반면에 Jansson(2008)의 연구 에서는 1일 음주 섭취량이 5회 이상인 대상자는 5회 미만인 대상자에 비해 치아 우식증이 많다고 발표하였으며, 본 연구는 이와 다른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와 Tanner(2015)의 연구는 청소년이 대상인데 반해 Jansson(2008)의 연구는 청소년 및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러므로 연구대상자의 연령 차이로 인하여 다른 결과 가 도출됐다고 유추해 볼 수 있다. 4) 청소년 가구소득에 따른 치아우식증 위험 가구소득에 따른 치아우식증이 발병할 승산비는 소득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 다. 이는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치아우식증 위험도가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연구에서 사회경제적요인과 치아우식증 간의 관련성을 입증하였으며 본 연구 또한 이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Nicolau et al., 2003; Peres et al., 2007; Polk et al., 2010). 또한 성별에서는 여자에 비해 남자에서 치아우식증이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혜진(2011)의 연구에서도 여자에 비해 남자에서 치아우식증이 감 소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본 연구 또한 이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53)

- 40 - 2. 연구의 제한점 및 장점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치아우식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발병하는 다인성 질환으로, 원인을 모두 고려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둘째, 청소년 비만과 치아우식증 관련성에 관한 연구결과, 유의확률값(p=0.06 16)이 경계선상에 위치하여 통계적으로 관련성이 있다고 해석하였다. 그러나 이 는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차후 충분한 연구대상자수를 구축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비만, 가구소득, 음주, 흡연과 치아우식증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둘째, 연령, 성별에 따라 주요 변수와 치아우식증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는 점에 의의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지역사회 대표성을 갖춘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청소년기 비만과 치아우식증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54)

. 결론

치아우식증은 만성질환으로 비교적 흔한 질환이다. 이는 청소년기 심각한 질환 으로, 현재 우리나라 청소년 유병률은 16.5%로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 비만과 치아우식증 간의 관련성 분석 및 치아우식증에 영향 을 주는 관련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비만, 가구소득, 흡연, 구 강검진은 치아우식증 관련요인으로 확인되었으나 음주는 확인되지 않았다. 성별 에 따른 특이성은 가구소득, 흡연, 구강검진에서 확인되었다. 현재 우리나라는 학교불소용액양치사업 및 치아홈메우기사업에도 불구하고 청 소년의 치아우식증 유병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국가와 지역사회 는 치아우식증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예방 정책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향후 청소년을 대상으로 비만, 흡연, 구강검진의 중요성에 관한 교육 및 예방프 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실시한다면 청소년 치아우식증 유병률이 감소될 것으로 사 료된다.

(55)

- 42 -

참고문헌

이선미. 초등학생들의 체중신장지수(WLI)와 치아우식증에 관한 연구[석사학위 논 문]. 경기도: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2. 이혜진. 청소년기 비만도와 치아우식증의 관련성[석사학위 논문]. 서울: 중앙대학 교 대학원; 2011. 박정건. 비만과 치아우식증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석사학위 논문]. 서울: 연세대 학교 보건대학원; 2002. 백혜진. 청소년에서 체질량지수와 치아우식증의 관련성[석사학위 논문]. 대구: 경 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민건강보험공단. 2002-2013년 국민건강정보 데이터베이스 분석. 서울: 국민건강 보험공단; 2015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 조사 제 12차. 서울: 보건복지 부; 2016. 이기형. 청소년 비만의 진단과 역학. 대한비만학회 춘계학술대회 2004;99-100

(56)

신선행, 김명석. 흡연청소년의 치아우식경험도 및 구강위생 관련요인. 한국치위생 과학회 2009;9(5):507-511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치아홈메우기 건강보험 급여 적용 이후 의료경향: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2014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아동 청소년 비만 실태 및 정책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 책연구원; 2009. 질병관리본부. 2014 청소년 건강 온라인 행태 조사: 질병관리본부; 2009 보건복지부. 건강보험 중기보장성 강화계획: 보건복지부; 2015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아동 및 청소년 비만 예방대책 마련 연구: 한국보건사회 연 구원; 2014 통계청. 2014 청소년 통계; 통계청; 2014 김종배. 예방치학. 고문사; 2004 이승덕. ‘정부 구강보건 관리 강화’ 법제화 추진. 의학신문 2015년 11월 5일자.

(57)

- 44 -

Kwon B, Bae I, Kim S, Jeong T. Dental caries status of 14-16 year old adolescents in yangsan area.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tatric Dentistry 2014;41(1):8-17

Lee JH, Kim BS. 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the subjective oral health awareness of Korean adul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5;5(3):119-130

Park SY, Han YJ, Ryu SY. Related factors of preventive behavior experience toward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2016;16(3):417-26

Ogden CL, Flegal KM, Carroll MD, Johnson CL. Prevalence and trends in overweight among US children and adolescents 1999-2000. Jama 2002;288(14):1728-1732.

Bhatia P, Dudeja U, Bindal V. Adolescent obesity: The emerging menace. J Preventive Cardiology 2015;5(1):786-789.

Levy SA, O’Connor TP, Hanscom JL, Shields P, Lorentzen L, Dimarco AA. Quantitative measurement of C6 antibody following antibiotic treatment of borrella burgdorferi antibody-positive nonclinical dogs. Clinical and vaccine immunology 2008;15(1):115-119

(58)

Hooley M, Skouteris H, Boganin C, Satur J, Kilpatrick N. Body mass index and dental cari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systematic review of literature published 2004 to 2011.

Systematic reviews 2012;1:57

Kopycka-Kedzierawski DT, Auinger P, Billings RJ, Weitzman M. Caries status and overweight in 2- to 18-year-old US children: findings from national surveys. Commynity dentistry and oral epidemiology 2008;36(2):157-167

Tripathi S, Kiran K, Kamala BK.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dental caries in children – A preliminary study. J Int Oral Health 2010;2(4)65-72

Selwitz RH, Ismail AI, Pitts NB. Dental caries. Lancet 2007;369(9555):51-59

Marshall TA, Eichenberger-Gilmore JM, Broffitt BA, Warren JJ, Levy SM. Dental caries and childhood obesity: Roles of diet and socioeconomic statu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7;35(6):449-458

Bailleul-Forestier I, Lopes K, Souames M, Azoguy-Levy S, Frelut ML, Boy-Lefevre ML. Caries experience in a severely obese adolescent popu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Paediatric dentistry/ The British Paedodontic Society/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Dentistry for Children 2007;17(5):358-63

(59)

- 46 -

Sakeenabi B, Swamy HS, Mohammed RN. Association between obesity, dental caries and socioeconomic status in 6- and 13-year-old school children. Oral Health Prev Dent 2012;10(3):231-241

Modéer T, Blomberg CC, Wondimu B, Julihn A, Marcus C. Association between obesity, flow rate of whole saliva, and dental caries in adolescents. Obesity 2010;18(12):2267-2273

Honne T, Pentapati K, Kumar N, Acharya S. Relationship between obesity/overweight status, sugar consumption and dental caries among adolescents in South India. Int J Dent Hyg 2012;10(4):240-244

Thippeswamy HM, Kumar N, Acharya S, Pentapati KC.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and dental caries among adolescent children in South India. West Indian Med J 2011;60(5):581-586

Alm A, Isaksson H, Koch G, Nilsson M, et al. BMI status in Swedish children and young adults in relation to caries prevalence. Swed Dent J 2011;35(1):1-8

Hernandez E, Kim M, Kim WG, Yoon J. Nutritional aspects of night eating and its

association with weight status among Korean adolescents.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2016;10(4):488-455

(60)

Bruno-Ambrosius K, Swanholm G, Twetman S. Eating habits, smoking and toothbrushing in relation to dental caries: A 3-year study in Swedish female teenagers. Int J Paediatr Dent 2005;15(3):190-196

Hirsch JM, Livian G, Edward S, Noren JG. Tobacco habits among teenagers in the city of Göteborg, Sweden, and possible association with dental caries. Swed Dent J 1991;15(3):117-123

Tanner T, Päkkilä J, Karjalainen K et al. Smoking, alcohol use, socioeconomic background and oral health among young Finnish adult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15;43(5):406-414

Nicolau B, Marcenes W, Bartley M, Sheiham A. A life course approach to assessing causes of dental caries experi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biological, behavioural, socio-economic and psychological conditions and caries in adolescents. Caries Res 2003;37(5):319-326

Peres MA, Peres KG, Barros AJD, Victora CG. The relation between family socioeconomic trajectories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and dental caries and associated oral behaviours.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2007;61(2):141-145

Jansson L. Association between alcohol consumption and dental health. J Clin Periodontol 2008;35(5):379-384

(61)

- 48 -

Polk DE, Weyant RJ, Manz MC. Socioeconomic factors in adolescents' oral health: are they mediated by oral hygiene behaviors or preventive intervention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10;38(1):1-9

Chen W, Chen P, Chen SC, Shih WT, Hu HC. Lack of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dental caries in three-year-old children. Zhonghua Min Guo Xiao Er Ke Yi Xue Hui Za Zhi 1998;39(2):109-111

Hong L, Ahmed A, McCunniff M, Overman P, Mathew M. Obesity and dental caries in children aged 2-6 years in the United States: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9-2002. J Public Health Dent 2008;68(4):227-233

Hayden C, Bowler JO, Chambers S, et al. Obesity and dental caries in childre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13;41(4):289-308

Granville-Garcia AF, Menezes VA, Lira PI, Ferreira JM, Leite-Cavalcanti AL. Obesity and Dental Caries among Preschool Children in Brazil. Salud Publica 2008;10(5)

Vazquez-Nava F, Vazquez-Rodriguez EM, Saldivar-Gonzalez AH, Martinez-Perales GM, Joffre-Valazquez VM.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dental caries in a group of preschool children in Mexico. J Public Health Dent 2010;70(2):124-130

(62)

Reifsnider E, Mobley C, Mendez DB. Childhood obesity and early childhood caries in a WIC population. Journal of Multicultural Nursing & Health 10.2 2014:24-31

Werner SL, Phillips C, Koroluk LD. Association between childhood obesity and dental caries. Pediatr Dent 2012;34(1):23-27

Lempert SM, Froberg K, Christensen LB, Kristensen PL, Heitmann BL. Association between body mass index and caries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14;42(1):53-60

Lempert SM, Froberg K, Christensen LB, Kristensen PL, Heitmann BL. Association between body mass index and caries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14;42(1):53-60

(63)

- 50 -

Appendix Table 1. Dental caries according to 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Variable Male* p-value Female* p-value

OR (95% CI) OR(95% CI)

Age, y 1.14 (1.03 - 1.26) 0.012 1.03 (0.92 - 1.16) 0.6038 Obesity

Non-obesity 1.00 - 1.00 -

Obesity 1.18 (0.73 - 1.90) 0.4997 1.54 (0.89 - 2.67) 0.1253 Home income, million

Low 1.00 - 1.00 -

Low - Middle 0.45 (0.26 -0.78 ) 0.0041 0.64 (0.35 - 1.18) 0.1561 Middle - High 0.40 (0.23 - 0.67) 0.0006 0.44 (0.23 - 0.82) 0.0102 High 0.28 (0.16 - 0.48) <.0001 0.27 (0.13 - 0.53) 0.0002 Regio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1.00 - 1.00 -

Metropolis 0.89 (0.63 - 1.28 ) 0.5372 0.93 (0.62 - 1.41) 0.7449 Drinking experience No 1.00 - 1.00 - Yes 1.58 (1.11 - 2.24) 0.0113 1.30 (0.86 - 1.97) 0.2112 Smoking experience No 1.00 - 1.00 - Yes 1.74 (1.18 - 2.56) 0.0052 2.66 (1.52 - 4.67) 0.0007 Dental inspections (y)

No 1.00 - 1.00 -

Yes 0.54 (0.38 - 0.80) 0.0020 0.70 (0.45 - 1.08) 0.1070 Tooth Brushing Count

<3 1.00 - 1.00 -

≥3 0.64 (0.43 -0.96) 0.0308 0.82 (0.55 - 1.22) 0.3162 OR : Odds ratio, CI : Confidence Interval, * : Crude model

수치

그림  차례
Table 1. Child‧adolescent obesity of indication standard  측정법  판정기준  체질량지수  (BMI,  Body Mass  Index:  ㎏/㎡)  1)  체질량지수  백분위수  도표의  85이상  95미만  경우: &#34;과체중&#34;   2)  체질량지수  백분위수  도표의  95이상인  경우: &#34;비만&#34; 3)  성인  비만기준인  체질량지수  25㎏/㎡  이상인  경우는  백분위수와  무관
Figure 1. Research plan Population society     economic variable Age Gender Home income Region Obesity variable Obesity Health behavior variable Drinking Smoking Oral health     behavior variable Dental inspection Tooth brushing According to gender   t - t
Figure 2. Selection of study sample from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N=25,534
+7

참조

관련 문서

Age-related changes in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according to gender and skeletal site: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0..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evening meals for adult women by using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socioeconomic status and thyroid cancer prevalence; Based o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2010-2011. Jung YI, Kim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 experience of falling in some local elderly people using the 2013

Prevalence of Undiagnosed Diabetes and Related Factor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The 2011-2012 Korean National Health and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vitamin D and Sarcopenia among all adults in Korea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Radiation exposure of barley seeds can improve

showing an association between HGS and fracture risk are similar. 30) reported a relationship between HGS and muscle qual- ity in Australian women, with the mean HGS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