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연구설계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회복탄력성과 간호업무 수행능력간의 관계를 파악하 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2.연구대상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C대학병원 6개 부속병원 응급실에 근무하는 경력 1년 이상의 간호사 175명을 대상으로 편의 추출하였다.본 연구의 대상자 표 본 연구 수는 G-power3.0프로그램을 이용하여,효과크기 0.15,유의수준 0.05,검 정력 0.90으로 대상자를 산출 결과 최소 157명이었으나 회수율 부족과 설문 누락 데이터를 고려하여 175명을 선정하여 설문지를 배부하였다.배부된 설문지 중 회수 된 설문지는 170부였고 누락된 응답이 있는 불충분한 설문지 18부를 제외한 최종 15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3.연구도구

1)회복탄력성

회복탄력성 도구는 Reivich와 Shatté(2003)가 개발한 회복탄력성검사 (Resilience QuotientTest)도구를 김주환(2011)이 성인을 대상으로 수정·보완한 한국형 회복탄 력성 지수(KRQ-53)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이 도구는 총 53문항으로 자기조절능 력(감정조절력,충동통제력,원인분석력)18문항,대인관계능력(소통능력,공감능력, 자아확장력)18문항,긍정성(자아낙관성,생활만족도,감사하기)17문항으로 구성되

어 있고 5점 척도로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1점,‘매우 그렇다’5점으로 점수 가 높을수록 회복탄력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최효정과 석은조(2013)의 연구는 Cronbach‘α .93이었고 본 연구의 신뢰도는 Cronbach‘α .92였다.

2)간호업무 수행능력

간호업무 수행능력 도구는 백현옥(2004)이 개발한 임상 간호사의 업무수행 평정 도구를 김윤희(2007)가 응급실 간호사의 업무수행에 맞도록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 용하여 측정하였다.이 도구는 총 35문항으로 4가지 영역으로 분류되며 각각의 내 용은 태도 및 자질 영역 13문항,업무지식 영역 8문항,간호윤리 영역 7문항,업무 수행 영역 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5점 척도로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1 점,‘항상 그렇다’5점으로 최소 35점에서 최대 175점까지 점수가 높을수록 업무수 행을 잘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김윤희(2007)의 연구에서 신뢰도는 Cronbach‘α .97 이었고 본 연구의 신뢰도는 Cronbach‘α .96이었다.

4.자료수집방법

본 연구의 자료수집기간은 2015년 3월 C대학병원 생명윤리심의 위원회와 A대학 병원의 기관윤리심의위원회와 심의를 받은 후,3월-8월까지 설문지를 배부하고 직 접 응급실을 방문하여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자료수집방법은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C대학교 병원의 6개 부속병원 응급실을 방문하여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응급실에 근무하고 있는 임상 경력 1년 이상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5.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대상자의 윤리적 고려를 위해 연구자가 속한 해당 기관의 생명윤리심 의위원회의 승인(승인번호:UC15QAMI0022)과 기관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승인번 호:SBR-SUR-14-426)을 받았으며,연구대상자의 익명성과 개인정보의 비밀보장을 위하여 무기명으로 설문지를 작성하고,설문지를 정해진 목적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을 것을 명시 하였으며,언제든지 취소할 수 있고,대상자의 익명성과 비밀보장에 대한 내용도 포함하였다.연구자가 직접 수거하여 즉시 코딩하고 데이 터베이스에 입력하였으며,동의서와 설문지는 잠금장치가 있는 보관함에 연구자가 일정기간 보관 후 안전하게 폐기할 것이다.

6.자료분석방법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1)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회복탄력성 및 간호업무 수행능력은 실수와 백분율,평 균과 표준편차로 산출하였다.

2)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회복탄력성과 간호업무 수행능력 정도는 t-test와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사후검증은 Schefftest로 분석하였다.

3)회복탄력성과 간호업무 수행능력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7.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는 일부지역의 종합병원 응급실 간호사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신중을 기해야 한다.

관련 문서